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Awareness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3초

중학생의 가정과교사 특성지각과 가정과 수업을 통한 인성적 도덕성 (Home Economics Teacher Characteristics and Affective Morality through Home Economics Instruction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 김성교;채정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57-7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economics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morality through Home Economics Instruction. The affective mor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taking home economics classes were assessed and investigated as to what sorts of affective morality there were and to find out what level they were. further, what factors affected the affective mor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idering the variable factors of home economics teachers. 800 first year male and female students of 17 middle schools located in Cheonju and Cheongwon were selected through non-random or accessible sampling. The frequency, precen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t-test, and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of these data were obtained by using the SPSS 10.0 for Window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asic etiquette was the most important rated the highest among the affective morality, nature preservation turned out the lowest in each questionnaire. Learned in home economics, it was considered the highest goal; Second, in terms of character and affective mor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male students ranked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students with a better academic performance record, and those who engaged in club activities showed better results in affective morality as did students with religious beliefs and students with better educated parents and also students from homes with better financial situations. Third, in terms of students'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with a good nature turned out the highest, teaching ability and career awareness and also reflected at the same level. Fourth, students'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their affective morality are honed out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 correl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career awareness and compassion${\cdot}$devotion${\cdot}$service morality proved to be the highest. Fifth, the affective morality of those students who do community service, club activities and those who are interested in home economics and who respect home economics teachers tended to be high.

초·중등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과 교육요구도 분석: 초·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 Focused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 백민정;강경균;이범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64-574
    • /
    • 2017
  • 최근 세계적으로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주요 이슈로 기업가정신과 창업 활성화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분위기를 조성하고 기회를 지속적으로 탐색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가정신 발현을 통한 양질의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시기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편성 운영하여 학생들의 기업가정신을 함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현재 초 중등학교에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교사들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필요수준이 매우 높았다. 둘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에 대한 필요 수준에 비해 현재 진로 교사들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에 대한 수준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비교하여 Borich의 교육 요구도 산출 결과,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의 함양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구성원의 인식에 대한 요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을 위한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에 대하여 교사 전문성, 교육 환경, 교육 지원, 구성원들의 인식 등 기업가정신 교육 전반에 걸쳐 교육 여건이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회 및 학교 구성원들의 연수 및 홍보를 활성화 하고, 연수를 통해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함양하여야 한다. 또한 청소년들이 진로를 스스로 혁신하여 개척할 수 있도록 정부 기관에서 협력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한다.

고등학교 화학 Ⅰ교과서의 STS 교육 내용 및 구성 방식 개선 방안 (Improvement Schemes of STS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High School Chemistry Ⅰ Textbooks to be developed by the 7th Curriculum)

  • 홍미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91-49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되어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중인 화학 I교과서에서 과학-기술-사회(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이하 STS) 내용 및 활동 유형, 제시 방식 등을 검토하고, 이 결과을 외국의 대표적인 고등학생용 STS 자료를 분석 한 결과와 비교하여, 장차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될 고등학교 화학 I교과서에서 적절한 STS 내용 및 구성 방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화학 I교과서 중 임의로 5종을 선택하여 STS내용, STS 교수 학습 활동 유형, STS 내용 제시 양식, STS 내용의 포함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외국의 STS 프로그램 중에서 Chemistry in the Community,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Chemistry; The Salter's Approach를 선택하여 구성 방식의 특징,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학습 주제 및 우리 나라 화학 I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학습 내용적인 살펴보면, 제 6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된 화학 I교과서에서는 주로 '사회적 문제','과학의 응용성', '과학의 다차원성'만 다루고 있고, '과학에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 문제에 대한 협동 작업'과 관련된 내용은 전혀 없으므로 다양한 측면의 STS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다고 볼 수 있었다. 반면, 외국 교재에서는 과학${\cdot}$기술과 관련된 직업을 소개하는 난이 독립적으로 되어 있거나 실제로 의사 결정을 해야 하는 내용 등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활동 유형을 살펴보면, 지역에 대한 사례 조사, 역할 놀이, 다양한 의사 결정 활동 등 다양한 학생 활동을 제시하고 있는 외국 STS 교재에 비하여 우리나라 화학 I교과서는 설명 위주였으며, 조사와 토론 활동이 대부분이므로, 학생 활동이 상당히 빈약하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비하여 STS 내용 포함 비율은 높아졌으며, 책마다 STS에 대하여 따로 소개하고 있어서 우리 나라의 화학 교과서가 STS적인 성격을 띠려고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 나라 제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화학 I교과서에서의 STS 내용 및 구성 방식을 제안하였다.

