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illary potential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1초

기니피그 위점막이 카테콜아민 유발 위운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Gastric Mucosa upon the Catecholamine Induced Gastric Motility in Guinea-pig)

  • 이풍렬;김기환;이상진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3권2호
    • /
    • pp.277-289
    • /
    • 1989
  • The effects of noradrenaline on the contractile and electric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circular muscle strips with intact mucosa prepared from the antrum and fundus of guinea-pig stomach. Electrical responses of circular muscle cells were recorded using glass capillary microelectrodes filled with 3 M KCI.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ris-buffered Tyrode solution which was aerated with 100% $O_2\;and\;kept\;at\;35^{\circ}C$.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spontaneous contractions recorded from the antral and fundic circular muscle strips with intact mucosa were suppressed dose-dependently by the application of noradrenaline, whereas those recorded from the mucosa-free strips were potentia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2) The inhibitory influences on the contractile activities in the normal intact strips were developed via both ${\alpha}-adrenoceptors\;and\;{\beta}-adrenoceptors$, while the excitatory influences in the mucosa-free strips resulted from the strong excitatory effect via ${\alpha}-adrenoceptors$ and the weak inhibitory effect via ${\beta}-adrenoceptors$. 3) Noradrenaline produced hyperpolarization of membrane potential, and increased the amplitude and the maximum rate of rise of slow waves in the mucosa-free strips of antral and fundic circular muscle. 4) Apamin blocked the appearance of the component of initial suppression of spontaneous phasic contractions observed in the mucosa-free strips of antral circular muscle after the application of noradrenaline. 5) The inhibitory influences on the contractile activities in the normal strips with intact mucosa remained unaffected even in the strip with separate mucosa, in which mucosa and muscle layer were mechanically disconnected . From the above results,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1) There are no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s of noradrenaline on the antral circular muscle and those on the fundic circular muscle. (2) Excitatory responses to noradrenaline observed in the mucosa-free strip result from the dominant ${\alpha}-excitatory$ and tile weak ${\beta}-inhibitory$ action of noradrenaline. (3) Inhibitory responses to noradrenaline in the normal strips with intact mucosa develop via both ${\alpha}-inhibitory\;and\;{\beta}-inhibitory$ actions.

  • PDF

태양광 시스템의 냉각장치 개발 (Development of Solar Concentrator Cooling System)

  • 이희준;차귀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463-4468
    • /
    • 2014
  • 태양광 모듈 효율의 증가를 위해 렌즈나 반사판 등을 이용한 집광 시스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집광장치는 일반적으로 렌즈를 사용하거나 고집속비의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태양광 추적형으로 설계하여 고집속화를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집속비에 비례하여 열로 소산되는 에너지 밀도가 증가하므로, 고집속에 따른 태양전지 온도상승에 의한 태양전지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집광장치의 냉각에 유의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여러 가지 제약 조건을 피하여, 저가격의 반사형 광학장치를 이용한 경제적인 저집광형 태양광 모듈 시스템을 연구 개발하였다. 일반모듈에 저집광장치를 사용하여 태양광 모듈의 발전효율을 증대 시키면서 집광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냉각장치를 통해 방출하였다. 제안된 저집광형 냉각장치(MCS, Micro Cooling System)의 특징은 모세관력에 의한 자연 순환 방식으로서 외부 동력원이 불필요하며, 유체 상변환시의 잠열을 이용함으로써 고성능 냉각 구현이 가능하다. 117W 태양광 모듈에 반사판을 설치하고 냉각장치가 있는 모듈과 냉각장치가 없는 모듈을 비교 하였다. 냉각장치를 설치한 모듈에서의 발전량이 28% 증가하였다.

Pulse Power를 이용한 폐활성슬러지 전처리의 파이럿 규모 연구 (Pilot-scale Study for Pulse Power Pretreatment of Waste Activated Sludge)

  • 유희찬;홍승모;최한나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3호
    • /
    • pp.71-81
    • /
    • 2005
  • 슬러지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공법은 혐기성 소화공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혐기성 소화는 유기성분의 효과적인 안정화와 동시에 메탄가스를 발생시켜 에너지로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폐활성슬러지의 경우 미생물의 세포벽 때문에 일반적으로 저조한 혐기성 처리효율과 탈수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전처리공정들이 개발되거나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폐활성슬러지의 혐기성 소화효율과 탈수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pulse power 전처리 연구를 pilot 규모로 수행하였다. Pilot plant는 기 수행된 실험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설계 및 운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ulse power 전처리에 의한 슬러지 특성변화를 평가하였으며, 특히 혐기성 소화시 미생물이 사용하기 용이한 기질의 증가를 의미하는 용존성 유기물질의 증가를 주요항목으로 평가하였다. 혐기성 소화조에서 발생하는 가스발생량과 메탄함량을 측정하여 혐기성 소화능을 평가하였으며, 슬러지 탈수능은 CST 및 비저항값의 측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슬러지 처리공정에서의 전체적인 에너지수지를 계산하여 pulse power 전처리에 의한 에너지 회수율 변화를 평가하였다.

