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iness Ventures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5초

What Promotes Inter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of Green Ventures? The Joint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Home Country-Based Networks

  • Dejin Su;Yeong-Gil Kim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6권4호
    • /
    • pp.39-62
    • /
    • 2022
  • Purpose - Along with the growing awarenes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ternational green entrepreneurship is expected to realize inter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ISD) by introducing ecological innovation results, using fewer resources consumption, and reducing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Building upon contingency theory and social network theory,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role of home country-based networks (technology ties and business ties) as contingent factors that might impact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O) in promoting ISD among green ventures. Design/methodology - Original data were collected from 127 green ventures in China based on the random sampling technique. These green ventures mainly focus on the lower use of energy or materials, lower CO2 emissions, and higher ecological benefits located in the Fujian province, which highlights green economic growth 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markets. Moderate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our hypotheses concerning the main relationship between EO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and ISD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home country-based networks (technology ties and business ties) on the main relationship. Findings -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first, both 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ss positively affect ISD; second, both technology ties and business ties at home might significantly strengthe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ness (or proactiveness) and ISD. However, this study did not fin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technology ties or business ties at ho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taking and ISD. Originality/value - Since previous literature often gives more focus on the host country context of social networks, this study shifts to a home country-based network context. Therefore, our research might enrich the international green entrepreneurship literature by empirically investigating the contingent value of home country-based network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O and ISD in the context of an emerging economy such as China.

초기 중소벤처의 기술혁신역량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x-ante Early Stage Venture Technology Innovation Power and ex-post Firm's Performance)

  • 양동우
    • 지식경영연구
    • /
    • 제7권1호
    • /
    • pp.49-63
    • /
    • 2006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discriminatory power of technology innovation in predicting Early Stage Ventures' success or failure.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we test early stage ventures'(Firm's period is below 3 years)technology innovation and performance.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in loan evaluation, investment decision, internal management decision making and business improvement. The results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Early Stage Ventures' technology innovation power is composed of 4 major indexes(technology, marketability, manufacturing infra and economic feasibility). Second, we find that thirty-seven minor indexes are significant ex-ante variable which are discriminating between firms' success and failure in Early Stage Ventures. Also thirty-seven minor indexes explain 57.2% of the total variance. This explainable power of these indexes is similar to that of the existing 58 index elements. Finally, we find that the most important technology innovation power of Early Stage Ventures' is economic feasibility.

  • PDF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 재검토 : 중소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Reexamining the Performanc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 A Study on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Ventures)

