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F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2초

Differences in Nutrient Intake with Homemade versus Chef-Prepared Specific Carbohydrate Diet Therapy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sights into Dietary Research

  • Morrison, Alex;Braly, Kimberly;Singh, Namita;Suskind, David L.;Lee, Dale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4권5호
    • /
    • pp.432-442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utrient content consum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on home-prepared versus chef-prepared specific carbohydrate diets (SCD) as therapy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Methods: Dietary intake of two cohorts with active IBD initiating the SCD over 12 weeks was assessed. The home-prepared cohort received detailed guidance from dietitians on implementation of the SCD. The chef in the other cohort was knowledgeable in the SCD and prepared meals from a fixed set of recipes. Data from 3-day diet diaries at 4 different time points were collected. US Recommended Daily Allowances (RDA) were calculated for macronutrients, vitamins, and minerals. Results: Eight participants on the homemade SCD and 5 participants on the chef-prepared SCD were included in analysis. Mean % RDA for energy intake was 115% and 87% for homemade and chef-prepared groups (p<0.01). Mean % RDA for protein intake was 337% for homemade SCD and 216% for chef-prepared SCD (p<0.01). The homemade SCD group had higher mean % RDA values for vitamin A and iron, while the chef-prepared SCD group had higher intake of vitamins B1, B2, D, phosphorus and zinc (p<0.01 for all). Conclusion: The SCD implemented homemade versus chef-prepared can result in significantly different intake of nutrients and this may influence efficacy of this dietary therapy. Meal preparation dynamics and the motivation of families who pursue dietary treatment may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foods consumed and the outcomes on dietary therapy with the SCD.

브랜드쉐프를 통한 한국음식의 세계화 방안 -일본의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the Brand chefs -Focused on the Examples of Success in Japan-)

  • 김태희;이은정;최정윤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82-68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Brand chef(Star chef) in Korean society to globalize the Korean cuisine. There have been so many famous chefs in Europe, USA and Japan such as Auguste Escoffier, Paul Bocus, Pierre Gagnaire, Ferran Adria, Thomas Keller, David Bouley, Alain Ducasee and Nobu Matsuhisa. They have developed their own cuisine and food culture and delivered their food culture to the other countries. We must educate the Korean brand chefs to inform our Korean food and Korean culture to the foreign country. The school, the government and the industry must recognize the power of the Korean brand chefs.

두 형제가 함께하는 곳 '2-Chef'

  • 정솔이
    • 베이커리
    • /
    • 7호통권444호
    • /
    • pp.98-99
    • /
    • 2005
  • 두 명의 쉐프를 뜻하는 '2-CHEF(투세프)'가 성북구 길음역 인근에 둥지를 틀었다. 지하철이 멈추는 5분 간격으로 손님이 들고 나간다는 투쉐프는 오픈한지 2주일이 조금 넘었지만 벌서부터 맛깔스러운 제품과 깔끔한 인테리어로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면서 동네 입구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 PDF

스타셰프의 쿡방 출연에 대한 조리사의 주관적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linary Staffs' Subjective Perception of Star Chefs' Appearance in Cooking Broadcast)

  • 김찬우;정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36-246
    • /
    • 2017
  • 본 연구는 스타 셰프의 쿡방 출연에 대한 조리사의 주관적 인식에 관한 연구로 호텔 및 레스토랑에 조리사를 대상으로 주관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문제는 크게 3가지로, 연구문제 1 : 스타 셰프의 쿡방 출연에 관한 조리사의 주관적 인식의 수용 형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 스타 셰프의 쿡방 출연에 관한 조리사의 주관적 인식의 동질적 유형의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 스타 셰프의 쿡방 출연에 관한 조리사의 주관적 인식의 유형별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기반으로 하여 유형 분석결과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제 1유형(N=8) : 쿡방을 통한 전문지식 습득형 (Acquiring expertise through cooking broadcast type), 제 2유형 (N=10) : 새로운 방송 장르 인식형 (New Broadcast Genre Recognition Type), 제 3유형 (N=2) : 셰프의 직업현실 인지형(The profession of the chef reality recognition type), 제 4유형(N=2) : 셰프의 직업 이미지 상승효과형 (Profession image of chef Synergy type) 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해외프로그램 리메이킹 과정에서 나타나는 콘텐츠 변화에 대한 연구 (Foreign TV Content Analysis: Adaptation, Transformation and Koreanization)

