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BP ${\beta}$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2초

Potentiation of Lipopolysaccharide-Inducible COX-2 Expression by C2-ceramide: The Role of JNK- and AP-1-Mediated C/EBP$\beta$ Activation

  • Cho, Yang-Hee;Lee, Chang-Ho;Kim, Sang-Geon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2년도 Molecular and Cellular Response to Toxic Substances
    • /
    • pp.144-144
    • /
    • 2002
  • Ceramide, formed by sphingomyelinase, is involved in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COX-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2-ceramide (C2), a cell-permeable ceramide analog, on the LPS-inducible COX-2 expression and signaling pathways.(omitted)

  • PDF

C/EBP$\beta$ mediated inhibition of PAH-inducible CYPlAl expression by Oltipraz, a cancer chemopreventive agent

  • Cho, Il-Je;Kim, Sang-Ge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85.3-86
    • /
    • 2003
  • Oltipraz, a cancer chemopreventive agent, induces CYP1A1 to a certain extent by transactivation of the gene via the Ah receptor (AhR)-xenobiotic response element (XRE) pathway. Previously, we showed that oltipraz promote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 ) activation, which leads to the induc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Given that oltipraz activates C/EBP for gene transactivation and that the putative C/CBP binding site is located in CY)1A1 promoter reg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oltipraz on CYP1A1 induction by 3-methylcholanthrene (3-MC). (omitted)

  • PDF

상심자와 건조상심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전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f Mori Fructus and Dried Mori Fructus Extracts on the Antioxidant Effect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 김형구;왕경화;임동우;채희성;진영원;최한석;김호준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3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capacity, antiobesity effect and anti-diabetes effects of Mori Fructus and dried Mori Fructus in Raw 264.7 cells and 3T3-L1 cells. Methods 3 different types of Mori Fructus extracts (water 100%, ethanol 30%, ethanol 100%) were used in this study. And 3 different types of dried Mori Fructus extracts (water 100%, ethanol 30%, ethanol 100%) were used in this study. Total polyphenol compund, total favonoid compound, DPPH radical scavenging, ROS activity, NO, cell proliferation were measured in the experiment. Expressions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C/EBP-{\alpha}$, $C/EBP-{\beta}$, $PPAR-{\alpha}$, $PPAR-{\gamma}$, $AMPK-{\alpha}$ were analyzed by Real time PCR. Results Mori Fructus extracts measurements are higher than dried Mori Fructus extracts measurements at Total flavonoid compound and total flavonoid compound. Mori Fructus extracts measurements are lower than dried Mori Fructus extracts measurements at DPPH radical scavenging, ROS activity, NO. In RT-PCR analysis, there is a tendency that dried Mori Fructus extracts inhibit the expression of $C/EBP-{\alpha}$, $C/EBP-{\beta}$ genes. In RT-PCR analysis, there is a tendency that dried Mori Fructus extracts promote the expression of $PPAR-{\alpha}$, $PPAR-{\gamma}$, $AMPK-{\alpha}$ genes. Conclusions Mori Fructus is effective on inhibiting the oxidation and dried Mori Fructus is effective on inhibiting the obesity and diabetes.

옥수수수염, 율무, 표고버섯 그리고 사과껍질을 함유한 빵의 항산화 및 3T3-L1 지방 전구세포 분화 억제 활성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ies of Bread Containing Corn Silk, Job's Tears, Lentinus edodes, and Apple Peel in 3T3-L1 Preadipocytes)

