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Level of Career Competency and Needs for Engineering Students : Using IPA Analysis Within the Engineering Educational Contexts

IPA분석을 통한 공학계열 대학생 진로역량 보유수준 및 필요수준에 대한 인식 연구

  • Kim, Younyoung (Research & Information Center for Innovative Engineering Education, Inha University)
  • 김윤영 (인하대학교 공학교육혁신연구정보센터)
  • Received : 2023.09.07
  • Accepted : 2023.11.22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retention level and the required level of engineering students' career competency that they think they need based on their perceptions.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as basic data when designing the major/general education program and the curricular/extra-curricular career program. The task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retention level and the required level of engineering students' career competency. And based on this, it is to confirm the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students for the career competency.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on career competency education in universities was review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Next, previous studies on career competency and sub-competence derived from career competency-related studies and detailed ques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n initial evaluation tool for career competency of engineering students was developed. Finally, through expert review, a career competency evaluation tool with a total of 43 items in 10 competency groups was developed. A career competency evaluatio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197 engineer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22 Engineering Education Festa, and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global competency' was found to be the competency with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execution. Next, 'major job competen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ppeared in order. Reflec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utually organic design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and major curriculum that can cultivate global competency, major job competency, and career development capability will be carried out through learning activities and field practice.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및 교과 교육과정.
  2. 강경연.강혜영(2019).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 교육내용 개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32(4), 71-92.
  3. 강미영(2015). 대학생 대상 역량기반 진로교과목 운영의 효과. 취업진로연구, 5(1), 1-27. https://doi.org/10.35273/JEC.2015.5.1.001
  4. 강미영(2020). 대학생의 진로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취업진로연구, 10(3), 23-47. https://doi.org/10.35273/JEC.2020.10.3.002
  5. 건국대학교 공학교육연구소(2023). 공과대학 교육목적 및 목표. Retrieved November 11, 2023. from https://abeek.konkuk.ac.kr/html.do?siteId=ABEEK&menuSeq=9094
  6. 경북대학교 공과대학(2023). 대학소개. Retrieved November 11, 2023. from https://eng.knu.ac.kr/bbs/content.php?co_id=01_about_education
  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2023). 공과대학소개. Retrieved November 11, 2023. from https://eng.korea.ac.kr/introduce/ vision.html
  8. 고재성 외(2010). 청년층 구직역량 개념 정의 및 가중치 분석. 직업교육연구, 29(2), 17-42.
  9. 광운대학교 공과대학(2023). 교육목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www.kw.ac.kr/ko/univ/college_view.jsp?hpage=college_003
  10. 국민대학교 창의공과대학(2023). 대학소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engineering.kookmin.ac.kr/intro/eng_intro
  11. 김경화(2012).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청소년학연구, 19(6), 359-379.
  12. 김성남.변정현(2012). 대학생의 구직역량 개발에 대한 요구 분석-대학생, 대학교 취업담당관, 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5(1), 91-113.
  13. 김성남.정철영(2010). 대학생의 고용가능성 진단 도구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2), 139-161.
  14. 김승철.문혜영(2014).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9(3), 1-77.
  15. 김원정.오명숙(2013). 공학계열 남녀 졸업생의 조사를 통해 본 교과과정 내의 활동의 취업 기여. 공학교육연구, 16(3), 69-79. https://doi.org/10.18108/JEER.2013.16.3.69
  16. 김현순(2018).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8), 103-127.
  17. 단국대학교 공과대학(2023). 대학소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cms.dankook.ac.kr/web/engineering/-1
  18. 동국대학교 공과대학(2023). 대학소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1. https://engineer.dongguk.edu/main
  19. 문진주.강승모.김지영(2017). 국가역량체계 (NQF) 기반 전문대학 세무회계분야 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7(2), 1-16.
  20. 민춘기(2013). 대학생 진로교육 개선을 위한 해외의 정책과 운영 사례 비교. 비교교육연구, 23(4), 31-58.
  21. 박가열(2009). 대학생 진로개발 역량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진로교육연구, 22(2), 181-198.
  22. 박동열(2006).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유형 진단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225-245.
  23. 박민지.김계현(2015). 대학생의 진로발달 변인에 기초한 군집유형별 진로서비스 요구의 차이. 상담학연구, 16(4), 193-208. https://doi.org/10.15703/KJC.16.4.201508.193
  24. 박천수(2018). 대학생 진로교육 참여와 노동시장 성과. 노동정책연구, 18(4), 51-75. https://doi.org/10.22914/JLP.2018.18.4.003
  25. 부산대학교 공과대학(2023). 공과대학소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eng.pusan.ac.kr/eng/22391/subview.do
  26. 서강대학교 공과대학(2023). 공과대학 교육.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eng.sogang.ac.kr/eng/eng03_1.html
  27. 서울대학교 공과대학(2023). 공과대학소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eng.snu.ac.kr/snu/main/main.do
  28.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2023). 공과대학.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www.uos.ac.kr/kor/html/academic/college/engineering.do?epTicket=LOG
  29.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2023). 학과소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enc.skku.edu/enc/intro/intro.do
  30. 숙명여자대학교 공과대학(2023). 대학안내.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eng.sookmyung.ac.kr/eng/5591/subview.do
  31. 숭실대학교 공과대학(2023). 공과대학.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ssu.ac.kr/%EA%B5%90%EC%9C%A1-%C2%B7-%EC%97%B0%EA%B5%AC/%EB%8C%80%ED%95%99%EC%86%8C%EA%B0%9C/%EA%B3%B5%EA%B3%BC%EB%8C%80%ED%95%99/
  32. 아주대학교 공과대학(2023). 대학소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eng.ajou.ac.kr/eng/intro/objective.do
  33. 어수봉(2020). NCS 및 NQF 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한국직업자격학회 학술대회, 15-33.
