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1A1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35초

신품종 그린볼 사과의 광노화인자 조절효과 (Photo-aging regulation effects of newly bred Green ball apple)

  • 이은호;이승열;정희영;강인규;안동현;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75-8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육종한 신육성품종 그린볼 사과 껍질 추출물(GBE)이 피부 광노화 인자조절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피부에서 광노화 인자 조절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CD986sk fibrobalst cell에 UVB로 광노화를 유도시킨 후 세포에 GBE를 처리하였다. 광노화 인자 조절 효과를 측정한 결과 GBE가 COL1A2, MMP-1, MMP-9, TIMP-1 단백질 발현량에서 UVB에 의해 자극된 MMP-1, MMP-9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였으며, COL1A2, TIMP-1 단백질의 경우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hotoaging-related factors인 COL1A2, MMP-1, MMP-9, HAS2, TGF-β, TIMP-1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GBE에 의해 MMP-1, MMP-9 단백질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MMPs와 type procollagen 발현에 관여하는 조절인자인 TIMP-1과 TGF-β의 발현량이 증가함에 따라 COL1A2의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를 구성하는 구조 단백질 중 하나인 hyaluronic acid 생성에 관여하는 HAS2의 발현량 증가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GBE는 광노화의 인자 억제 조절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가졌으며,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 New ColE1-like Plasmid Group Revealed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plication Proficient Fragments of Vibrionaceae Plasmids

  • Pan, Li;Leung, P.C.;Gu, Ji-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8호
    • /
    • pp.1163-1178
    • /
    • 2010
  • Plasmids play important roles in horizontal gene transfer among Vibrionaceae, but surprisingly little is known about their replication and incompatibility systems. In this study, we successfully developed a bioinformatics-assisted strategy of experimental identification of seven Vibrio plasmid replicons. Comparative sequences analysis of the seven Vibrio plasmid replicons obtained in this study together with eight published Vibrionaceae plasmid sequences revealed replication-participating elements involved in the ColE1 mode of replication initiation and regulation. Like plasmid ColE1, these Vibrionaceae plasmids encode two RNA species (the primer RNA and the antisense RNA) for replication initiation and regulation, and as a result, the 15 Vibrionaceae plasmids were designated as ColE1-like Vibrionaceae (CLV) plasmids. Two subgroups were obtained for the 15 CLV plasmids, based on comparison of replicon organiz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replication regions. Coexistence of CLV plasmids were demonstrated by direct sequencing analysis and Southern hybridization, strongly suggesting that the incompatibility of CLV plasmids is determined mainly by the RNA I species like the ColE1-like plasmids. Sequences resembling the conserved Xer recombination sites were also identified on the CLV plasmids, indicating that the CLV plasmids probably use the host site-specific recombination system for multimer resolution like that used by ColE1-like plasmids. A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15 plasmids form a new ColE1-like group, providing a basis for the rapid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Vibrionaceae plasmids.

자외선 조사에 의해 노화된 섬유아세포에서 Cycloheterophyllin의 항노화 효능 (Anti-aging Effect of Cycloheterophyllin in UVA-irradiated Dermal Fibroblasts)

  • 심중현
    • 생약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85-290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skin anti-aging effect of cycloheterophyllin on dermal fibroblasts. To elucidate anti-aging effects of cycloheterophyllin on dermal fibroblasts, I measured cell viability, mRNA expressions, and Collagen, type I/matrix metallopeptidase 1(MMP1)-ELISA assay.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ycloheterophyllin on Collagen, type I, alpha 1(COL1A1)/Collagen, type III, alpha 1(COL3A1)/MMP1/Superoxide dismutases/Catalase(CAT) mRNA expressions and Collagen, type I/MMP1 protein production. Quantitative Real-time RT-PCR showed that cycloheterophyllin increased mRNA level of COL1A1/COL3A1/CAT genes and collagen, type I protein by ELISA assay compared to UVA-treated dermal fibroblasts. Furthermore MMP1 mRNA and protein expressions were decreased by cycloheterophyllin treatment. These observations revealed that cycloheterophyllin increased anti-aging effects in dermal fibroblasts. Therefore, I identified the anti-aging effects of cycloheterophyllin, an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ycloheterophyllin can be a considerable potent ingredient for skin anti-aging. Based on this, I anticipated further researches about cycloheterophyllin for mechanism to develop not only cosmetics but for healthcare food or medicine.

