•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capability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3초

전문대학생의 NCS기초능력군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의사소통능력과 수리능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NCS Basic Capability Grou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Focused on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Mathematical Capability)

  • 성행남;조동환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1-85
    • /
    • 2019
  • The importance of the NCS(National Competitiveness Standards) is growing as the job market shrinks and more institutions require hiring based on NCS. Of the ten domains of NCS', the most relevant one with the performance of all tasks is basic capability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basic capability group(communication capability, mathematical capability)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study, we set up a process model to comprehen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basic capability group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For research model testing, 56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communication cap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But, mathematical capability don't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Next,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outcome expectation each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Also, interest in the major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The academic implications are as follows: Career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the major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capability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nterest in the major was explained through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self-efficacy.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Administrative assistance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career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NCS업무처리능력군이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문대학 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NCS Task Processing Capability Group on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ed on College Students-)

  • 성행남;조동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3호
    • /
    • pp.137-15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전문대학 학생의 NCS 업무처리능력군(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자원관리능력, 조직이해능력)과 진로효능감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분석하기 위함에 있다. 그리고 이 진로효능감과 진로결과기대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실증분석하기 위함이다. 사회인지진로이론 및 자기효능감 관련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학생의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영향요인으로 진로효능감 요인을 확인하였다. 둘째, 업무처리능력군 중 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자원관리능력, 조직이해능력은 진로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업무처리능력군 중 기술능력은 진로효능감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생의 진로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학과 차원의 행정지원과 교수자의 상담 및 멘토링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교과과목의 개설과 교수평가 지표 항목의 개발 등의 정책적 제안이 가능함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조직이해능력, 정보능력, 자원관리능력,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이 진로효능감에 미치고 이는 다시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기에 해당 능력과 관련된 비교과목의 개설 및 특화 및 특강 프로그램을 위한 준비와 진행의 정책적 제안이 가능함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재취업여성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진로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the Social Support, Career Cap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for the Reemployment Women)

  • 신수정;이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22-432
    • /
    • 2018
  • 본 연구는 재취업여성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역량, 진로결정효능감 및 진로적응성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적지지 척도와 진로역량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진로적응성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연구는 2018년 3월 2일부터 4월 6일까지 서울 경기 지역의 직업전문학교, 미용학원, 여성 센터에서 미용교육을 1-9개월 이상 받고 있는 30-50대, 기혼, 6개월 이상 직장경험이 있는 경력단절여성 9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20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데이터 분석은 SPSS프로그램과 AMOS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Cronbach's ${\alpha}$,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 진로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는 사회적지지, 진로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 진로역량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 응성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 진로역량과 함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취업을 위해 미용교육을 받고 있는 경력단절여성의 성공적인 재취업을 위해 실제 직업진로상담이나 직무교육 프로그램 활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NCS 정보능력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Investigating the Effect of NCS Information Capability on College Students' Career Readiness Behavior)

  • 성행남;조동환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7권4호
    • /
    • pp.189-202
    • /
    • 2018
  • Purpose As job market squeezes and more institutions have been requiring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recruitments, the importance of NCS has been growing. Among the 10 domains of NCS, the most relevant one with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field is 'information ability', which is becoming more important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ability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study, we set up a process model to comprehen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For research model testing, 56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Findings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information 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a process model explaining the effect of information cap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rder to strengthen the inform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not only university-level efforts, but also MIS discipline efforts should be accompanied. Other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 Investigation of the Visual-Mental Capability of Pr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 Tale of Two Cones and One Cube

  • Barkai, Ruthi;Patkin, Dorit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41-54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isual-mental capability of pre-servic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s well as academicians making a career change to mathematics teachers with regard to manipulations of two geometric shapes (from 2- to 3-dimensional). Moreover, it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visual-mental capability of these participant groups. Findings illustrate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demonstrate an adequate visual capability relating to the task dealing with a cube. Conversely, very low percentage of participants manifested a visual-mental capability in a task requiring the identification of a solid resulting from rotation of a square page, whose diagonal serves as the rotation axis. The study indicates that learners' high visual view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enhance their visual-mental capability.