  • 이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18-32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상업채널인 케이블 방송국에서 방영된 포맷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통해, 포맷프로그램의 현지화과정에서 한국적 가치가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프로그램 제작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은 없었는지 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14년 시즌 3까지 방영하였으며, 연착륙에 성공하였다고 평가되는 프로그램인 '마스터셰프 코리아' (Master Chef KOREA, '마셰코')의 각 에피소드를 '마스터셰프 USA'와 비교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포맷 프로그램의 성공요인은 철저한 한국화에 있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제작자가 처한 미디어 환경에 따라서 프로그램에서 독특한 특징이 나타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지화 및 지역화에 성공한 포맷 프로그램이 살아남는다는 기존의 논의는 여전히 유효한 분석틀이나, 포맷 프로그램이 한국화 되는 과정에서 공공성이 강화되고 프로그램에 대한 직간접적 규제가 강화되는 측면이 있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는 좀 더 비판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팽이버섯의 핵형분석과 균주 사이의 핵형 다양성 (Electrophoretic karyotype of Flammulina velutipes and its variation among cultivars)

  • 이송희;이미경;김나리;이창윤;이현숙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3-66
    • /
    • 2014
  • 한국에서 개발된 팽이버섯 균주 Fv 3-6과 일본에서 수집한 팽이버섯 균주 Fv 0-1, Fv 1-5 및 Fv 11-4의 핵형을 CHEF gel electrophoresis 방법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4종류의 균주 모두 chromosome의 전체 길이가 달랐으며, chromosome의 개수 또는 특정 chromosome의 길이가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Fv 3-6의 경우에는 다른 3 종의 균주와 비교했을 때 Fv 0-1, Fv 11-4 보다는 2개의 chromosome이 더 존재하였고 Fv 1-5 보다는 1개의 chromosome이 더 존재하였으며 핵형패턴이 유사한 일본 수집 균주들과는 다른 핵형패턴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CHEF gel electrophoresis 방법은 품종간의 차이를 SSR이나 ITS 정보를 이용한 방법보다 더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성능 비교 항목들을 적용한 계층형 라우팅 프로토콜간의 성능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Hierarchical Routing Protocols applying New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 이종용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1-57
    • /
    • 2020
  • WSN은 배터리와 같은 제한된 전원을 가진 센서 노드가 무선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센서 노드의 배터리가 모두 소모되면 해당 노드는 더는 동작하지 않으며, 일정 이상의 노드가 동작하지 않으면 네트워크는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노드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 네트워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프로토콜은 다양하게 있으며, 그중 클러스터 방식과 체인 방식의 프로토콜이 있다. 본 논문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성능 향상을 위해 별도로 연구한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 평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비교 기준은 대표적인 계층 라우팅 프로토콜인 LEACH 프로토콜로 선택되었으며, 비교 대상은 CHEF와 FLCFP, LEACH-DFL 라우팅 프로토콜로 퍼지 로직과 함께 고려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 비교를 위한 다양한 기준이 제시되었으며, 각 프로토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비교하였다. CHEF, FLCFP, LEACH-DFL의 성능 비교, LEACH, Puzzy Logic과의 프로토콜 등을 통해 다른 프로토콜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점을 제시하고, 프로토콜의 성능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쿡방에서의 스타 조리사 이미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주지역 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The Effect of Star Chef Image in Cookbang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ing on Culinary Arts Major College Students in Gyeongju Area-)

  • 김옥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405-413
    • /
    • 2021
  • 본 연구는 쿡방에서의 인지가 스타조리사 이미지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 요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대구 및 경주지역 소재 조리전공 대학생 27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쿡방에서의 인지는 스타조리사 이미지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스타조리사 이미지 역시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스타조리사 이미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쿡방의 영향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확인적 검증을 통해 관련분야의 기초를 제공한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조절역할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향후 이 분야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Fusarium 균의 section Liseola에 대한 핵형 연구 (Study of Electrophoretic Karyotypes of Fusarium Section Liseola)

  • 밍병례;안미선;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92-196
    • /
    • 1999
  • Fusarium 균 중에서 section Liseola 에 속하는 8균주에 대하여 CHEF-PFGE를 이용하여 핵형을 분석비교하였다. 0.75 Mb에서 6.45Mb 크기의 DNA band가 9~13개로 분리되었고 전체 genome 크기는 38.19 Mb에서 43.22Mb 였으며 종간, 종내에서 염색체 길이 다형성을 볼 수 있었다. F. moniliforme 로부터 얻은 IGS sequence(2.6Kb), Neurospora crassa 의 chs-2 gene(2.8Kb) 과 trp-3gene(3.8 Kb)을 probe로 하여 hybridization을 통하여 이들 gene 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PDF

호텔 요리사의 인간공학적 작업 위험성 평가 (Ergonomic Job Hazard Assessment of Hotel Chef)

  • 안태훈;김준식;정병용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05-111
    • /
    • 2006
  • This paper summarizes the ergonomic risk assessment of hotel chef. The cooking operations were observed in order to determine sources of ergonomic stress and make recommendations to reduce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Korean, Japanese, and western style cooking. We used interviews, document analysis, video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to identify and quantify ergonomic risk facto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oking operations have some ergonomic problems. These findings identifi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reduce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food service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