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12.236

A Study on Culinary Staffs' Subjective Perception of Star Chefs' Appearance in Cooking Broadcast  

Kim, Chan-Woo (가톨릭관동대학교 호텔조리외식경영학과)
Jung, In-Yeong (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As a research on culinary staffs' subjective perception of star chefs' appearance in cooking broadcast,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ive tendency targeting culinary staffs in hotels & restaurants by applying Q methodology. Thre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set up like below. First, what are the culinary staffs' acceptance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 of star chefs' appearance in cooking broadcast?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homogeneous type of culinary staffs' subjective perception of star chefs' appearance in cooking broadcast? Third, what are the things in common and differences of culinary staffs' each subjective perception type of star chefs' appearance in cooking broadcast? In the results of typological analysis based on such research questions, total four types were drawn such as Acquiring expertise through cooking broadcast type(Type1, N=8), New broadcast genre recognition type(Type2, N=10), The profession of the chef reality recognition type(Type3, N=2), and Profession image of chef synergy type(Type4, N=2). Each type showed its own distinctive characteristics.
Keywords
Star Chef; Cooking Broadcast; Study on the Subjectivity; Q Methodolog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문혜빈, "스타셰프 휴먼브랜드가 지각된 품질, 정보탐색의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5권, 제4호, 2016.
2 나은경, "먹는방송과 요리하는 방송 음식 미디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학적 탐색," 한국과학연구, 제28권, 제1호, pp.183-215, 2015.
3 김수철, "1980년대 이후 한국 텔레비전 음식프로그램과 음식문화의 관계에 대한 고찰, 방송문화연구, 제27권, 제2호, pp.85-122, 2015.
4 장윤재, "정서적 허기인가 정보와 오락의 추구인가? : 먹방.쿡방 시청동기와 시청경험, 만족도의 관계,"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4호, pp.152-185, 2016.
5 김예진, 스타셰프의 쿡방현상이 조리사의 사회적 거리감, 자아존중감, 직업가치관, 성취목표성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5, 2017.
6 김형우, "1인 가구와 방송 트렌드 변화 : 먹방, 쿡방을 중심으로," 제5권, 제1호, pp.152-171, 2015.
7 김희연, "쿡방 시청자의 시청 만족도, 음식관여도 및 요리사의 사회적 지위 인식간의 관계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관광레저연구 제29권, 제3호, pp.421-436, 2017.
8 류웅재, "'쿡방'의 정치경제학-주체의 자기 통치의 관점에서," 문화과학, 제83권, pp.160-173, 2015.
9 이다혜, "청년세대의 리얼리티 TV 프로그램 수용에 관한 연구 : '쿡방'과 '집방'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스피치와 커무니케이션, 제15권, 제2호, pp.181-221, 2016.
10 김희연,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TV 요리 방송 이미지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관과아레저학회, 관광레저연구, 제28권, 제11호, pp.341-356, 2016.
11 정연선, "여대생의 체중조절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4, pp.544-553, 2016.   DOI
12 김홍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인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9.
13 J. Dryzek, Discursive Democrac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4 김흥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해," 간호학 논문집, 제6권, 제1호, pp.1-11, 1992.
15 S.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l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46, 1980.
16 S. Brown, D. During, and S. Selden, "Q Methodology, In G. Miller and M. Whicker, eds.,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Public Adminstration," New York: Marcel Dekker, 1999.
17 김흥규, "Q-블럭과 Q-도구의 일치도 연구," 주관성연구, Vol.16, pp.5-16, 2008.
18 P. M. Patterson, T. J. Burkink, R. S. Lipsey, J. Lipsey, and R. W. Roth, "Targeting tourists with state branding programs Agribusiness," Vol.19, No.4, pp.525-538, 2003.
19 W. Stephenson, "Consciousness Out-Subjectivity," In, The Psychological Record. p.18, 1968.
20 이제영, "건강 공익광고 수용효과에 관한 연구-광고홍보학과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85-93, 2016.   DOI
21 이제영, "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고객에 대한 음식 선호도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507-510, 2014.
22 http://krdic.naver.com/search.nhn?query "오픈국어사전, 쿡방"
23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 "쿡방전성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