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Attitude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3초

보건행정학과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직업교육경험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Career Education Exper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College students with Major in Health Administration)

  • 천의영;남영희;권현주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6-182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career education exper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college students with major in health administration. Methods : The subjects were 395 students with major in health administration from 2 universities and 2 colleges located in Incheon city,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gnam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 to 20, 2008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Results : For the difference by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scor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F=3.415), high school style(F=2.661), subject economic status(F=3.627), subject satisfaction of school life(F=7.964), subject health status(F=6.507). For the correlation of major variable,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from friends, social support from family, social support from professor, career education experience. In a regression analysi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beta$=.378), social support from friends($\beta$=.198), age($\beta$=.124), grade($\beta$=-.161)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career attitude maturity(32%).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activates the social network from friends and to develop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tudents with major in health administration considering these findings.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및 경력 몰입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otean Career Attitude, Career Commitment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Focusing on Workers in Cultural Contents Industry)

  • 이형우;김만수;김정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25-432
    • /
    • 2021
  •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riscoe, Hall과 DeMuth[21]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측정도구와 Choi[23]의 무형식 학습 활동 측정도구 및 Blau[33]의 경력 몰입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 된 총 295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한 8부를 제외하고 총 287부를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유효 자료율: 68.2%). 연구 결과, 첫째,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는 경력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및 경력몰입의 증대를 위한 이론적 논의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치위생과 학생의 전공 몰입 경험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ntal Hygiene Students' Major Flow Experien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 정기옥;최규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81-28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과 학생의 몰입 경험이 진로 태도 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치위생과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합리적인 태도를 갖추게 하고 나아가 진로 결정이나 진로상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대구, 경북, 충북지역에 소재하는 4개 대학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최종 425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질문지법으로 조사하였고 자료분석은 적률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업성적과 몰입경험도의 영역은 진로태도성숙도를 설명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몰입 경험도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태도성숙도의 하부요인 중 준비성, 확신성, 결정성, 목적성, 독립성의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을 경험한 응급구조학 전공 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paramedic students)

  • 오채진;윤지영;조혜은;박정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9-7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maturation of career attitude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students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areer undecided level on the maturation of career attitude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Methods: From May 1 to July 31, 2023,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paramedicine a university in City D and had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r=.382, p<.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indecision (r=.241, p=.002). The influencing factor of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β=.314,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16%.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ing factor of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the need to find ways to improv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develop customized education and practice programs for each institution to improv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emergency rescue students was confirm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specific ways to improv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develop customized educational practice programs for each institution.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Stress in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Decision Attitude)

  • 김서연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15-122
    • /
    • 2016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태도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6년 4월 20일부터 5월 11일까지 전라도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치위생학과 321명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평소 스트레스에 따른 세부 진로결정태도 평균은 진로준비행동 $3.23{\pm}0.63$, 진로성숙도 $2.56{\pm}0.62$, 진로결정수준 $2.64{\pm}0.75$로 진로준비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세부 진로결정태도 중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 학년, 평소 스트레스이었다. 그러므로 스트레스 완화 및 진로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Lifelong Learning Educators)

  • 유수란;배을규;이민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6호
    • /
    • pp.85-104
    • /
    • 2018
  • 이 연구는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작용하는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이들 간 관계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 및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riscoe, Hall과 Demuth(2006)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측정도구, Houghton과 Neck(2002)의 셀프리더십 측정도구와 Greenhaus 외(1990)의 경력만족, Mobley 외(1994)의 직무만족, Johnson(2001)의 고용가능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천지역 평생교육강사를 대상으로 총 450부를 배포하여 430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430부 중 불성실한 응답이라 판단되는 4부를 제외한 42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유효 자료율: 95.6%). 수집된 자료는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고, 연구의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셀프리더십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셀프리더십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과 각 변인들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몇가지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융복합시대에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Smart-phone Depend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e Convergence Era: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

  • 백선미;손귀옥;박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00-108
    • /
    • 2019
  •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한 4개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총 221부로 실증적인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생의 일상생활 장애와 가상세계 지향이 높으면 대인관계 문제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일상생활 장애와 가상세계 지향이 높으면 진로태도성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는 진로태도성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스마트폰 의존도와 진로태도성숙 관계에서 모두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일반고 학생의 자아인식 및 수업태도와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연구: 부모와 대화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Class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Verification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Efficacy through Conversation with Parents)

  • 유현경;남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90-504
    • /
    • 2021
  •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하여 자아인식과 수업태도가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부모와 대화 빈도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일반고 2학년에 대한 연구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II의 1차년도 설문 결과에서 일반고(자율고 포함) 5943명의 자료를 SPSS 22와 PROCESS macro의 모델 7번을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인 자아인식과 수업태도는 진로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진로탐색효능감은 자아인식 및 수업태도와 진로성숙을 매개한다. 셋째, 자아인식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부모와 대화의 빈도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넷째, 수업태도와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부모와 대화 빈도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대립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에 기반하여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성숙을 위한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양육태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Personal, Home, and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 이수정;이기성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21-3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양육태도(긍정적 양육태도, 부정적 양육태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이들 영향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21 자료의 중학교 1학년 2,23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부모양육태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양육태도는 정적(+), 부정적 양육태도는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부모 양육태도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양육태도는 정적(+), 부정적 양육태도는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그릿은 진로적응성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부모양육태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는 긍정적 양육태도와는 완전매개효과, 부정적 양육태도와는 부분매개효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공하였다.

프로테안 경력, 무경계 경력이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개발 지원정책의 조절 효과 (The effects of protean career and boundaryless career on workers' positive career attitude and future learning readiness: Moderating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policy)

  • 문한나;서요한;이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79-298
    • /
    • 2019
  • 기존 학술적으로 논의되던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에 대한 실증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그 개념도 명확해 지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연구 등은 많았지만 두 독립 변인이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프로테안 경력 지향성과 무경계 경력,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서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 효과를 탐색하였다. 경력관련 변인간 관계를 보면 프로테안 경력은 경력개발정책과 긍정적 경력태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무경계 경력은 긍정적 경력태도와 미래 학습 준비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 효과에서는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의 미래 학습 준비도와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정책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효과는 자기주도적 경력개발을 위한 의도와 학습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경력개발지원 정책을 주관하는 조직내 HRD/HRM 부서의 역할에 따라 근로자의 미래를 위한 학습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