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Outcome Expectation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공과대학생의 학업지속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공학효능감과 결과기대, 흥미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ngineer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Interests, Learning Persis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Students)

  • 이명화;이정민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13-2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ngineer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interest, learning persis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students. Participants (n=428) completed measures of engineer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interests, learning persis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found to support the proposed model which included learning persis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fluence from engineer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interests. In addition, major persistence inten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are influenced b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engineering self-efficacy, interest, and outcome expectation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n practice for Korea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are discussed.

Outcome Expectations and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Integration of Planned Behavior an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 LUC, Phan T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6호
    • /
    • pp.399-407
    • /
    • 2020
  • The paper examines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outcome expectations. The proposed model incorporates outcome expectations from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s. The study also introduces a scale for outcome expectations in social entrepreneurship, including solving social problems, innovation, family tradition of social involvement, meaning in life, prestige and social recognition, competitive and favorite job and wealth. A survey of 279 students was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structured interviews. The confirm factor analysis and techniqu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latent constructs.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outcomes impact only through three determinant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do not have significant impact to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suggests that outcome expectations may be a flexible factor. Individual outcome expectations can shift to motivations when facing favorable conditions such as family support, government support, etc.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ability to predict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attitude toward behavior,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e proposed model in this study contributes importantly to the emerging literatur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particularly to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is also the first quantitative study to measure the impact of outcome expectations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가 진로 탐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on Career Exploration)

  • 김영란;이상직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2호
    • /
    • pp.159-172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실증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은 사회인지진로모형(SCCT)을 기반으로 대학생의 특성을 반영하여 도출하였다.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독립변수로 채택하였다. 이에 대한 선행 변수로 성취경험, 언어적 격려, 대리학습, 긍정적 정서를 채택하였다. 실증분석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획득한 217부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구조방정식으로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취경험, 대리학습, 긍정적 정서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언어적 격려와 긍정적 정서는 결과기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언어적 격려는 자기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경험과 대리학습은 결과기대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검정되지 않았다.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모두 진로 탐색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 관계에 있어서는 결과기대가 자기효능감보다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관련 변인들의 관계 탐색 (A Search of Relationship of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Related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 남광석;문은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79-100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타협이 진로관련 변인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진로타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직업희망, 진로동기, 진로관여행동의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초 통계 분석,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및 직업희망이 높을수록 진로타협 수준은 낮아졌으며, 그 상대적 영향력은 직업희망이 가장 컸다. 또한 진로타협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동기와 진로관여행동이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진로타협은 진로관련 요인들과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상담자는 진로지도 및 상담 시 대학생들이 진로타협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진로적응성 :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Career Adaptability of Nursing Students)

  • 김은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33-742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강점인식과 진로적응성과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대학교 3곳의 간호대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및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진로적응성은 강점인식(r=.61, p<.001) 및 결과기대(r=.55, p<.001)와 정적 상관관계를 강점인식은 결과기대(r=.41, p<.001)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과기대는 강점인식과 진로적응성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Z=3.85, p<.001), 강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𝛽=.44, p<.001), 결과기대가 높을수록(𝛽=.33, p<.001), 진로적응성 수준이 높아지며, 진로적응성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50%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적응성 증진을 위해서는 개인에 대한 긍정적 사고로 강점을 인식하도록 할 뿐 아니라 바람직한 결과기대 형성을 위한 태도를 동시에 증진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사이버 정보보호 인력의 양성과 유지를 위한 방향: 정보보호 전공자들의 직업 선택 의도에 관한 연구 (A Road To Retain Cybersecurity Professionals: An Examination of Career Decisions Among Cybersecurity Scholars)

  • 채상미;김민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95-316
    • /
    • 2012
  •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 사이버 정보 보호는 가장 중요한 분야로 대두 되고 있는 가운데 전문적인 정보 보호 인력에 대한 수요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 하고 있다. 전문적이고 능력 있는 정보 기술 인력의 보유는 정보화 사회에서 향후 경쟁력과 리더십을 얻는데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정보 보호와 관련한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을 중심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그들의 전공선택과 향후 정보보안과 관련한 직업을 선택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 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학생들이 전공 선택과 직업선택에 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 요인들과 학생들의 전공 및 직업선택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향후 우리 사회가 보다 우수하고 전문적인 정보 보호 인력을 양성하고 유지하는 데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여대생의 일가정 다중역할계획의도 예측모형 연구: 사회인지진로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의 통합 (Predictive Model of the Intent of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tegration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김지은;박미석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4호
    • /
    • pp.539-560
    • /
    • 2020
  • This study presents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by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 a new approach to worklife balanc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university years as a key time frame during which students establish their career paths. This study integrates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the planned behavior theory to design and evaluate a model that explains the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process; in addition, it develops an optimal model to predict the intention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This study has conducted a structural survey with 500 female university students. After inspecting the data, the responses of 435 participant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SEM) with SPSS 21.0 and AMOS 21.0. The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suitability of predictive model presents a satisfying fit. The major factors in this study's model (parental support, subjective norms, attitudes toward multiple-role planning,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are verified as direct and indirect predictors of the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intent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strongest predictive factor for the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intent is the social environment factor (subjective norms), indicating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pressure on intent is relatively large. The predictive model formulated under this study's integrated theoretical framework supplements existing research that focused on attitudes toward multiple-role planning as well as provides a more profound theoretical foundation on which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behaviors can be better understood.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하여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and Behavioral Problems in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a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 손해경;이혜정;김미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314-321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이론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13년 11월 18일부터 29일까지, S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재학생 384명(남자 186명, 여자 198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도구는 개인 배경 변인, 진로 관련 변인(진로장벽, 학습경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미결정),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관한 자기기입식 설문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다중 회귀분석 결과, 개인적 변인으로 스트레스 인지(t=5.12, p < .001)와 평상시 건강상태(t=-4.08, p <.001), 배경적 변인으로 학업성적(t=5.46, p <.001), 진로 관련 변인에서 진로장벽(t=10.57, p <.001)이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의 영향요인으로 개인 배경 변인과 함께 진로장벽을 확인하였다. 특히, 진로결정은 발달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으므로 진로를 선택하는 청소년 후기에 이를 고려한 예방적, 중재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중재 개발과 학교보건 및 실무에의 적용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사회 인지 관점에 따른 사회 정의 관심과 실천 모형의 검증: 국내 대학생을 중심으로 (Social-Cognitive Model of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for Korean College Students)

  • 민문경;안현의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2호
    • /
    • pp.133-154
    • /
    • 2014
  • 본 연구는 Miller와 동료들(2009)들이 사회 정의 실천을 예측하는 이론적 틀로써 사회 인지진로 이론(SCCT)을 사회 정의 영역에 적용한 연구를 국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 검증한 것이다. 국내 대학생의 사회 정의에 관한 관심과 실천에 기저하는 심리적 과정을 살펴보고 사회 정의 활동을 촉진하는 개입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교의 남녀 학생 337명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의 과대 추정을 막기 위해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사회 정의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가 관심에 영향을 주고 사회 정의에 대한 관심이 실천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모형이 국내 대학생들의 사회 정의 관심과 실천을 설명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장애가 자기 효능감을 통해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 효과 모델이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장애가 실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 효과 모델보다 자료를 설명하는 데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정의 영역에서만 나타난 독특한 경로로 결과 기대를 통한 사회적 지지의 간접 효과가 입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