광나무의 주성분, Ursolic acid와 Oleanolic acid의 항노화 효능 (Excellent Anti-aging Effects of Ursolic acid and Oleanolic acid Present in Ligustrum lucidum)

  • 홍용덕;유대성;남미희;김현정;박시준;신송석;천종우;박영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1-187
    • /
    • 2012
  • 광나무(L. lucidum)는 ursolic acid와 oleanolic acid를 다량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나무 열매, 줄기, 잎 세 부위 추출물의 항주름 효능을 평가하였다. 광나무 추출물은 human skin fibroblasts에서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MMP-1과 MMP-2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들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MMP-1과 MMP-2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광나무 세 부위 추출물 가운데, 열매 부위에 가장 많은 양의 ursolic acid 와 oleanol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가장 강한 COL1A1 upregulating 효과와 MMP-1과 MMP-2 downregulating 효과를 나타냈다. 이처럼 항주름 효능을 보이는 광나무 열매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CircCOL1A2 Sponges MiR-1286 to Promote Cell Invasion and Migration of Gastric Cancer by Elevating Expression of USP10 to Downregulate RFC2 Ubiquitination Level

  • Li, Hang;Chai, Lixin;Ding, Zujun;He, Huab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7호
    • /
    • pp.938-948
    • /
    • 2022
  • Gastric cancers (GC) are generally malignant tumors, occurring with high incidence and threatening public health around the world. Circular RNAs (circRNAs) play crucial roles in modulating various cancers, including GC. However, the functions of circRNAs and their regulatory mechanism in colorectal cancer (CRC) remain largely unknown. This study focuses on both the role of circCOL1A2 in CRC progression as well as its downstream molecular mechanism.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and western blot were adopted for gene expression analysis. Function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study the biological functions.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nd subcellular fraction assays were employed to detect the subcellular distribution. Luciferase reporter, RNA-binding protein immunoprecipitation (RIP), co-immunoprecipitation (Co-IP), RNA pull-down, and immunofluorescence (IF) and immunoprecipitation (IP) assays were used to explore the underlying mechanisms. Our results found circCOL1A2 to be not only upregulated in GC cells, but that it also propels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GC cells. CircCOL1A2 functions as a competing endogenous RNA (ceRNA) by sequestering microRNA-1286 (miR-1286) to modulate ubiquitin-specific peptidase 10 (USP10), which in turn spurs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GC cells by regulating RFC2. In sum, CircCOL1A2 sponges miR-1286 to promote cell invasion and migration of GC by elevating the expression of USP10 to downregulate the level of RFC2 ubiquitination. Our study offers a potential novel target for th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GC.

골모세포유사세포의 cytoskeletal change가 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Cytoskeletal Changes or Osteoblastic Cell Activities)

  • 이정화;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15-926
    • /
    • 1998
  • Cytoskeleton은 세포핵과 세포외 기질을 연결하고 있어서 기질에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cytoskeletal change가 유도되고 이에 의해 세포의 개조활성이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되어 왔다. 본 연구는 골모세포 활성에 대한cytoskeletal change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생 백서로부터 조골세포양 세포를 분리, 배양하고 네가지 농도의 cytochalasin B(CB) 또는 colchicine(COL)을 3시간 처리하였다. 다시 배양액을 교환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prostaglandin $E_2\;(PGE_2)$, interleukin-6(IL-6),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및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생산을 측정하고 통계적으로 비교하였으며 cytoskeletal protein actin 변화를 관찰하기위하여 면역형광염색하고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B 처리군에서 $PGE_2$ 생산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COL 처리군에서는 약물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2. IL-6 생산은 CB농도 1.0 ${\mu}g/ml$일때를 제외하고 증가되었다. 3. TNF-$\alpha$도 CB 농도가 1.0 ${\mu}g/ml$ 일때를 제외하고 증가하였다. 4. MMP-1 생산은 CB 처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COL 처리군에서는 변화되지 않았다. 5. CB처리군에서는 cytoskeletal actin stress fibers가 사라지고 세포모양이 둥글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cytoskeletal rearrangement는 골모세포유사세포의 활성, 특히 $PGE_2$, IL-6, 및 TNF-$\alpha$같은 paracrine/autocrine factor의 생산과 관련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Streptococcus faecium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장내 세균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treptococcus faecium on the Performances and the Changes of Intestinal Microflora of Broiler Chicks)