IT인력의 경력변경의도 영향요인 분석: KSA와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ng Factors in IT Worker's Career Change Intentions: Based on the KSA and the Self-efficacy)

  • 유상진;이유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97-209
    • /
    • 2010
  • IT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IT산업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인 KSA를 지닌 인력이 타산업으로 이탈하거나, 이탈하고자 하는 의도를 지니고 있는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능한 인력의 배출만큼이나 우수인재의 이탈방지는 기업이나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IT 인력의 경력변경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서 IT인력의 경력몰입을 위한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IT 인력의 기술적 KSA와 행동적 KSA가 자아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아가 이러한 자아효능감이 경력몰입 및 경력변경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경영관리적 KSA는 자아효능감 및 경력몰입에 영향을 마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PA분석을 통한 공학계열 대학생 진로역량 보유수준 및 필요수준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Level of Career Competency and Needs for Engineering Students : Using IPA Analysis Within the Engineering Educational Contexts)

  • 김윤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3-1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retention level and the required level of engineering students' career competency that they think they need based on their perceptions.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as basic data when designing the major/general education program and the curricular/extra-curricular career program. The task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retention level and the required level of engineering students' career competency. And based on this, it is to confirm the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students for the career competency.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on career competency education in universities was review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Next, previous studies on career competency and sub-competence derived from career competency-related studies and detailed ques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n initial evaluation tool for career competency of engineering students was developed. Finally, through expert review, a career competency evaluation tool with a total of 43 items in 10 competency groups was developed. A career competency evaluatio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197 engineer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22 Engineering Education Festa, and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global competency' was found to be the competency with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execution. Next, 'major job competen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ppeared in order. Reflec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utually organic design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and major curriculum that can cultivate global competency, major job competency, and career development capability will be carried out through learning activities and field practice.

대학생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 김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51-262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673명에게 진로결정 여부와 진로 관련 변인들의 영향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 집단과 진로미결정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성별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변인이 아니었다. 둘째,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학년, 전공만족도, 진로개발역량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나, 학업성취도, 대학생활적응, 진로적응성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아니었다. 그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진로를 결정할 확률이 2배 이상 컸으며, 전공만족도가 1단위 증가하는 경우 진로를 결정할 확률이 1.9배 커졌고 진로개발역량이 1단위 증가하는 경우 진로를 결정할 확률이 5.1배 커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진로개발역량을 증진 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진로 결정과 진로 선택 동기, 진로 역량의 인과적 관계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for Career Choices, Career Capabil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 김은정;이태원;성행남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73-89
    • /
    • 2021
  • 대학생 시기에 진로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진로를 결정하는 것은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과업 중 하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 선택 동기와 진로 역량 및 진로 결정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소재 4년제 D대학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총 326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5와 AMOS 25를 이용하여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첫째 내재적 진로 선택 동기와 외재적 진로 선택 동기는 각각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는 진로 결정 구성 요인인 진로 결정 구체성과 진로 결정 확신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진로 선택 동기와 외재적 진로 선택 동기는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를 매개하여 진로 결정 구체성과 확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의 진로 결정의 구체성과 확신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진로 성찰 역량과 진로 관리 역량을 증진 시킬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확실한 고용환경의 변화와 높은 청년 실업률과 함께 직업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고도로 전문화되면서 대학생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 결정에 대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의 진로 상담과 진로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대학생의 진로 결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적 능력, 심리적 자본, 지속경력학습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apability,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on the Job Performance among Practitioners of Child Welfare Centers)

  • 문영주;김주현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1호
    • /
    • pp.113-141
    • /
    • 2017
  •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최일선에서 아동을 보호할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연계를 통해 아동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방과 후 돌봄의 중심기관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이제 지역아동센터가 양적으로 성장하면서 질적 체계적 전문적으로 운영하도록 요구받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적 능력, 심리적 자본, 지속경력학습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6년 3월 2일부터 3월 25일까지 부산 경남의 지역아동센터 총 460개소에 근무하는 시설장과 실무자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회수된 설문 가운데 성실히 응답한 55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수행에는 심리적 자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시설장 집단에서는 전문적 능력을 갖출수록 직무수행도가 높아지지만 생활복지사 집단에서는 전문적 능력이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심리적 자본을 확충하는 것이 가장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의 조직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