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reservic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on Career Stress : Career Aspiration as a Mediator

예비보육교사의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 오대연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
  • 이병임 (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 Received : 2017.04.28
  • Accepted : 2017.06.24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competency on career stress and the effect of career aspration as a mediay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mpetency and career stress. The survey based on self report questionnaires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200 students in child education and care college in Gyeonggido areas.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 First, the result which examined the cor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has found to be the significant correlationship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competency, career stress and career aspiration.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competency and career aspiration hav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ut career stress and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and career aspiration have found to have the negative correlationship. Second, the result which examined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aspi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mpetency and career stress has found that career aspiration has the complete mediated effects. Consequently,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spiration were confirm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in the study meanings. limitations and proposals for next studies in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의 보육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핵심역량과 진로스트레스 그리고 진로포부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과 진로포부 그리고 진로스트레스의 상관관계는 핵심역량이 높을수록 진로포부는 높아지고 진로스트레스는 낮아졌다. 둘째, 핵심역량과 진로포부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핵심역량의 하위요인인 자질과 태도 및 능력역할과 진로포부는 진로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직접적인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진로포부를 매개로한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핵심역량은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부분에서는 연구에 대한 논의 및 제한 그리고 추후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국현(2016). 전문대 학생의 진로포부와 개인 및 대학변인의 위계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성재(2013). 남녀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주희(2013).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 대한 자기조절 학습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목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준호(2010). 교사의 핵심역량이 학생의 학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진언(2011). 보육교사의 핵심역량 구성요인 분석에 기초한 보육 교사 교육과정 모형탐색. 강원대학교산업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문용린, 유경재, 전종희, 엄채윤(2007). 개인의 역량 측정을 위한 다중지능 하위요소의 재분석. 교육심리연구, 21(2), 283-309.
  7.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8. 윤여복, 이기성(2010). 교원연수 담당자의 역량에 관한 수행 수준 분석. 유아교육연구, 6(4), 69-93.
  9. 박경진(2015). 보육교사의 보육 현장 핵심역량 인식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요구 조사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선희(2008).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선영(2015).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승태(2011).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 박은혜(2002).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유아교사의 지식. 서울: 창지사.
  14. 박혜경(2012).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학론집, 16(6), 189-211.
  15. 배진오(2013).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수준 및 요구조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백혜리(2008). 보육교사론. 서울: 동문사.
  17. 박희락(2009).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통한 진로태도성숙도의 예측: 진로스트레스 및 스트레스대처 전략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손흥숙(2015). 보육정책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한국보육학회지, 15(2), 65-84.
  19. 성병창, 부재율, 한경임, 이경화. (2009).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조사.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78-95.
  20. 신원(2007).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포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신현정(2012). 유치원 초임교사 교직역량 개발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신혜원, 김의향(2015). 2급 예비보육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보육필수영역 교과목 운영의 방향성 모색. 한국보육학회지, 15(4), 345-368.
  23. 유성경, 홍세희, 이아라(2006). 남녀 학업 우수 청소년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와의 관계에서 학업 효능감의 매개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837-851.
  24. 유순규, 김은주(2016). 대학생들의 삶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K-CESA 핵심역량, 진로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진로교육연구, 29(2), 1-26.
  25. 유영의(2011). 미국과 캐나다의 유아교사 핵심역량 분석과 교육적 시사. 교육사상연구, 25(2), 153-177.
  26. 윤현희(2008). 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경미(2010). 전문대학생의 일반적인 개인 특성 및 성격 5요인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직업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숙정(2013).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미결정 및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6(1), 119-139.
  29. 이봉재(2012).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6(2), 227-249.
  30. 이지혜(2014).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분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정순(2012).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기반한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분석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홍민, 김종인(2003). 핵심역량 핵심인재. 서울: 리드리드출판.
  33. 임승렬.1990). 전문성을 키워나가기 위한 현자의 조건: 교사의 전문성과 역할. 한국 어린이 교육협회. 1990년도 가을 세미나 자료.(박경진, 2015년 재인용)
  34. 임옥경(2014). 유치원 교사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임은정(2009). 유아교육기관장 역할 역량 척도 개발. 홀리스틱교육연구, 13(3), 87-108.
  36. 전겸구(1998). 대학생용 생화스트레스 척도개발연구 II. 재활과학연구, 14(1), 15-37.
  37. 주영주, 김동심(2014). 특성화고교생이 경제적 스트레스, 학교소속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교만족도의 규명관계. 교육과학연구, 45(1), 73-95.
  38. 최숙현(2007). 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최화영(2015).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미래지향 시간관, 자기통제력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삭사학위논문.
  40. Boyatzis, R. E.(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41. Farmer, H. S., & Chung, Y. B.(1995). Variables related to career commitment, mastery motivation, and level of career aspirat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1(4), 265-278. https://doi.org/10.1007/BF02106151
  42. Gottfredson, L. S.(1996). Using Gottfredson's theory of curriculum and compromise in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71-100.
  43. Kim, Y. H.(2014). Measuring career aspirations in korean college women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44. McClelland, D. C.(1973). Test for competency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45. O'Brien, K. M.(1996).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adolescent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8, 257-274. https://doi.org/10.1006/jvbe.1996.0024
  46. OECD(2002).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DeSeCo):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strategy paper. OECD press.
  47.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NY: John Wiley.
  48. http://hikostat.kr/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