  • 김경수;지규만;이상진;조성근;김삼수;이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7-119
    • /
    • 1991
  • 본 실험은 육계에서 생균제 Streptococcus faecium C-68(SF)과 항생제 colistin (Col)의 단독 또는 혼합 급여가 증체율과 장내 세균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암수 동수의 초생추 252수를 공시하여 Col과 SF를 첨가하지 않은 기초사료구(대조구), 기초사료+Col 10ppm첨가구, SF 0.04%구, SF 0.04%+col 10ppm구, SF 0.08%구, SF 0.08%+col 10ppm구 등 6개 처리구를 두었다. SF 0.04%구와 SF 0.08%구의 Streptococcus faecium 생균수는 사료 g당 각각 7$\times$10난, 1.4$\times$10개가 되도록 하였고, 사료는 옥수수와 대두학을 주원료로 하여 7주간 급여하였다. 사양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처리구별로 분내 세균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주 말 신선한 분을 사료로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조사하였고, 장내 세균총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4주와 7주말에 처리당 9수씩 희생시켜 대장부분의 내용물을 채취하여 세균총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각 처리구 실험사료의 영양소 이용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3주와 6주말 전분 채취법에 의하여 대사실험을 실시하였고, 7주말 각 처리구 별로 9수씩 희생시켜 소장의 길이와 무게를 측정하였다. 평균 증체량은 SF 0.08%(2.37kg)와 SF 0.08%+col (2.34kg)을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2.18kg)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0.05), 다른 처리구의 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료요구율은 SF 0.04%구를 제외한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더 개선되었고(P<0.05),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총 탄수화물 등과 같은 영양소의 소화율은 전 기간 내내 SF나 Col의 첨가에 의한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예상했던 대로 SF첨가구의 분 중 Streptococci는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는데 SF 0.04%구와 SF 0.08%구, SF 0.08%+col구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그러나 colistin의 단독첨가에 의한 Streptococci의 변화는 볼 수 없었고 Col과 SF와의 혼합 첨가구에서도 Col첨가가 Streptococci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볼 수 없었다. 분 중의 coliforms수는 SF와 Col의 첨가된 사료의 급여에 의해 현저히 감소되었다(P<0.05) 그러나 SF와 Col의 혼용효과는 관찰할 수 없었다. 장내 세균총의 분포 변화도 분중의 세인총 변화와 같은 양식을 나타냈다. 소장의 길이는 SF 0.08%구와 SF 0.08%+col 10ppm구에서 SF를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10%정도 유의하게 긴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소장의 무게(empty weight)는 대조구에 비하여 SF 0.08%구와 SF 0.08%+col구에서 가벼워졌고, Col과 SF를 단독 또는 혼용 급여한 모든 처리구의 단위길이 당 소장무게는 유의성 있게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다(P<0.05). 전체적인 결과를 볼 때 SF가 0.08%첨가된 구에서 육계의 증체량 개선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10ppm의 colistin첨가는 SF와 혼용했을 때나 10ppm 그 자체만으로는 육계의 증체효과 또는 양내 세란총 변화의 관점에서 볼 때 유익하지 못했고, SF와 Col은 소장의 벽 두께를 않게 변화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추측된다.

  • PDF

COL2A1 유전자의 새로운 돌연변이에 의한 제 1형 Stickler 증후군으로 진단된 1례 (A Case of Stickler Syndrome Type I Caused by a Novel Variant of COL2A1 Gene)

  • 이진;정창우;김구환;이범희;최진호;유한욱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2호
    • /
    • pp.125-129
    • /
    • 2011
  • 저자들은 고도근시, 망막이상, 납작한콧등, 구개열, 하악후퇴, 소하악증, 저신장, 양쪽 손가락의 관절구축증(arthrogryposis)이 있고, 방사선 검사상 불규칙한 대퇴골과 경골의 골단면, 척추골단이형성증이 보이는 Stickler 증후군 환자 1례에서 COL2A1 유전자의 새로운 돌연변이를 국내 최초로 증명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Neonatal and Peripubertal Rat Thymi Using $GeneFishing^{TM}$ Polymerase Chain Reaction

  • Kang, Da-Won;Kim, Gyu-Tae;Han, Jae-Hee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1권1호
    • /
    • pp.55-60
    • /
    • 2007
  • Aging causes thymus involution, and genes in thymu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immune system. In this study, we compared genes expressed in thymus of neonatal and peripubertal rats using annealing control primers (ACPs)-based GeneFish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RT)-PCR. We identified 10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with 20 ACPs. Of 10 DEGs, bystin-like, collagen type V alpha 1 (COL5A1), and T-cell receptor beta-chain segment 2 (TCRB2) that are related to immune-function were detected in rat thymus. Bystin-like and TCRB2 were up-regulated, while COL5A1 was down-regulated in peripubertal thymus. Semiquantitative RT-PCR confirmed postnatal changes in expression of bystin-like, COL5A1, and TCRB2. These results suggest that bystin-like, COL5A1, and TCRB2 could regulate immune function controlled in thymus as age incr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