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Search Self-Efficac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초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결정몰입에 대한 인식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 이경아;김진현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42-4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397 nursing students in D city from October 1 to October 8, 2014.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was 3.42, 3.08 and 3.27 on a Likert 5 point-scale respectivel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of subjec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career support program from 1st grade to improve nursing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on Career Search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문인오;이경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3-91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on nursing students' career search behavior.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544 students by means of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about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from March 2 to April 5, 2010. Result: The average score of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was 3.61, 3.37, and 2.39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behavior, between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and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er search behavior.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elf-Esteem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 이주양;차석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42-55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진로탐색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행동, 진로탐색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 영향 관계를 살펴본 후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행동 간 관계에서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청남북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의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인 중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4개 요인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냈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면접효능감 1개 요인에만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진로탐색행동의 매체이용 직업탐색,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직업탐색 등 2개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직업탐색효능감과 관계구축효능감, 개인탐색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행동 간 관계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과 학교소진이 진로탐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ality Shock and School Burnout on Career Search Self-Efficacy)

  • 이해정;엄세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245-25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의 진로탐색 측면에서 개인적 변인인 학교소진과 환경적 변인인 현실충격이 예비유아교사의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 학교소진, 진로탐색효능감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과 학교소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 현실충격과 진로탐색효능감, 학교소진과 진로탐색효능감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 학교소진이 진로탐색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진로탐색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reer Search Programs on Career Search 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in Nursing Students)

  • 문인오;김희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3-402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a Career Search Program on career search 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pre-post test of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Fifty first grade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2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in the control group. We used a Career Search Program which was held 6 times over 6 weeks, 90 minutes per session.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and independent t-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19.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career search efficacy (t=2.07, p=.044) and career search behavior(t=2.65, p=.011)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career decision making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t=0.96, p=.342).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areer grade Search Program has an effect on increasing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in first grade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more programs to impact career decision making should be developed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이공계 대학생의 직업교육에서 숙달목적지향성과 시간관리능력이 직업탐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Time Management Ability on Job Search Self-Efficacy in the Vocational Education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정애경;김지심;김정화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12-2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직업교육에서 이공계 대학생이 가지는 숙달목적지향과 시간관리가 직업탐색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 이공계 남녀 대학생 5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직업탐색효능감, 숙달목적지향, 시간관리를 검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첫째, 숙달목적지향성은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을 모두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관리능력은 진로목표선택효능감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성별 및 거주지역에 따른 숙달목적지향성, 시간관리능력,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의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숙달목적지향성의 평균은 높은 편이나, 시간관리능력의 평균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리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Focused on Culinary Major Students -)

  • 서경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6-158
    • /
    • 2017
  • 본 연구는 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data는 SPSS 16.0 Version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양한 결과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모든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행동준비전략, 자연보상 및 건설적 사고전략)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직업정보, 목표설정, 계획수립, 문제해결, 자기평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셀프리더십 하위요인은 진로준비행동 하위요인(진로탐색활동, 목표달성활동)에 정(+)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의 강화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으로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치위생과 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on career search behavior in dental hygiene students)

  • 정기옥;최규일;배지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68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Dental Hygienic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their major and sense of career exploration efficacy on thei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so that the key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help the university students to explore career related to their major and to assume rational attitude towards their career path.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45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ic at the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Gyeongsangbuk-do and Chungcheongbuk-do.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s based on the use of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an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1. Total grade of the Dental Hygienic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their major was $3.36{\pm}.49$ points, while total grade of the sense of career exploration efficacy was $3.06{\pm}.46$ points. In case of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 total grade was $2.76{\pm}.53$ points. 2. In case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their maj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lass, grade and motivation for admission. As for the sense of career exploration 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rade. 3. Sense of career exploration 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demonstrated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their major manifested positive correlation. Sense of career exploration efficacy manifested positive correlati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4. As for the elements that affect Dental Hygienic stud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y were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their major and sense of career exploration efficacy,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9.0%. Conclusions : It should be necessary to study the elements that affect Dental Hygienic stud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 greater depth using diverse methods and information in order to increase sense of career exploration efficacy so that the individual Dental Hygienic students can engage in detaile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for the sake of their career path.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가 진로 탐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on Career Exploration)

  • 김영란;이상직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2호
    • /
    • pp.159-172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실증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은 사회인지진로모형(SCCT)을 기반으로 대학생의 특성을 반영하여 도출하였다.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독립변수로 채택하였다. 이에 대한 선행 변수로 성취경험, 언어적 격려, 대리학습, 긍정적 정서를 채택하였다. 실증분석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획득한 217부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구조방정식으로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취경험, 대리학습, 긍정적 정서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언어적 격려와 긍정적 정서는 결과기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언어적 격려는 자기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경험과 대리학습은 결과기대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검정되지 않았다.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모두 진로 탐색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 관계에 있어서는 결과기대가 자기효능감보다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관련 변인들의 관계 탐색 (A Search of Relationship of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Related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 남광석;문은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79-100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타협이 진로관련 변인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진로타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직업희망, 진로동기, 진로관여행동의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초 통계 분석,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및 직업희망이 높을수록 진로타협 수준은 낮아졌으며, 그 상대적 영향력은 직업희망이 가장 컸다. 또한 진로타협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동기와 진로관여행동이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진로타협은 진로관련 요인들과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상담자는 진로지도 및 상담 시 대학생들이 진로타협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