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33F10_2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9초

Site-directed Mutagenesis of Cysteine Residues in Phi-class Glutathione S-transferase F3 from Oryza sativa

  • Jo, Hyun-Joo;Lee, Ju-Won;Noh, Jin-Seok;Kong, Kwang-H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2호
    • /
    • pp.4169-4172
    • /
    • 2012
  • To elucidate the roles of cysteine residues in rice Phi-class GST F3, in this study, all three cysteine residues were replaced with alanine by site-directed mutagenesis in order to obtain mutants C22A, C73A and C77A. Three mutant enzymes wer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purified to electrophoretic homogeneity by affinity chromatography on immobilized GSH. The substitutions of Cys73 and Cys77 residues in OsGSTF3 with alanine did not affect the glutathione conjugation activities, showing non-essentiality of these residues. On the other hand, the substitution of Cys22 residue with alanine resulted in approximately a 60% loss of specific activity toward ethacrynic acid. Moreover, the ${K_m}^{CDNB}$ value of the mutant C22A was approximately 2.2 fold larger than that of the wild type. From these results, the evolutionally conserved cysteine 22 residue seems to participate rather i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active site in OsGSTF3 by stabilizing the electrophilic substrates-binding site's conformation than in the substrate binding directly.

Culture Condi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F722 for Biosurfactant Production

  • Oh, Kyung-Taek;Kang, Chang-Min;Kubo, Motoki;Chung, Seon-Yo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6호
    • /
    • pp.471-476
    • /
    • 2006
  • Pseudomonas aeruginosa F722 produces a biosurfactant (BS) during its degradation of carbon and hydrocarbon compounds. The culture conditions for upgrading the biosurfactant productivity were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 of the biosurfactant produced by P. aeruginosa F722 was 0.78 g/L in C-medium; however, this increased to 1.66 g/L in BS medium, which was experimentally adjusted to optimal conditions. $NaNO_{2}$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for microbial growth, with an $O.D_{600nm}$ of 1.18 for 0.1 % $NaNO_{2}$. Microbial growths, according to the $O.D_{600nm}$ were 2.53, 2.68, 2.89, and 2.87 for glucose, glycerol, $n-C_{10},\;and\;n-C_{22}$, respectively. Clear zone diameters (cm), indicating biosurfactant activity, were 9.0, 8.8, 5.7, and 8.5 for glucose, glycerol, $n-C_{10},\;and\;n-C_{22}$, respectively. Microbial growth was not consistent with the biosurfactant activity. The best biosurfactant activity was found with a C/N ratio of 20. Under optimal culture condition, the average surface tension decreased from 70 to 30 mN/m after 5 days. With aeration of 1.0 vvm, the biosurfactant produced increased to 1.94 g/L (up to 20%) compared to that of 1.66 g/L with no aeration. With aeration, the velocities of glucose degradation during both the log and stationary growth phases increased from 0.25 and $0.18\;h^{-1}$ to 0.33 and $0.29\;h^{-1}$, respectively, and the time for the culture to arrive at the maximum clear zone diameter became shorter, from 80 down to 60 h with no aeration.

'진귤' (Citrus sunki) 의 웅성가임 연관 SCAR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a SCAR Marker Linked to Male Fertility Traits in 'Jinkyool' (Citrus sunki))

  • 채치원;;윤수현;박재호;이동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659-1665
    • /
    • 2011
  • 감귤류 중 수술이 퇴화되어 웅성불임형질을 나타내는 '청견' 품종에 정상적인 수술의 형태를 가진 웅성가임인 '진귤' 품종을 교배하여 150개체의 $F_1$ 집단을 구축하여 수술이 퇴화되는 개체와 정상인 개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F1 개체들을 사용하여 SRAP 기법과 집단 분리 분석법(BSA)을 조합하여 웅성 가임 연관 마커 개발에 활용하였다. $F_1$ 집단 내 150개체 중 66개체가 퇴화 수술을 갖고 있으며 웅성 가임성과 웅성 불임성의 분리비는 1:1이며 $x^2$ 값은 2.16(p=0.05)이었다. 197개의 SRAP 프라이머 조합들 중 웅성가임 특이밴드를 형성하는 3개의 SRAP 프라이머 조합(F4/R27, F39/R60, 및 F15/R37)을 선발하였으며, 이 중 F39/R60 프라이머에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DNA단편의 염기서열을 기본으로 하여 새롭게 작성한 양방향 프라이머 조합 중 웅성 가임 계통에서만 약 1.4 Kb의 특이밴드를 증폭하는 프라이머 조합, pMS 33U/pMS 1462L를 선발하여 SCAR 마커를 개발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발된 SCAR 마커로 무핵성 계통들의 육종 선발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벤조디아제핀 수용체 영상용 양전자 방출 핵종 표지 플루마제닐 유도체 [F-18](3-(2-Fluoro)flumazenil의 합성과 생체 내 분포 (Synthesis and Biodistribution of Flumazenil Derivative [F-18](3-(2-Fluoro) flumazenil for Imaging Benzodiazepine Receptor)

