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2.49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Class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Verification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Efficacy through Conversation with Parents  

Yoo, Hyun-Kyung (단국대학교 미래ICT융합학과)
Nam, Jung-Min (단국대학교 미래ICT융합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efficacy by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in the process of self-awareness and class attitude affecting career maturity. For the study of the second year of general high school,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using SPSS 22 and Model 7 of PROCESS macro from the results of the first year survey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II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self-awareness and class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Second, career exploration efficacy mediates self-awareness, class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career maturity, there is no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efficacy by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a confrontation-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efficacy by conversation frequency with parents appears. Based on these studies, implications and future tasks for career matur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ere proposed.
Keywords
Self-awareness; Class Attitude; Career Maturity; Career Exploration Efficacy; Conversation with Par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J. O. Crites, Career Maturity Inventory: Administration and use manual, Ca, CTB/McGraw-Hill, 1978.
2 장석민, 임두순, 송병국,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1.
3 김경식, 이현철, "한국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교진로교육의효과- 한국교육고용패널(KEEP)과 한국청소년패널(KYPS) 분석을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제60권, 제4호, pp.1079-1103, 2012.
4 이현주,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5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한국교육고용패널 1차 사용자지침서, 2011.
6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한국교육고용패널 2차 사용자지침서, 2019.
7 최옥현, 대학생의 애착관계 및 유형과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8 진성희, 성은모,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pp.1-18, 2012.
9 허균, "일반고 학생들의 부모애착 및 교사애착, 진로탐색효능감, 진로탐색 행동의 구조적 관계 연구," 職業 敎育 硏究, 제32권, 제5호, pp.189-203, 2013.
10 D. E. Super, The psychology of career, New York: Hayser, 1957.
11 W. D. Gribbons and P. R. Lohnes, "Relationships among measures of readiness for vocational plann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2, pp.13-20, 1964.
12 고장완, 김현진, 김명숙, "대학생의 학습 및 비학습경험이 인지적.정의적 성과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敎育行政學硏究, 제29권, 제4호, pp.169-194, 2011.
13 권재현, 윤선영, "성인 학습자들의 학습태도가 평생학습참여 및 학습의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평생교육학연구, 제15권, 제3호, pp.85-110, 2009.
14 송현정, "국어 수업참여에 대한 학습자 인식 실태분석," 국어교육연구, 제29권, pp.111-138, 2012.
15 박희진, 이동엽, "사회자본의 규범적 기능 탐색: 대학생의 강의태도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제27권, 제4호, pp.27-48, 2017.
16 R. Conger, K. Conger, and M. Martin, "Socioeconomic status, family processes, and individual developm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72, pp.685-704, 2010.   DOI
17 V. S. Solberg, G. E. Good, D. Nord, C. Holm, R. Hohner, N. Zima, M. Hefferman, and A. Malen, "Assessing career search self-efficacy expectations: Development of the career search 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2, No.2, pp.111-123, 1994.   DOI
18 최선영, 홍지영, "독서 활동을 활용한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여자 중학생의 진로 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제33권, pp.62-87, 2013.
19 D. H. Schunk, "Ability versus effort attributional feedback: Differential effects o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5, No.6, 1983.
20 교육부, 2015 개정교육과정총론, 2015.
21 원상희, 청소년의 부모 애착과 진로성숙도의 발달궤적,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2 박아청,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5권, 제1호, pp.140-162, 1996.
23 조진실, 강민주,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32권, 제2호, pp.159-186, 2021.
24 오은경, 사회적지지와의사결정유형, 진로성숙도의관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5 박보경, 중학생의 개인, 가정, 학교 문화 자본이 고교진학 후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6 김종성, 이병훈, "중.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참여요인 및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21권, 제3호, pp.33-59, 2010.
27 장은미,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8 정세영, 이옥련, 김정섭, "Holland 진로유형을기반으로한진로독서프로그램이진로성숙도에미치는영향," 사고개발, 제10권, 제1호, pp.21-4, 2014.