  • PDF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수송계수 및 부식저항효과 (Transport Coefficients and Effect of Corrosion Resistance for SFRC)

  • 김병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867-873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에서의 부식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강섬유의 보강콘크리트의 수송특성, 즉 공극률, 흡수성, 투과성 및 염소이온 확산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여 철근부식과 의 관계를 비교 평가 하였다. 강섬유의 보강으로 인해 약간의 압축강도 증가와 함께, 흡수성, 투과성 및 확산성에 관한 실험 결과에서도 콘크리트 내부로의 유해물질의 침투저항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근부식과의 관계에서는 예상된 결과와는 다르게 강섬유의 혼입이 철근부식을 가속화 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염화나트륨 용액이 침투하는 노출면에서는 강섬유의 부식팽창으로 인한 표면박리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철근부위 절단면에서는 철근 주변에 강섬유의 부식이 국부적으로 관찰 되었다. 고온 및 고농도의 염화물 환경에서의 건습 싸이클링이 노출표면에 가까운 공극에서 지속적으로 염분결정체의 증가와 더불어 내부공극에서의 강섬유의 부식으로 증가된 압력이 표면 박리를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는 노출면 부근에서의 미세균열을 증가가 물, 염화이온 및 산소의 침투를 보강근으로의 가속화를 진행 시킨 것으로 판단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에서 철근부식에 영향을 주는 명확한 메커니즘은 충분히 규명이 되지 않았으며, 보다 명확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부식과정에서 강섬유의 잠재적인 부식팽창에 관한 보다 상세한 실험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조직내교잡법을 이용한 결핵균의 검출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by In Situ Hybridization)

  • 박창수;김영철;이지신;정종재;김두홍;김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5호
    • /
    • pp.699-708
    • /
    • 2000
  • 배경 : 올리고누클레오티드 탐식자를 이용한 조직내교잡법은 감염성 질환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는 분자병리학적 검사방법이다. 그러나 결핵균의 세포벽에는 다량의 지방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탐식자의 침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식자의 침투력을 높일 수 있는 조건을 알아보고, 결핵의 조직학적 진단법으로써 조직내교잡법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방법 : 결핵으로 진단된 환자의 인체조직 절편과 배양된 결핵균을 흰쥐의 간 조직 내에 인위적으로 주입하여 제작한 실험조직 절편을 실험대상으로 하고, 바이오틴을 부착시킨 올리고누클레오티드 탐식자를 이용하여 조직내교잡법을 시행하였으며, 탐식자의 효과적인 침투를 위해 전처리를 시도하였다. 결과 : 펩신-염산 (2 mg/ml, 0.1M) 혼합액을 이용한 전처리 과정 (5-6분) 후 조직내교잡법을 수행한 결과 배양된 결핵균을 주입한 실험조직에서 결핵균의 검출에 성공할 수 있었다. 간 조직이 주사바늘에 의해 기계적으로 손상된 자리를 따라 군데군데 위치하고 있는 배양액 내에서 불규칙하게 모여있는 점상 혹은 간상의 양성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민감도는 80-90% 수준이었다. 그러나 결핵환자의 조직절편에서는 조직내교잡법을 이용하여 결핵균을 검출할 수 없었다. 결론 : 이는 배양액 내에서 빠르게 증식하는 결핵균과는 달리 인체에 감염된 결핵균에서는 rRNA의 양이 적어, 바이오틴이 부착된 탐식자를 이용한 조직내교잡법의 민감도를 벗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향후 조직내교잡법으로 인체조직 내의 결핵균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제자리 중합효소연쇄반응 (in situ PCR) 법의도입이나, 보다 높은 민감도를 갖는 동위원소를 부착 시킨 탐식자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두시를 이용한 하태독법의 NC/Nga 생쥐에서 DNFB로 유발된 피부손상 완화 효과 (Effects of Hataedock with Douchi on 2,4-dinitrofluorobenzene-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 in NC/Nga Mice)

  • 송지훈;안상현;천진홍;박선영;김호현;김기봉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9-115
    • /
    • 2016
  • Hataedock is a Korean medical treatment that administers herbal extracts orally to newborn infants. This method is used for alleviating harmful heat and excreting fetal wastes by mecon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i-inflammatory effect of Hataedock method with Douchi on 2,4-dinitrofluorobenzene (DNFB)-induced atopic dermatitis (AD). The 3-week-old NC/Nga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e control group (Ctrl), the AD-induced group (AE), and the Hataedock-treated group (GT). Only the GT group was treated with Hataedock at the 3rd week. After 28 days from Hataedock treatment, we induced AD-like dermatitis to the AE and GT group by DNFB. The effects of Hataedock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In the epithelium, PKC-positive reaction of the GT group was decreased by 57%. In the dermal papillae, IL-4-positive reaction was decreased by 34%. In the dermis, the distribution of degranulated mast cells was decreased and substance P-positive reaction was decreased by 49%. In the skin tissue, edema was decreased and MMP-9-positive reaction was decreased by 71%. Tissue damage such as epithelial cell hyperplasia, infiltration of granulocyte and lymphocyte, and capillary distribution were also decreased. The Hataedock method with Douchi maintained skin barrier and inhibited skin-damaging factors via regulating Th2 differentiation. In conclusion, Hataedock has a potential for preventative treatment of A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immune-regulating mechanism and verify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Hataedock method.