  • 홍성현;정재민;장영수;이동수;정준기;조정혁;이숙자;강삼식;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27-536
    • /
    • 1999
  • 목적: [C-11]flumazenil (RO 15-1788)은 벤조디아제핀 수용체 영상용 방사성 의약품으로 여러 가지신경, 정신 질환에서 양전자방출촬영(PET)용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2-amino 5-fluoroben-zoic acid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5단계에 걸쳐 플루마제닐 유도체를 합성한 후 F-18으로 표지하여 실험 동물에서의 성체 내 분포를 보았다. 대상 및 방법: 플루마제닐(c)의 합성은 F Hoffmann-La-Ro-che (Basle/CH)에서 보고된 방법에 의해 수정하여 합성하였다. 플루마제닐 유도체(d)는 플루마제닐(c)의 C-3 곁가지의 ethylester기를 tetrabutylammonium hydroxide와 반응하여 가수분해한 후 ditosylethane을 사용하여 tosyl기를 도입하여 합성하였다. 3-(2-[F-18]fluoro)flumazenil(e)의 합성은 TR-l3 사이클로트론에서 제조한 [F-18fluoride를 acetonitrile 용매하에서 플루마제닐 유도체(d)와 친핵성 치환반응으로 표지하였다. 표지된 플루마제닐 유도체는 TLC로 표지 효율을 측정하고, alumina-N과 $C_{18}$ Sep-pak으로 정제하였다. 3-(2-[F-18]fluoro)flumazenil의 생체 내 분포를 보기 위해 마우스(n=9)의 꼬31정맥으로 3-(2-[F-18]fluoro)flumazenil (0.37 MBq/0.1 mL)을 주사한 후 10, 30, 60분 후에 희생시켰다. 각 장기별 무게를 측정한 후 감마카운터로 방사능을 계수하였다. 투여한 방사능 양과 장기 내 방사능치를 구하여 시간에 따른 장기의 단위 무게별 주사량 대비 백분율(% ID/g)을 계산하였다. 결과: 플루마제닐 유도체 합성(d)의 전체 수득률은 40%였고, 플루마제닐 유도체의 F-18 표지효율은 66% 이상이었다. 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분포 실험에서 뇌의 섭취율은 10, 30, 60분에서 $2.5{\pm}0.4,\;2.2{\pm}0.3,\;2.1{\pm}0.1%ID/g$이었고, 혈액은 $3.7{\pm}0.4,\;3.3{\pm}0.1,\;3.3{\pm}0.09%ID/g$이었다. 결론: 새로운 벤조디아제 핀 수용체 영상용 방사성 의약품으로서 3-(2-[F-18]fluoro) flumazenil을 높은 표지 효율로 합성함으로서 PET와 SPECT 영상의 비교 연구에 이용될 수 있으며, F-18을 플루마제닐 유도체의 제각기 다른 위치에 치환함으로서 체내동태에 대한 연구에도 이용될 수 있다.

  • PDF

Flammulina elastica의 유전체 정보기반 신규 laccase 유전자 동정 및 구조 분석 (Identification and structural analysis of novel laccase genes in Flammulina elastica genome)

  • 유혜원;박영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3-40
    • /
    • 2021
  • 최근 Flammulina 종들에 대한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결과가 보고되었고, 그로 인해 다양한 유전자 정보가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lammulina elastica 전체 유전체 서열의 laccase 유전자를 동정하고 구조적 특징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유전체 분석 및 생물정보분석을 통하여 F. elastica 유전체 내 3개의 laccase 유전자(Fe-lac1, Fe-lac2, Fe-lac3)를 확인하였고, 이들 유전자 내에는 10개의 히스티딘 잔기와 1개의 시스테인 잔기를 가지는 구리 이온 결합 영역과 4개의 시스테인 잔기를 가지는 이황화결합 형성 부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548~1,602 bp의 laccase 유전자에 대한 전장 c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12~16개의 인트론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되었으며, N-말단으로부터 17~22 bp의 사이에 신호펩타이드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F. elastica의 laccase 유전자를 최초로 동정하여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F. elastica의 바이오매스 분해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반응 표면 분석법을 활용한 Acetylene 분리용 탄소기반 흡착제 개발 (Development of Carbon-based Adsorbent for Acetylene Separ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

  • 최민정;유계상
    • 공업화학
    • /
    • 제30권1호
    • /
    • pp.29-33
    • /
    • 2019
  • 탄소 nanotube, nanofiber 및 powder를 사용하여 아세틸렌 흡착실험을 수행한 결과 탄소 nanotube가 최적의 흡착성분을 보였다. 이를 지지체로 하여 Pd 농도 0~5%, 흡착온도 $30{\sim}80^{\circ}C$$C_2H_2/CO_2$의 비 3~10의 범위에서 3-요인, 3-수준의 Box-Behnken Design(BBD)으로 15개의 실험 조건을 설계했다. 이를 바탕으로 2차 다항식 회귀분석으로 운전조건에 따른 흡착량 예측식을 도출하였다. ANOVA 분석의 F-value 측정에 따라 흡착온도가 가장 큰 영향지수를 보였고 $C_2H_2/CO_2$의 비는 가장 작은 영향지수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주요인자 간의 교호작용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흡착량 최적화 분석에서 Pd 농도 3.0%, 흡착온도 $47^{\circ}C$$C_2H_2/CO_2=10$인 조건에서 22.0 mmol/g이 흡착되는 것으로 계산되었고 실제 실험치에 95.9%의 정확도를 보였다.

