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6초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jor Satisfaction, Occupation Value View and Career Decision-Marking Self-Efficacy of Beauty Majoring students)

  • 표영희;윤미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44-153
    • /
    • 2019
  • 본 연구는 뷰티관련 학과에서 보다 질 높은 교육과정을 통해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화되고 경쟁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뷰티전공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 및 직업가치관과의 구조적인 상관관계를 설문수집과 통계분석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뷰티관련 대학의 뷰티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 직업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구직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하여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공만족도는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p<.001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진로결정과 구직결정에 대하여 p<.001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중 진로결정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공만족도와 직업가치관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있어 구조적으로 유의미하게 작용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대학생의 전공만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in Job-Seeking)

  • 김수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31-238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만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서울, 경기도의 뷰티전공 2년제 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전공만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자신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각 변인들 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전공만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자신감에 통계적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전공만족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으로 자기평가, 문제해결, 목표선택에서 통계적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섯째, 전공만족이 취업자신감에 통계적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넷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자신감에서 통계적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areer Goal Orientation on Career Identify : According to Life Styl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a Medium)

  • 이현숙;양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05-213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J도에 위치한 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331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SPSS win 24.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은 각각의 변수 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은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lanning of Career Interrupted Women)

  • 이수분;이정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2호
    • /
    • pp.51-6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직업교육과 상담에 참여하고 있고, 취업의사가 있는 경력단절 여성 27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방법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이후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 및 상담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College Adju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First-Year Nursing Students)

  • 이현주;김덕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2-102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adjus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first-yea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descriptive research involved 250 nursing freshmen at two local universities and analyzed data from the final 170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the Kruskal-Wallis test, the Mann-Whitney U test,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was assessed following Baron and Kenny's three-step verification procedure,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determined by bootstrapping. Results: Academic adjustment (β=.24, p<.001)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β=.20, p=.004), sub-factors of college adjustment, were identifi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β=.47, p<.001). Conclusion: Enhanc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first-year nursing students could become more effective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cused on career exploration and counseling, which include content to promote self-leadership and college adjustment (academic adjustment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간호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학업성취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on Nursing Students' Happiness)

  • 김순희;이선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3-72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job-seeking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had an influence on nursing students' happines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47 nursing students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9.0 using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actors that had an influence on happiness included major satisfaction(highly unsatisfied ${\beta}=-.251$, p=.001),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between four and six million won ${\beta}=.222$, p=.002),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beta}=.198$, p=.010), major satisfaction(satisfied ${\beta}=.196$, p=.006), and subjective health(unhealthy ${\beta}=-.167$, p=.020). These factors explained 33.5% of the variance in student happines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job-seeking stress were important intrinsic factors in the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Thus, it is necessary to help these students attain more self-efficacy, self-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rather than focusing on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increase their happiness.

감사성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마음 챙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 김은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9-145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성인의 직업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감사성향, 마음챙김, 그리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사이버대학교와 대학원에 재학 중인 89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감사성향과 마음챙김, 그리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 정적 상관이 유의미 하였다. 또한 감사성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 챙김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성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접효과가 정적인 관계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간접효과와 총 효과 또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감사성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마음 챙김이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진로결정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사와 마음챙김을 경험할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Job-Seeking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 장현정;이정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62-7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3개 대학 간호학과 재학 중인 228명을 편의표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첫 희망진로, 취업준비정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순이었으며,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9%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예방, 대처 및 완화를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가를 위한 차별화된 취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전문대학교 언어재활과 학생들의 실습 불안과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 및 진로결정 수준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ractical Training Anxie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tudents Majoring in Language Rehabilitation in College)

  • 이명순;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69-179
    • /
    • 2016
  • 본 연구는 전문대학교 언어재활과 학생들의 실습불안,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을 평가하여 학생들의 진로 지도에 효율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자료들은 18.0 SPSS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성적, 실습시간에 따라 Mann-Whitney test와 kruskal-wallis test 등 비모수 검정과 Bonferroni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재활과 학생들은 학년에 따라 실습불안의 실습내용 및 운영과 실습평가와 진로결정수준의 확신수준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언어재활과 학생들은 성적과 실습시간에 따라 실습불안,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수준의 대부분 하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앞으로 다양한 분석과 표집을 통한 차후 연구로 전문대학교 언어재활과 학생들의 진로 지도 지원에 대한 토대를 이룩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Calligraphy Program

  • Heesun Ko;Hyunjung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429-434
    • /
    • 2023
  • This is a single-group pre-post study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calligraphy program on nursing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elf- leadership. The data collected from 231 second-year nursing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5.0 to determine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to analyze the effect of calligraphy,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After the program, bo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7.23, p<.001) and self-leadership (t=6.81, p<.001) improved. The analysi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after the program showed a strong correlation (r=.849,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a calligraphy program in promoting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s who do not have clear career goals. Stud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calligraphy program was 4/5 points, and they most highly evaluated the smooth interaction between fellow students through the program.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cultural arts educ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in social and educational fields around the world, calligraphy has the advantage of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basic arts for the revitalization of cultural arts, so educational support is needed not only in term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pursuing self-actualization of individuals with emotional expression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but also at the soci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