유방암세포에서 괴화 에탄올 추출물의 NF-${\kappa}B$ 의존적인 MMP-9 발현의 조절 규명을 위한 연구 (Effects of Flos Sophorae Ethanol Extract on NF-${\kappa}B$ Dependent MMP-9 Expression in Human Breast Cancer Cell)

  • 김정미;이영래;황진기;김미성;김하림;박연주;유용욱;김성철;류도곤;권강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2-28
    • /
    • 2014
  • Flos Sophorae, the dried flower bud of Sophora japonica L, possesse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prevents and treats blood capillary and hypertension diseases and can also be used as a hemostat. However, the effect of Flos Sophorae on breast cancer invasion is unknown.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which degrades the extracellular matrix, is a major component in cancer cell invas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Flos Sophorae extract (FSE) on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expression and cell invasion, as well as th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Michigan Cancer Foundation-7 (MCF-7) cells. FSE inhibited the TPA-induced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SE-mediated inhibition of TPA-induced MMP-9 expression and cell invasion involves the suppression of NF-${\kappa}B$ pathway in MCF-7 cells. Thus, FSE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for controlling breast cancer invasiveness.

Trichoderma erinaceum DG-312 신규 곰팡이 균주로부터 생산된 galactomannan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Galactomannans Produced by a New Fungal Strain Trichoderma erinaceum DG-312)

  • 주지훈;임종민;구광본;윤종원;최장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87-292
    • /
    • 2005
  • 새로 분리된 곰팡이 Trichoderma erinaceum DG-312의 균사체 배양에 의해 갈락토만난(GMs)을 생산하여 쥐에서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였다. 5 리터 교반 발효조에서 3일 동안 배양에 의해 얻어진 균사체 및 갈락토만난의 최대 농도는 각각 9.44 g/l 및 2.72 g/l 이였다. Sepharose CL-6B 젤 크로마토그라피와 다당체 성분 분석 결과, crude 갈락토만난의 조성은 주로 mannose $(74.9\%)$와 galatose $(24.1\%)$로 구성된 이종의 다당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Trichoderma erinaceum DC-312로부터 생산된 갈락토만난은 아세트산으로 처리한 쥐에서 체중(kg)에 대하여 100 또는 200 mg의 양으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에 비례하여 현저한 항 염증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락토만난의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모세혈관 투과도(vascular permeability) 및 발작 반응(writhing response)의 저해 수치는 각각 $60.6\%$$62.5\%$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런 갈락토만난의 항염증 및 발작반응 저해에 효과적인 특성을 이용한다면 치료 목적을 위한 의약물질 개발의 잠재성을 보여준다.

혈관주위세포종의 폐전이 1례 (A Case of Metastatic Hemangiopericytoma in Lung)

  • 변민광;이정은;정우영;박무석;문진욱;한창훈;강신명;임범진;박영년;김영삼;김세규;장준;김성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5호
    • /
    • pp.551-555
    • /
    • 2005
  • 혈관주위세포종은 혈관주위세포에 발생하는 드문 종양으로 폐나 뼈로의 전이가 가능하다. 저자들은 좌측 서혜부에서 원발하여 완치판정 5년 후에 원발 부위의 재발 없이 폐로 전이된 혈관주위세포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임상적 증상, 방사선 소견, 병리학적 소견들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먹이생물로써의 섬모충 6종의 평가와 Euplotes sp.의 배양 환경 (Evaluation of Six Species Ciliates as a Live Food and Culture Environment for Euplotes sp.)

  • 유진형;허성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2-347
    • /
    • 2002
  • 섬모충은 윤충류보다 다양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얇은 세포벽, 느린 운동성, 빠른 번식률로 새로운 동물성 먹이생물로써 개발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한국 연안 수역인 수영만, 광양만 및 경기만 소래 염전지역에서 식물성 플랑크톤 네트를 이용하여 6종의 섬모충을 채집하였으며, capillary pipette로 분리 $\cdot$배양하였다. 먹이생물로써의 개발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크기, 운동성, 배양밀도 및 부유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채집된 섬모충류 가운데 광양만에서 채집된 Euplotes sp. (K-1)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MErds 기본배지에 glycine, glucose, yeast extract을 각 0.1 g씩 첨가하여 변형한 MErds-2 배지는 기본배지보다도 약 6배의 번식률을 보여, Euplotes sp.를 비롯한 기타 섬모충 배양배지로도 유용하였다. Euplotes sp. (K-1)은 수온 $22.5^{\circ}C$, pH 8,조도 2,000 lux에서 각각 최고의 번식률을 보였으며, 이들 환경조건에 대해 비교적 폭넓은 환경적응력을 나타내었다. 한편, 빵효모 1.0 g/L의 첨가에 의해서도 대량배양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섬모충은 종보관이 용이하며 폭넓은 환경 적응력과 간단한 방법의 대량배양이 가능하여 초기 동물성 먹이생물로써의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