  • PDF

직업인으로서의 과학기술자 및 여성 과학기술자, 그리고 역할모델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Study on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Scientist and Woman Scientist as Career and Its Role Model)

  • 이혜숙;최경희;이재경;마경희;이기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4-19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이공계 위기를 극복하고 또한 여학생의 이공계 진출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 자료로서, 중고등 학생을 대상으로 직업인으로서 과학기술자에 대한 인식, 여성의 이공계열 진학 및 과학기술 관련 직업을 갖는 것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국내외의 남녀과학기술자의 인지도와 존경하는 남녀과학기술자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직업인으로서의 과학기술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은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으나, 대학 전공과 직업 선택에 대한 관심이 보다 구체화되는 2학년이 1학년보다 그리고 이러한 부정적 인식을 자신의 일로 심각하게 고려할 가능성이 높은 이학공학정보과정 학생이 인문사회어문과정 학생보다 부정적 인식이 높다. 또한 여학생의 이공계 진학과 여성 과학기술자에 대한 인식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문항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여성의 사고나 신체적 차이로 인한 이공계 진학의 부적합성'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정도가 낮았지만, '취업과 근무조건 등 비교적 현실적 측면'을 반영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국내외의 남녀과학기술자의 인지도는 남성과학기술자에 비해 여성과학기술자, 특히 여성과학기술자 중에서도 국내 여성과학기술자에 대한 인지도가 훨씬 낮게 나타났다. 또한 높은 비율의 여학생들이 존경하는 여성 과학기술자의 상을 갖지 못하고 있었다.

교회학교 유치부 교사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Church School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 김성혜;강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77-97
    • /
    • 2012
  • 본 연구는 교회학교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유치부 교사 278명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방법으로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필요성 및 교육내용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유치부 교사들에게 배부한 후 회수하였다. 회수 된 설문지는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X2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내용에 관한 문항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은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관심과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배경변인중 학력, 교육경력, 전공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로는 부모교육과 유아발달이해, 문제행동 영유아지도법, 영유아와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의사소통법, 영유아 기질 이해 및 기질에 따른 교육방법, 교사를 위한 영성훈련 순으로 나타났다.

치위생학과 졸업예정자의 취업스펙이 취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Qualifications and Experiences in the Employment of Dental Hygiene Students)

  • 박주현;송윤신;최은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7-2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졸업예정자들의 취업스펙이 취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진로, 취업준비에 관한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대학이나 기관에서 취업에 대한 효과적인 경쟁력 강화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취업스펙의 기본요소는 취업경쟁력지수에 높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취업스펙의 감동요소는 취업경쟁력지수에 높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두 개의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취업스펙의 기본요소 중 외국어 수준과 호감도가 낮게 나타났고, 직무능력과 감동요소 중에서는 기업의 이해, 직무와 관련된 교육, 자격취득 및 직무에 대한 경험 등이 낮게 나타났다. 이에 직무관련 교육과정의 개발 및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취업경쟁력 강화가 필요해 보인다.