29 최영순, 중학생의 낙관성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0 장현진, 민숙원, 김민경, 류지영, 김재희, 초.중등진로교육현황조사(2017), 교육부.전라북도교육청.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31 한수민, 오인수, "고등학생이 인식한 부모지지와 진로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육연구, 제62권, 제1호, pp.261-280, 2014.   DOI
32 이해경, 김혜원, 김은아, "고등학생들의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및 자기효능감이 진로의식 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2호, pp.443-466, 2013.
33 박은선, 아버지 애착과 지지가 대학생의 진로탐색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4 강명희, 유영란, 유지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나타난 고등학생의 지각된 교사태도, 학습태도, 학업성취도,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구조적관계 규명," 교육과학연구, 제45권, 제1호, pp.181-203, 2014.
35 신선아, 전종설, "청소년의 애착이 자기 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7권, 제3호, pp.111-136, 2015.
36 N. E. Ryan, V. S. Solberg, and S. D. Brown, "Family dysfunctio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3, No.1, pp.84-89, 1996.   DOI
37 통계청, 여성가족부, 2021 청소년 통계, 2021.
38 K. B. Hoyt, The School Counselor and Career Education, Washington, D. 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7.
39 L. K. Mitchell and J. D. Krumboltz, Social Learning App roach to Career Decision Making:Krumboltz's Thoeory, In Brown & Brook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Jossey-Bass, Publisher, Sanfrancisco, 1990.
40 김아름, 전현정, 정혜원, "청소년의 부모 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관계," 중등교육연구, 제69권, 제2호, pp.173-208, 2021.
41 A. H. Maslow, motivation and personality 2nd.ed, NY: Harpter & Row publishers, 1970.
42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013.
43 민성혜, 신혜원, "대학생의 유머 스타일, 놀이성이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에 대한 애착을 매개로 하여," 열린부모교육연구, 제3권, 제1호, pp.1-11, 2011.
44 D. R. Shaffer,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Belmont, CA, USA: Wadworth/Thomson Learning. 2000.
45 이종승, 남덕진, "자아개념의 안정성에 관한 종단적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6권, 제2호, pp.133-151, 2002.
46 최희수, 초등학생의 사교육 참여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수업태도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7 한창훈, 조영아, "고등 학생의 부모진로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 간의 관계-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4호, pp.79-107, 2016.
48 임현정,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의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4권, 제4호, pp.265-285, 2016.
49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p.191-215, 1977.   DOI
50 이병석,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51 김충기, 천귀순, "초등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성격특성과 진로의식성숙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pp.25-44, 2003.
52 이희영, 진로성숙과상담, 서울: 학지사, 2003.
53 김기헌, 유홍준, 오병돈, "진로체험의 효과: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 직업교육연구, 제33권, 제3호, pp.19-36, 2014.
54 임언, 진로성숙도 검사 개발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55 P. R. Pintrich, "The role of motivation in promoting and sustaining self-regulate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Education Research, Vol.31, No.2, pp.459-470, 1999.   DOI
56 E. L. Herr and S. H. Crame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lifespan: Systematic Approaches (5th ed.), New York: Harper Collins. 1996.
57 이사라, 박성연, 황상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된 자아개념 발달에 대한 26년 장기종단연구," 2000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200-201, 2000.
58 서울특별시교육정보연구원, 서울교육종단연구 정책연구보고서, 2014.
59 E. H. Erikson,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1968.
60 권연수, 부모가 원하는 자녀 직업 1위는 '공무원', 자녀가 희망하는 직업은, 디지털조선, 2018.01.13.
61 정채기, 자아개념, 자아정체성 및 내외적 통제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62 정정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63 형문정, 자아 존중감과 학업성취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64 V. S. Solberg, "Assessing career search self-efficacy: Construct evidence and developmental anteced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6, No.2, pp.181-194, 1998.   DOI
65 최동선,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동기요인 및 애착의 관계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66 박미란, 이지연, "진로성숙에 미치는 개인적 변인과 학교 교육의 효과검증," 인간이해, 제31권, 제1호, pp.65-88, 2010.
67 이계수, 자기 평가를 통한 이해도 진단과 피드백이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68 이현숙, 김성숙, 김준엽, 양성관, "학교 특성, 과정 변인,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평가연구, 제24권, 제2호, pp.317-344,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