UPPER BOUND ON THE THIRD HANKEL DETERMINANT FOR FUNCTIONS DEFINED BY RUSCHEWEYH DERIVATIVE OPERATOR

  • Yavuz, Tugba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437-444
    • /
    • 2018
  • Let S denote the class of analytic and univalent functions in the open unit disk $D=\{z:{\mid}z{\mid}<1\}$ with the normalization conditions f(0) = 0 and f'(0) = 1. In the present article, an upper bound for third order Hankel determinant $H_3(1)$ is obtained for a certain subclass of univalent functions generated by Ruscheweyh derivative operator.

주유동 기체의 물리적 특성이 환형 분사 초음속 이젝터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imary gas physical properties on the performance of annular injection type supersonic ejector)

  • 진정근;김세훈;박근홍;권세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68-75
    • /
    • 2005
  • 주유동 기체의 물리적 특성이 초음속 이젝터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체의 분자량과 정압 비열 변화에 따른 성능 변화에 관한 연구는 축대칭 환형 분사 초음속 이젝터를 사용하였다. 주유동 기체로는 공기, $CO_{2}$, Ar, $C_{3}H_{8}$, $CCl_{2}F_{2}$를 사용하였다. 주유동 기체의 분자량과 정압 비열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 주유동 압력에 대한 부유동 압력은 증가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몰비열이나 비열비의 형태로 통합되어 확인되었다.

산업폐수처리를 위한 호기성 생물막 유동층 반응기의 연구(II) -유기물 충격 부하가 미생물 성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an Aerobic Fluidized-Bed Biofilm Reactor for Treating Industrial Wastewaters(II) -Effect of Organic Shock Loading Rate on Biomass Characteristics-)

  • 안갑환;박영식;최윤찬;김동석;송승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325-330
    • /
    • 1993
  • A number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rganic removal efficiency and biomas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organic shock loading rate in a fluidized bed biofilm reactor. At the operation conditions of HRT, 8.44 hour, superficial upflow velocity, 0.9 cm/sec and temperature, 22$\pm$$1^{\circ}C$, the removal efficiency of SCOD was founded to be 96.5, 92 and 90 % with the organic shock loading rate of 3.5, 10.8 and 33 kgCOD/m$^3$ㆍday, respectively. Within the F/M ratio ranged 0.4 to 2.0 kgCOD/kgVSSㆍday, the SCOD removal efficiency was shown as 90% at F/M ratio of 2.0 kgCOD/kgVSSㆍday, but the TCOD removal efficiency was 72 % at F/M ratio of 1.8 kgCOD/kgVSSㆍday. The average biomass concentrations were 7800, 14950 and 27532 mg/l on the organic shock loading rate of 3.5, 10.8 and 33 kgCOD/$\textrm{m}^3$ㆍday, respectively. This result was agreed with the fact that more biomass could be produced at high concentration of substrate, but some biomass was detached at the onset of shock and easily acclimated at the shock condition.

  • PDF

Theoretical Studies on Nitramine Explosives with -NH2 and -F Groups

  • Zhao, Guo Zheng;Lu, Mi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6호
    • /
    • pp.1913-1918
    • /
    • 2012
  • The nitramine explosives with $-NH_2$ and -F groups were optimized to obtain their molecular geometries and electronic structures at DFT-B3LYP/6-31+G(d) level. The theoretical molecular density (${\rho}$), heat of formation (HOF), detonation velocity ($D$) and detonation pressure ($P$), estimated using Kamlet-Jacobs equations, showed that the detonation properties of these compounds were excellent. Based on the frequencies scaled by 0.96 and the principle of statistic thermodynamics, the thermodynamic properties were evaluated, which were respectively related with the temperature. The simulation results reveal that 1,3,5,7-tetranitro-1,3,5,7-tetrazocan-2-amine (molecule B1) performs similarly to the famous explosive HMX, and 2-fluoro-1,3,5-trinitro-1,3,5-triazinane (molecule C1) and 2-fluoro-1,3,5,7-tetranitro-1,3,5,7-tetrazocane (molecule D1) outperform HMX.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standard of energetics and stability as an HEDC (high energy density compound), molecules C1 and D1 essentially satisfy this requirement. Thes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molecular design of novel high energetic density comp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