  • 이창원;박용일;김수현;임희경;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51-663
    • /
    • 2016
  • 옥수수수염, 율무, 표고버섯 그리고 사과껍질 70% 주정 추출물들(CS, JT, LE, AP)은 항산화 활성이 있었고, 그것 중에 CS가 총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작용, ABTS 라디칼 소거작용 그리고 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았다. 지방분화는 CS, JT, LE, AP 그리고 옥수수수염, 율무, 표고버섯 그리고 사과껍질을 함유한 개발 빵 추출물(DB)을 각각 처리한 3T3-L1 지방세포에서 연구하였다. DB1과 DB2는 지방 전구세포 분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었다. 3T3-L1 지방세포에서 중성지방 축적은 실험한 시료들(CS, JT, LE, AP) 중에서 CS가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에서 TG 축적을 가장 억제하였고 3T3-L1에서 지방분화와 관련된 인자들을 조절하였다. CS는 3T3-L1 세포에서 지방구 형성과 지방세포 분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지방분화 동안 다양한 농도(10, 50, $100{\mu}g/mL$)에서 CS와 함께 처리한 3T3-L1 세포에서 $C/EBP{\beta}$, $PPAR{\gamma}$ 그리고 aP2 mRNA와 단백질 수준에 대한 CS의 영향력을 실험하였고, 3T3-L1 지방세포에 CS 처리는 $PPAR{\gamma}$와 aP2 mRNA 발현을 감소시켰다. CS는 역시 지방분화 중에 $C/EBP{\beta}$, $PPAR{\gamma}$와 aP2 단백질의 증가를 현저하게 저해하였다. 개발된 빵들은 CS에 의해 지방 전구세포(3T3-L1 preadipocytes) 분화 억제 효과가 있고, CS는 3T3-L1 지방세포에서 $C/EBP{\beta}$, $PPAR{\gamma}$와 aP2 신호전달경로를 저해함으로써 지방 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JT, LE와 AP는 지방 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과는 없었지만 강한 항산화 효과가 있었다. 이들 결과는 개발된 빵이 비만예방 및 억제뿐만 아니라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빵이라는 것을 제안하였다.

흑마늘 추출물에 의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adipogenesis 억제에 관한 연구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by Aged Black Garlic Extracts in 3T3-L1 Preadipocytes)

  • 박정애;박철;한민호;김병우;정윤호;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20-72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생마늘 및 흑마늘 열수추출물이 insulin, dexamethasone 및 IBMX 등과 같은 분화유도인자에 의하여 유발되는 lipid droplet 및 triglyceride 생성 등과 같은 지방세포로의 분화와 함께 이러한 분화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인 PPAR${\gamma}$, C/EBP${\alpha}$ 및 C/EBP${\beta}$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숙한 지방세포에서 나타나는 lipid droplet의 생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한 결과, WEABG 처리군에서 lipid droplet의 생성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pid droplet과 함께 성숙한 지방세포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로서 비만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지방세포 내의 저장 지방인 triglyceride 생성 정도를 확인한 결과에서도 WEABG 처리군에서 triglyceride 억제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WERG 및 WEABG-A는 분화유도인자에 의하여 유발된 PPAR${\gamma}$, C/EBP${\alpha}$ 및 C/EBP${\beta}$의 발현 억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WEABG는 그들의 발현을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현저하게 억제시켰다. 이는 WEABG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서 lipid droplet 및 triglyceride 생성을 억제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막는 항비만 효능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 결과는 흑마늘의 비만억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항비만 기전에 대한 생화학적 해석 및 이를 활용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포도씨 탈지박 추출물 처리가 3T3-L1 Preadipocyte 내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 (Defatted Grape Seed Extracts Suppress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최용민;이선미;김영화;전건욱;성지혜;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27-93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농산 가공 폐기물로 버려지고 있는 포도씨 탈지박 methanol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DGSE에 의한 TG 생성 저해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료를 3T3-L1 preadipocyte에 농도별(0, 25, 50, 100, 200 ${\mu}g/mL$)로 처리하면서 분화를 유도하였다. 실험 결과 DGSE는 지방세포내의 TG 생성과 GPDH 활성 및 주요 전사 인자인 PPAR$\gamma$ 및 C/EBP $\alpha$$\beta$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GSE는 100 ${\mu}g/mL$의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지방 분화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항비만 기능성식품으로서의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C/EBP$\beta$ and Nrf2-Mediated GSTA2 Induction by $\alpha$-Lipoic acid, an Insulin-Sensitizing Agent that has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 Ki, Sung-Hwan;Cho, Il-Je;Kim, Sang-Ge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82.1-82.1
    • /
    • 2003
  • The protective adaptive response to electrophile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is mediated by enhanced expression of phase II detoxifying genes including glutathione S-transferases. ${\alpha}$-Lipoic acid, which exerts prooxidant or antioxidant activities, has been shown to activate the insulin signaling pathway and thus to induce insulin-like actions via PI3-kinase and Akt. Our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I3-kinase plays an essential role in Nrf2-or C/EBP${\beta}$-mediated glutathione S-transferase A2 (GSTA2) induction. (omitted)