  • 윤현중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5호
    • /
    • pp.103-114
    • /
    • 2014
  • 기업가적 지향성은 신생기업의 사업 성공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성향이라고 알려져 있다. 기업가적 지향성은 시장기회를 포착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에 자원이 부족하고 조직 성장을 위한 수단들을 모색하기 쉽지 않은 중소 벤처기업들이 고려할 수 있는 좋은 대안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렇지만 다양한 경영성과를 대상으로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심도 있게 비교하고 있는 실증연구들은 제한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기존 실증연구들을 검토하여 그 동안 논의가 제한적이었던 두 가지 이슈에 초점을 맞추어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재검토하였다. 첫째, 기업가적 지향성의 선형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비선형적인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다각도로 검토하였다. 둘째,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는 방식을 달리 하더라도 분석결과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지를 검토하였다. 한국의 1,497개 중소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한 논문의 분석결과, 매출액 증가율과 같은 재무적 성과를 경영성과로 한 기업가적 지향성의 비선형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술개발 및 제품개발 성과와 같은 혁신성과에 대한 기업가적 지향성의 비선형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 패턴은 기업가적 지향성의 측정 방법을 달리하더라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 한계 및 미래의 연구 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에서 제품 혁신성의 매개효과 검증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Novelty of Business Ventur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 윤현중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4호
    • /
    • pp.23-34
    • /
    • 2018
  •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에서 제품 혁신성의 매개효과를 검토하고 있다. 벤처기업의 제품개발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주로 벤처기업의 기술력에 초점을 맞추어 보유한 기술 수준과 연구개발 투자가 어떻게 제품개발 성과를 증대시키는 지에 주목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들은 조직수준에 형성된 기업가정신이 제품개발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비록 벤처기업의 제품개발과 관련된 많은 중요한 논의들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품개발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연구개발 기능 분화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제품개발 성과가 높은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며, 조직수준에 형성된 기업가정신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제품개발 성과를 달성하게 하는지에 대한 설명 또한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벤처기업의 연구개발 기능 분화로 나타난 연구개발 부서의 존재와 벤처기업에 형성된 기업가적 지향성이 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정(+)의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Day & Wensley(1988) 모형을 적용하여,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를 제품 혁신성이 매개하는 지를 확인하였다. 한국의 중소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수집한 703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부서의 기능 분화 및 기업가적 지향성 수준과 같은 제품개발 전략 실행이 제품 혁신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 혁신성은 제품개발 전략 실행이 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대체로 매개하여 성과로 연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제품 개발의 경우, 연구개발 부서를 통한 제품개발 전략실행이 제품 혁신성을 높여 제품개발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제품개발의 경우 기업가적 지향성이 제품 혁신성을 높여 제품개발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과 제품개발 전략이 제품개발 성과로 나타나는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실무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 Study of the Impact of Knowledge Sharing and Utilizat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Joint Performance of the Participants in an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 Lee, Won-Hee;Moon, Jae-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87-193
    • /
    • 2019
  • 본 연구는 국제합작사업 기업들을 대상으로 합작사업 참여기업 간 지식공유 및 활용이 참여자간 특성과 합작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합작사업의 지식공유 및 활용이 국제합작사업 참여기업 간 특성인 참여기업 간 계약준수, 사업 참여 동기 및 의지, 경영 자율성, 조직문화들과 합작성과에 어떠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국제합작사업 기업들만이 가지는 특징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지식공유 및 활용은 계약준수, 경영자율성, 사업 참여 동기 및 의지, 조직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계약준수, 경영자율성, 사업 참여 동기 및 의지는 합작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 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역량과 경쟁전략이 성장전망에 미치는 영향: 비즈니스모델 혁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nd Competitive Strategy of Agri-food Venture on Growth Prospect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Business Model Innovation)

  • 안문형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4호
    • /
    • pp.73-86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농식품 벤처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농식품 벤처창업이 늘고 있으나 산업적 특성으로 인한 제약요인과 함께 성장으로 이어지기 위한 인프라와 투자가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기술사업화역량 및 경쟁전략이 농식품 벤처기업의 성장전망에 미치는 영향과 비즈니스모델 혁신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후,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전체 벤처기업과 다른 농식품 벤처만의 산업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원데이터로부터 농식품 벤처기업만을 추출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사업화역량의 생산화역량과 경쟁전략의 원가우위수준, 차별화수준은 성장전망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 중 생산화역량과 차별화수준은 비즈니스모델 혁신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농식품 벤처의 장기적 성장 전망을 위하여 산업적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영향요인을 규명하였으며, 비즈니스모델 혁신과 연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객관적 측정 도구의 개발, 업력 및 규모에 따른 세부 분석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T 중소벤처기업의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과 생산성 향상 : 생산 기간 단축의 매개적 역할 (IT SME Ventures' External Information Network Diversity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 The Mediating Role of the Production Period Reduction)

  • 허용석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44-149
    • /
    • 2017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IT SME ventures' external information network diversity on their production period reduction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generated from technology development. This research constructs a mediating model based on the open innovation perspective and tests it with the 138 samples of South Korean IT SME ventures based on the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make a good contribution by shedding a new light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about the critical role of IT SME ventures' external information network diversity in increasing their production period reduction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generated from technology development which has scarcely been illuminated in the extant studies in the field of the management of technology for SMEs. First, IT SME ventures' external information network diversity positively influences their production period reduction. Second, the external information network diversity positively influences IT SMEs' ventures' productivity improvement. Third, IT SME ventures' production period reduction partially mediates the influence of IT SME ventures' external network diversity on their productivity improvement. These three fresh point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theoretical implication, this research provides a fresh implication that IT SME ventures' external information network diversity positively influences not only their production period reduction but also productivity improvement generated from technology development. Concerning the practical impli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EOs in IT SME ventures make strategic efforts to use more diverse external information sources in order to increase their production period reduction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generated from technology development.