  34. 연세대학교 공과대학(2023). 대학소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https://engineering.yonsei.ac.kr/engineering/intro/vision.do
  35. 윤옥한(2021). 직업교육 연구 동향 분석-2008-2017년도 직업 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40(1), 57-74.
  36. 윤혜영.장은영.박빛나(2017). 대학생 진로발달수준별 진로서비스 요구분석. 한국사회과학연구, 36(2), 33-65.
  37.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2023). 대학소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eng.ewha.ac.kr/eng/intro/greeting.do
  38. 이은석.이형국(2020). 대학생 진로교과목 운영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직업교육연구, 39(2), 71-91.
  39. 이용길.강경희(2011).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 분석 - 공학 및 사회계열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2), 60-67 https://doi.org/10.18108/JEER.2011.14.2.60
  40. 이건남(2012). 대학생의 구직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직업교육연구, 31(3), 199-225.
  41. 이정은.김현순(2016). 진로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 1001-1027.
  42. 이종찬(2019). 취업역량에 관한 대학생 교육요구도 분석: 경력관리활동, 면접전형, 인재상, NCS 직업기초능력을 중심으로. 취업진로연구, 9(2), 117-141.
  43. 이지은 외(2019). 대학 진로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대학생 진로교육 인식과 요구분석. 취업진로연구, 9(1), 55-75.
  44. 인하대학교 공과대학(2023). 대학소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engcollege.inha.ac.kr/engineering/ 9721/subview.do
  45. 장계영.김봉환(2011). 대학생 진로적응성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2(2), 539-558. https://doi.org/10.15703/KJC.12.2.201104.539
  46. 정은이(2015). 대학생 진로 역량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방법연구, 27(3), 401-428. https://doi.org/10.17927/TKJEMS.2015.27.3.401
  47. 정재호.서유정.이영민(2015). 대학취업지원 역량 강화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8. 전남대학교 공과대학(2023). 공과대학소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eng.jnu.ac.kr/eng/7329/subview.do
  49. 전북대학교 공과대학(2023). 공과대학 소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eng.jbnu.ac.kr/eng/8046/subview.do
  50. 전은화.정효정.서응교(2015). 대학생 핵심 역량 기반의 진로 교육을 위한교과목 개발 연구. 열린교육연구, 23(3), 293-318.
  51. 정진철.이승일.박민경(2012). 대학생의 전공몰입이 진로탐색효능감과 직업 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27(3), 229-250
  52. 조상식(2016).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교육의 과제. 미디어와 교육, 6(2), 152-185.
  53. 조정윤(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국가역량체계(NQF)의 핵심 쟁점과 향후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4. 중앙대학교 공과대학(2023). 대학소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http://coe.cau.ac.kr/sub/sub01_02.php
  55. 지성구.송윤희(2013). 대학 저학년생의 직업 지향성, 경력 초점, 전공 만족도 및 취업 준비도 분석. 경영교육연구, 28(5), 573-598
  56. 진미석 외(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7. 진로교육법(2015). Retrieved July 15, 2023. from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151223&lsiSeq=172382#0000
  58. 최동선 외(2008). 진로교육 정책의 성과와 추진 방향.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www.krivet.re.kr:8443/repository/handle/201303/3641
  59. 충남대학교 공과대학(2023). 대학안내.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eng.cnu.ac.kr/eng/intro/greeting.do
  60. 최영섭.박재민(2007). 이공계 고등교육 졸업생의 노동시장 이행 과정 분석: 일자리 유형별 취업 소요 기간 분석을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10(2), 1-24 https://doi.org/10.36907/KRIVET.2007.10.2.1
  61. 카이스트(2023). 비전2031.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s://kaist.ac.kr/kr/html/kaist/010301.html
  62. 포항공과대학교 교육혁신센터(2023). 핵심역량진단.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tice.postech.ac.kr/index.php?hCode=RESULT_07_02
  63. 한국산업인력공단(2023). NCS(국가직무능력표준) 소개 홈페이지. 직업기초능력정의. Retrieved July 15, 2023. from https://www.ncs.go.kr/th03/TH0302List.do?dirSeq=152
  64. 한양대학교 공과대학(2023). 한양공대.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eng.hanyang.ac.kr/about/vision.php
  65. 황매향.손만익.강혜영(2007). 대학생 대상 진로탐색 교과목 운영의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8(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71-91. https://doi.org/10.15753/AJE.2007.8.1.004004
  66. 홍익대학교 공과대학(2023). 공대 교육 목표. Retrieved September 29, 2023. from http://eng.hongik.ac.kr/about/purpose.php
  67. Borich, G. D.(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https://doi.org/10.1177/002248718003100310
  68. Davis, L.(1992). Instrument review: Getting the most from your panel of experts. Applied Nursing Research, 5(4), 194-197. https://doi.org/10.1016/S0897-1897(05)80008-4
  69. Jarrahi, M.(2018).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future of work: Human-AI symbiosis in organizational decision making. Business Horizons, 61, 577-586. https://doi.org/10.1016/j.bushor.2018.03.007
  70. Rubio, D. M. et al.(2003).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27(2), 94-104. https://doi.org/10.1093/swr/27.2.94
  71. WEF.(2020). These are the top 10 job skills of tomorrow - and how long it takes to learn them. Retrieved July 04, 2023. from https://www.weforum.org/agenda/2020/10/top-10-work-skills-of-tomorrow-how-long-it-takes-to-learn-them/
  72. WEF.(2023). The Future of Jobs Report 2023. Retrieved July 04, 2023. from https://www.weforum.org/reports/the-future-of-jobs-report-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