  • PDF

Cloning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Porcine β-casein Gene (CNS2)

  • Lee, Sang-Mi;Kim, Hye-Min;Moon, Seung-Ju;Kang, Man-J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3호
    • /
    • pp.421-427
    • /
    • 2012
  • The production of therapeutic proteins from transgenic animal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ccesses of animal biotechnology. Milk is presently the most mature system for production of therapeutic proteins from a transgenic animal. Specifically, ${\beta}$-casein is a major component of cow, goat and sheep milk, and its promoter has been used to regulate the expression of transgenic genes in the mammary gland of transgenic animals. Here, we cloned the porcine ${\beta}$-casein gene and analyz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the promoter and intron 1 region of the porcine ${\beta}$-casein gene. Sequence inspection of the 5'-flanking region revealed potential DNA elements including SRY, CdxA, AML-a, GATA-3, GATA-1 and C/EBP ${\beta}$. In addition, the first intron of the porcine ${\beta}$-casein gene contained the transcriptional enhancers Oct-1, SRY, YY1, C/EBP ${\beta}$, and AP-1, as well as the retroviral TATA box. We estimat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for the 5'-proximal region with or without intron 1 of the porcine ${\beta}$-casein gene in HC11 cells stimulated with lactogenic hormones. High transcriptional activity was obtained for the 5'-proximal region with intron 1 of the porcine ${\beta}$-casein gene. The ${\beta}$-casein gene containing the mutant TATA box (CATAAAA) was also cloned from another individual pig. Promoter activity of the luciferase vector containing the mutant TATA box was weaker than the same vector containing the normal TATA box.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ranscription of porcine ${\beta}$-casein gene is regulated by lactogenic hormone via intron 1 and promoter containing a mutant TATA box (CATAAAA) has poor porcine ${\beta}$-casein gene activity.

탱자 (Poncirus trifoliata)의 lipoprotein lipase 억제메커니즘 (A study of the lipoprotein lipase inhibitory mechanism of Poncirus trifoliata water extracts)

  • 이성미;강윤환;김경곤;김태우;최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1호
    • /
    • pp.9-18
    • /
    • 2015
  • 본 연구에는 최근 항비만 소재로 연구되고 있는 건조, 미숙탱자의 물 추출물 (PF-W) 소재를 대상으로 폴리페놀 ($52.15{\pm}4.02mg/g$)과 플라보노이드 ($6.56{\pm}0.47mg/g$) 함량을 측정하고 항산화 활성과 세포독성을 시험한 후, 지방 흡수 제어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lipoprotein lipase (LPL)의 억제효능을 배양배지와 세포 내의 LPL 함량, LPL mRNA 발현 그리고 LPL 효소활성측정을 통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PF-W은 3T3-L1 adipocyte에서 LPL mRNA의 발현과 활성에는 영향이 없었으며, LPL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F-W의 LPL 분비억제기작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단백질 이동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LPL의 이동과 분해에 관여하여 세포내 LPL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SorLA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조절하는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과 세포핵으로의 이동에 PF-W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PF-W를 처리함으로써 SorLA promoter 에 작용하는 $C/EBP{\beta}$의 단백질양이 세포핵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PF-W가 SorLA 유전자의 transcription factor인 $C/EBP{\beta}$의 단백질 발현을 세포핵에서 증가시킴으로써 SorLA의 발현이 증가되어 LPL의 분비억제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PF-W의 항비만 효과기전을 설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