벤처기술평가와 경영성과의 인과관계에 관한 탐색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ausal-effect Relationship between Valuation and Performance in Ventures)

  • 양동우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61-8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ventures' technology valuation and performance, while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Korean firms. We use technology valuation index, marketability valuation index, business valuation index as ex-ante independent variables, use firm's performance(sales, asset, operating income ratio, net income ratio etc) as ex-post dependent variables. Parametric analysis such as Paired T-test, ANOVA are applied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operating income ratio and net income ratio are different in portfolios classified by technology valuation index. Secondly, the growth rate of operating income is different in portfolios classified by technology valuation index. Finally, this study has shown that technology valuation index has possibility which it use the predictive variables of ventures' performances.

  • PDF

선도 기술벤처기업의 비즈니스모델 실행이 창업기업에 주는 시사점 : 코스닥상장기업의 사례분석 중심으로 (Implications to High-tech Starts-up Driven from Implementing Business Model of Leading High Tech Ventures : A Case Study of KOSDAQ Listed High-tech Ventures)

  • 김종선;양영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2호
    • /
    • pp.23-33
    • /
    • 2014
  • 본 연구는 코스닥상장 선도 기술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비즈니스모델의 실행방법을 조사 분석하여 기술벤처 창업기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창업기업의 핵심 성과요인 중에 하나가 창업자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과 실행능력의 확보이고, 코스닥에 상장한 선도 기술벤처기업들의 지속성장 성과 핵심도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에 두어지는 만큼 양자의 공통요소를 상호 연결하여 창업기업들이 선도 기업들로부터 효과적인 비즈니스 모델 실행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확보할 수 있게 했다는 점과 더 나아가, 창업기업 입장에서 비즈니스 모델 실행에 있어 자신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롤(Role) 모델을 구체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선도 기술벤처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실행 연구결과,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비즈니스 모델은 단순히 가치창출 구조나 논리 차원을 넘어 CEO 중심으로 한 기업의 사업실행방법론이었다. 둘째, 비즈니스 모델은 CEO주도로 기업의 내부외적인 사업역량과 자산들을 효과적으로 통합하게 하는 입체적인 과정(Process) 이었다. 셋째,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전제로 한 전략적 접근의 툴(Tool) 이라기보다는 목표고객의 식별과 가치의 창출 및 전달과정의 실행과정으로부터 재무적 결과는 자연스럽게 얻어지는 산물이다. 넷째, 선도 기술벤처기업 CEO들은 비즈니스모델을 활용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관련한 현장정보의 수집이었다.

  • PDF

국내 벤처의 경영성과 영향요인 비교 분석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Determinants of Management Performance for Domestic Ventures)

  • 이상천;배성문;고봉상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45-159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벤처기업의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통합된 연구 틀 안에서 규명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창업자/팀, 조직/자원, 전략/창업과정, 산업 환경, 지원시스템을 경영성과 영향요인으로 정의하였으며 영역별 측정변수를 독립변수로, 경영성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벤처 경영성과 통합 모형을 구축하고, 우수벤처와 열등벤처의 경영성과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우수기업의 경우 창업자 자신의 산업전문능력과 시장규모의 확대가 경영성과 에 더 민감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열등기업의 경우 자원조달능력 및 경영 전략 역량 이 민감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기업과 열등기업을 나누는 핵심요인은 창업자의 능력 및 정부정책의 일치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표본수의 부족, 측정 척도의 미비 등 실증 연구의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통합된 연구 틀 안에서 우수 벤처기업의 핵심 성공 요인을 제시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