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Teacher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5초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and Care Support for Multicultural Youth and Teacher Relations,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Determination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99-20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결정성을 규명하기 위해 부모의 진로·양육지원과 교사관계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부모의 진로·양육지원과 교사관계 사이에서 진로준비성의 매개효과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데이터 중 2017년 자료(7차년도)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 부모의 진로·양육지원, 교사관계, 진로준비성은 진로결정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결정성 과정에 개인 내부적 맥락요인인 진로준비의 상대적 영향력의 중요성도 확인되었다. 셋째, 다문화청소년 부모의 진로·양육지원이 높아질수록, 교사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진로결정성은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로 준비성은 다문화청소년 부모의 진로·양육지원과 교사관계를 진로결정성에 매개해 주는 역할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결정성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경력단절 어린이집 보조교사의 경험과 의미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Daycare Center Assistant Teachers Taking a Career Break)

  • 최현정;정연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9-71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take a career break while working in daycare center as a teacher assistant. Methods: Seven assistant teachers and two child care teachers who took more than two years of career break were selected and given in-depth interviews over 17 weeks from August to December in 202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men experienced the need for a career transition as an assistant teacher because it was time to for a change. Second, while working as a teacher assistant, they had various experiences and meanings in the process of career transition while playing the role as a teacher in daycare centers. Third, they also had some difficulties in conflict and some needs to build their professional expertise as a teach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study is expected to give insight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need for a career transition as teacher assistant and to provide important data to develop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예비보육교사의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reservic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on Career Stress : Career Aspiration as a Mediator)

  • 오대연;이병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9-179
    • /
    • 2017
  •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의 보육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핵심역량과 진로스트레스 그리고 진로포부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과 진로포부 그리고 진로스트레스의 상관관계는 핵심역량이 높을수록 진로포부는 높아지고 진로스트레스는 낮아졌다. 둘째, 핵심역량과 진로포부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핵심역량의 하위요인인 자질과 태도 및 능력역할과 진로포부는 진로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직접적인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진로포부를 매개로한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핵심역량은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부분에서는 연구에 대한 논의 및 제한 그리고 추후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on Curriculum-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 박규리;안완식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145-155
    • /
    • 2023
  • 본 연구는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2022년 4월1일~4월 30일까지 경기도, 충청도, 대전 등에 있는 사범대학교 재학 중인 체육교육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비확률 표집인 유의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추출 후 연구 참가자 400명을 표집으로 조사하여 최종 340명을 대상으로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첫째, 교사역량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역량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과전공만족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사역량과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형성 되었다.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향후 예비체육 교사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육실습 관련 변인이 예비보육교사의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care Practice Related Variables on Career Decision Making)

  • 문서연;김진욱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9-139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areer decisions based on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child care practice and to identify how each factor in the child care teacher's career decisions affects th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career decisions affects th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career decisions, and to what extent they are able to explain their career decisions to th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 Methods: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rtial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Both the institutional and school variables involved in child care practic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static implications for career decisions.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has been shown to be significant in practical satisf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the practical satisfaction level, which is the institutional variable related to child care practice, significantly affects the career decisions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child care practice in practical institutions wher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practice and suggest appropriate child care practice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trainee.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 System in Korea)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49-158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과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경우 ①진로 진학 상담 교사 자격요건은 법령에 따른 일정한 교육 및 연수를 통해서이다. ②진로 진학 상담 자격 취득 후 '진로 진학 상담' 교과교사로 전환 발령을 받는 것은 또 다른 선발 기준에 의한다. ③진로 진학 상담 교사는 학교당 1명 이상을 배치하여야 한다. ④서울시교육청에서 제시하는 중등 진로 진학 상담 교사 공통직무는 진로 진학상담부장 교사로서 학교의 진로 교육을 총괄하는 업무를 중심으로 15개 항목으로 제시하고 있다. ⑤교육부에서는 중등학교에서 진로지도를 할 때 참고할 진로지도 지침 진로지도 모형을 활용하고 있다. 둘째,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과제는 ①진로지도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진로지도 모형의 이론적 근거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②전 교사의 진로 교사 화가 필요하다. ③중학교와 고등학교에 현재 1명으로 배치 되는 진로 진학 상담 교사의 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④교과 통합형 진로 교육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과 기관변인에 따른 직업행복감 연구 (A Study on Childcare Teacher's Career Happiness according to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 강은진;김정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39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career happiness according to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035 teachers were surveyed. The validity of the career happiness survey tool was examined through previous research, expert review, and fact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dividual variables influencing career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were mainly ag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areer happiness of teachers over 40 years old and teachers under 29 years old. Second, the teachers at home daycare centers showed a high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orking hours. The teachers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have a good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and teachers at corporate group daycare centers have a high sense of happiness about income. The childcare teacher's career happiness was generally higher than infant teachers, and the support of the assistant teacher had an effect on the career Happiness of the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eparate teacher support is needed to increase the career happiness of teachers according to their age and institutional variables.

초등학생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자기격려,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Self-encouragement,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 장용희;한정현;이재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515-523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자기격려, 진로자기효능감 그리고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청주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교사애착, 또래애착, 자기격려,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모델의 적합도 지수는 CFI=.957, TLI=.951, RMSEA=.049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은 자기격려,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격려와 진로자기효능감은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의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진포포부에 대한 학과 및 전공만족도와교사효능감의 영향력 검증: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erifying the Impact of Department and Major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on the Career Aspir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 김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41-52
    • /
    • 2024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진로포부에 대한 학과 및 전공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118명의 자료가 수집 및 분석되었으며, 학과 및 전공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학과 및 전공만족도는 진로포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 중 일반적 만족도가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교사효능감 및 그 하위변인인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모두 진로포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교사효능감은 학과 및 전공만족도와 진로포부 사이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교육에서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교육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학과 및 전공만족도 향상과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한 대안적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영아교사의 경력 및 교사효능감과 민감성, 전문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Infant Teachers' Career, Efficacy, Sensi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 김진경;강은영;윤혜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55-171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infant teachers' career, efficacy, sensi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infant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in Gyeonggi-do and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pplied to SPSS 22.0 program. With the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ly, infant teachers' career didn'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directly, but indirectly affected their efficacy and sensitivity. Secondly, the variables that direct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were teacher efficacy and sensitivity. Thirdly, teacher efficacy and sensitivity had full mediation between their career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Conclusion/Implications: Infant teachers' career affecte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teacher efficacy and sensitivity. Based on the result, a plan for developing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proposed, and suggestions of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