중학생을 위한 창의적 재량활동 프로그램 요구도 (Analysis of Demand for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in the Middle School)

  • 김명자;김정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2
    • /
    • 2003
  • 이 연구는 가정과 교사들에게 창의적 재량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서울시내 중학생 521명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다. 청소년 발달 특성을 기초한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 진로 탐색, 가족 관계,동료간의 우정, 성에 대한 이해, 예절 영역의 요구도 척도를 개발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재량활동 범교과 학습에 대하여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 진로 탐색이 가장높은 요구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가족관계, 동료 간의 우정, 청소년의 부적응, 예절, 성에 대한 이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재량활동 범교과 학습 요구도의 문항내용을 분석해본 결과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 영역의 모든 문항과 나의 잠재 능력 찾기, 나의 적성에 대하여 알아보기 등이 4점 이상의 높은 요구도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3.5점 이상을 나타낸 것은 나의 흥미 알아보기, 변화하는 사회와 직업, 새로운 직업 건전한 직업 가치관, 삶의 목표, 나의 미래 모습, 가족 간의 사랑 일깨우기, 생활 속의 예절 등이다. 셋째,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 따른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재량활동 범교과 학습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성별, 가족유형, 경제수준 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를 이용한 중학생 삶의 만족도 분석 (The Life Satisfactio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 안지혜;윤유동;임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197-20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마이닝의 회귀분석 기법과 의사결정 나무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YCPS) 중1패널 데이터 3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추출된 공통 영향요인은 자아 존중감, 우울, 전체 성적 만족도, 지역사회 인식, 진로 정체감, 연간 비행 피해 경험 유무, 형제자매 유무, 신뢰, 행동통제, 주의집중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는 개인의 정서문제, 자아인식, 또래 애착, 학습습관, 가정환경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예측하기 위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의사결정 나무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자아 존중감, 우울, 진로 정체감, 주의집중으로 나타났다.

조리교육생의 약선 음식 이용 특성 및 교육 참여 의사 -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Current State of Usage and Education Participation Intention for Yaksun Food among Culinary Students - Focu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 송연미;조미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03-51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usage and education participation intention for Yaksun foo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s: Th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300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culinary education program at Seou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Education from September 5, 2014 to September 20, 2014, and 264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Awareness regarding Yaksun food was low, bu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Yaksun food class was high. The information searching route for Yaksun food was mainly television, radio or internet. Memil-jeonbyeong ssam was the most eaten menu item and Nokdu-Samgye tang was the most popular menu item.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Yaksun food, vegetable dishes, steamed dishes, rice dishes and roasted dishes were preferred in this order. The most preferred educational institution for Yaksun food was the cultural center, and the most preferred educational period for Yaksun food was less than three month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the Yaksun food class was practical application in real life. Also, the current state of usage for Yaksun food and the intent to participate in an education program for Yaksun food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 current state of usage for Yaksun food, the information searching route for Yaksun food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occupation, cooking career and lives and Yaksun cuisine type preference according to gender, occupation, income and households. Also, with respect to education program participation intention for Yaksun food, educational institution preference for Yaksun food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occupation, cooking career, income and liv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for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Yaksun food,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target custo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ir needs. Furthermore, it show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menus for Yaksun food.

여고생들의 미래 직업과 연계된 정보과목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the recognition of Information subjects related to future profession of high school girls.)

  • 장혜주;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1-29
    • /
    • 2018
  •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한 직업위기에 대처하고 적응하기 위해서 인력 배출이 필요한 때이다. 본 연구는 여성들의 SW분야에 대한 적응력을 고려하여 여고생들의 정보과목과 프로그래밍 언어 인지 여부를 측정하고 미래 진로 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여고생 30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과목을 배운 시기가 빠르고, 컴퓨터 자격증을 보유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를 인지하는 학생일수록 컴퓨터에 대해 자신감을 보였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인지하는 학생이 정보관련 직업을 더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자신감'과 '선호도' 요인에서 '선호도'와 '동기' 요인에서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미래에 여학생들이 컴퓨터 관련 직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진로 교육에 대한 강조와 정보과목의 교육 시작 시점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