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Motivation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5초

STEM 전공 대학생의 진로동기, 진로탐색행동에 대한 인식 차이와 영향요인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STEM Student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 황순희;조성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31
    • /
    • 2024
  • In recent times, STEM graduates are confronting a decline in employment rates influenced by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policy-related factors. Career decisions are closely linked to education, college experiences, and university settings. To comprehend the reasons behind the decline in STEM employment, it is essential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2,393 STEM undergraduates in Korea. Additionally, factors affecting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ased on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data, 37.8% of career motivation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s,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Fo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30.1%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ender,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Practical implications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educational and policy support, considering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to effectively address challenges faced by STEM graduates in the evolving employment landscape.

진로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동기의 순차적 매개 효과 (Effect of Career Stres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otivation)

  • 이혜란;김현;현병환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3호
    • /
    • pp.241-249
    • /
    • 2024
  • 본 연구는 대학생 자신과 대학교 진로 관계자가 성공적으로 진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고자 했다.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대학생이 성공적으로 진로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행동에 영향을 주는 개인 변인을 도출했고, 변인 간 관계의 유의미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전국 4년제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자기효능감에 부적 영향를 미쳤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동기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동기는 진로준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사이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가 순차적으로 매개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이 성공적으로 진로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개인적 변인을 찾고, 변인 간 관계를 확인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아울러 대학교 진로 관계자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를 높일 수 있는 진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했다.

다문화가정 중3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학교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영향: 진로태도 매개효과 (Impact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Middle School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 김혜금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663-671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ir third year of middle school influence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It also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An analysis was performed on data obtained from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ho participated in the sixth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achievement motivation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career attitude and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Secondly,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areer attitude both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Thirdl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verified.

실습선 승선실습 만족이 해기 교육생의 진로 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tisfaction for on-board training on the training ship to the career motivation)

  • 안종갑;박유진;정유진;안영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8권1호
    • /
    • pp.85-93
    • /
    • 202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satisfaction with on-board training had an effect on career motivation of the trainees. For this purpose, satisfaction for on-board training and career motivation were used as variables. Satisfaction for on-board training were classified into education, environment and operation, and then measurement items were composed. Career motivation consisted of career identity, career insight and career resilience. To establish and test nine hypothes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57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on-board sailing training in 2021.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response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used.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six factors for satisfaction for on-board training were derived. Among the factors, it was analyzed that satisfaction with assignments, the satisfaction with accommodat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adequate condition of facilities and equip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otiv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areer motiv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rough on-board training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s of career motivation before and after on-board training.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 및 진로동기와의 관련성 (Correlations of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otivation in College Nursing Students)

  • 강영숙;황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301-330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에 재학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진로동기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가 진로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부산시 소재 3년제 간호대학 2개교와 경상남도 소재 3년제 간호대학 2개교에서 간호대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진로동기, 전공만족도과 진로동기, 자아존중감과 진로동기 간에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진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beta}$=.48)와 자아존중감(${\beta}$=.23)으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34.5%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진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고 진로동기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동의 진로성숙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 박은진
    • 초등상담연구
    • /
    • 제6권1호
    • /
    • pp.49-7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This study targeted the fifth grader underachievers. Twenty underachievers, whose pre-test homogeneity in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was verified, were allocat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by 10 underachievers each.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2 sessions, twice per week, and each session lasted 80 minutes. For verification of the program effects in this study, MANOVA and ANOVA were carried out for pre- and post-score tests between the groups, and repeated-MANOVA and paired t-test were peformed to look into the changes within a group by using SPSS/WIN(version 12.0) in terms of statistical analys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ost test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difference verification of post and pre-test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both career maturity and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as a result of difference verification of the pre- and post-test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ement motivation significantly improv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motivation in the post-test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owever, of the sub-factors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self-confidence and Interest in the long-term future significantly improved. Third, we can see that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 underachievers to search their own character, interest, and aptitude, and broadly encounter the world of occupations. Also, we can infer that the underachieves had active and developmental attitudes towards future dreams and their current efforts. As noted above,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proved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to the improv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some variables.

  • PDF

간호근무환경이 병원간호사의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동기와 직업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Effects of Nursing Work Environment on Intention to Stay of Hospital Nurses: A Two-Mediator Serial Mediation Effect of Career Motivation and Job-Esteem)

  • 이유나;김은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622-634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motivation and job-esteem and the effect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on intention to stay among hospital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89 nurses working at an advanced general hospital. The research model design was based on the PROCESS macro proposed by Hayes and analyzed using SPSS 24.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ntion to stay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 = .19, p = .001), career motivation (r = .34, p < .001), and job-esteem (r = .37, p < .001). Nursing work environment (B = 0.34 [.09~.59]) and job-esteem (B = 0.27 [.04~.49])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to stay. There was a two-mediator sereal mediation effect of career motivation and job-esteem.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stay among hospital nurses through career motivation and job-esteem.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retention rate of hospital nurses, it is suggested that government and medical institutions provide multifaceted support that can increase nurses' motivation for career development and recognition of the nursing profession through improvement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대학생활에서의 진로동기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플로리시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Flouris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College Life)

  • 이정아;김미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931-938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이 이들의 진로결정 및 진로과업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인식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진로동기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함과 동시에 진로동기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플로리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355명을 연구대상으로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플로리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플로리시는 보통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플로리시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동기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플로리시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동기와 플로리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이들이 진로결정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진로동기와 플로리시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대학생의 진로 결정과 진로 선택 동기, 진로 역량의 인과적 관계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for Career Choices, Career Capabil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 김은정;이태원;성행남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73-89
    • /
    • 2021
  • 대학생 시기에 진로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진로를 결정하는 것은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과업 중 하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 선택 동기와 진로 역량 및 진로 결정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소재 4년제 D대학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총 326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5와 AMOS 25를 이용하여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첫째 내재적 진로 선택 동기와 외재적 진로 선택 동기는 각각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는 진로 결정 구성 요인인 진로 결정 구체성과 진로 결정 확신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진로 선택 동기와 외재적 진로 선택 동기는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를 매개하여 진로 결정 구체성과 확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의 진로 결정의 구체성과 확신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진로 성찰 역량과 진로 관리 역량을 증진 시킬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확실한 고용환경의 변화와 높은 청년 실업률과 함께 직업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고도로 전문화되면서 대학생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 결정에 대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의 진로 상담과 진로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대학생의 진로 결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전공선택동기와 학업성취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jor Choice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Maturity)

  • 문은조;오지원;김용석;박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61-168
    • /
    • 2023
  • 이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개인적 동기, 사회적 동기),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C도 소재 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전공선택 개인적동기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도는 전공선택 개인적동기(r=.417, p=.0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전공선택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은 전공선택 개인적 동기, 경제활동, 전공계열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24%이었다. 따라서 전공과 관련있는 분야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대학차원의 지원이 필요 할 것으로 보여지며 전공선택시 개인적동기가 중요한 만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체험이나 미래 직장체험등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여 전공선택시 개인적 동기를 높이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