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iness Model Canva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9초

Analyzing the Business Model Canvas and Marketability of Heritage Sites in Central Luzon: A Public Sector Perspective

  • Delia LUMIWES;Gi Ho JEONG
    • 융합경영연구
    • /
    • 제11권6호
    • /
    • pp.35-41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marketability of the heritage sites in Region III, Philippines. More specifically, it will obtain information on the: (a) profile of the heritage sites in Central Luzon; (b) dimensional issues of their marketability along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lines; (c) quality of services in terms of tangibility, responsiveness, empathy, assurance, and reliability; and (d) its business model canva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will utilize a descriptive survey of the heritage sites in Central Luzon, namely: Aurora, Nueva Ecija, Bulacan, Pampanga, Tarlac, Zambales, and Bataan. There will be 60 respondents, including 5 facilitators, 24 residents, and 31 tourists. The results will be statistically measured through the measures of central tendencies, dispersion, and the test of significance. Result and conclusion: This study will comprehensively examine the local tourism sector, benefiting various stakeholders. It serves as a valuable resource for tourists by providing insights into destination marketing strategies and enhancing heritage tourism experiences. Administrators benefit from coping strategy evaluations, aiding in the formulation of effective strategies aligned with industry goals. Tourism businesses align with industry objectives and the study streamlines ordinances for site protection for local government units. Additionally, the community gains empowerment through insights into employable activities and potential businesses, influencing assessments of the justification for local preservation ordinanc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termination of Appropriate Business Model in e-Learning Industry in Iran

  • Salehinejad, Abbas;Samizadeh, Reza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7권4호
    • /
    • pp.17-25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framework for determining the most appropriate business model for e-learn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Electronics Branch of Azad University has been elected as a case study in this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using a descriptive method. The information was obtained using interviews with experts including managers, faculty and students at the Electronics Branch of Azad University. Results - Three service-product system (product oriented system, use an oriented and result oriented system) approaches determined a framework for the formation of a portfolio. This portfolio is including three types of e-learning business models. Examining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correspondence of behaviorism learning theory with a product-oriented approach, correspondence of cognitivism theory with a user-oriented approach and in finally match correspondence of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with a results-oriented approach which is evident. Conclusions -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on the fields of e-learning, business model and product - service systems, we have achieved three types of e-learning business models. Then the variables in any of the business models were defined by using business model canvas tool and thus a portfolio consisting of three types of e-learning business model canvas was obtained.

푸드 온라인 플랫폼 비즈니스 프레시코드 사례: 린 스타트업 방식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Freshcode for the Food Online Platform Business: A Focus on the Lean Start-Up)

  • 김차영;박철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89-104
    • /
    • 2021
  • Food delivery service combined with IT technology and HMR (Home Meal Replacement) are rapidly growing due to the COVID-19. Recently, the demand for salads along with HMR has increased among office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interested in health and beauty. Freshcode is a food startup with 6 years of experience that started selling salad products through O2O service. Freshcode applied for a patent for a service that collects orders from nearby areas and delivers them on the same day to a designated delivery address 'FCOSPOT' to save shipping costs. In March 2021, in recognition of the growth potential of the regular delivery service, Freshcode received an investment of 6 billion won in Series A. This study may have practical implications to early-stage startups and scale-up stage startups through a longitudinal case study on the growth of a single company.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lean startup methodology and lean canvas were used in the early stage of startup.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the build-measure and learn feedback-loop, which is the core of lean startup methodology, was applied to each major decision-making step. In the scale-up stage after 5 years, the business model canvas was used to schematize the growth as a food online O2O platform to verify continuous innovation. This case study has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 idea of 'FCOSPOT'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through the Lean Startup methodology. Second, Freshcode demonstrated the scalability of the differentiated business model of shared base delivery O2O. Third, a key factor of success was the digital integrated communication operation strategy that maximizes the experience for the created customers.

비즈니스 모델 분석도구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nalytical Tools of Business Model)

  • 유효상;이동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137-14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학계나 실무에서 주목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두 가지 분석도구를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Osterwalder and Pigneur(2010)가 소개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9개의 구성요소를 갖고 있으며, 한 장에 분석결과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수 있다. Keeley et al.(2013)가 소개한 '10가지 혁신 유형 모델'도 10개의 구성요소를 담고 있으며, 각 요소별로 혁신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두 기법 모두 가치제안에서 가치창출, 가치전달, 가치확보에 이르기까지 비즈니스 모델이 갖추어야 할 전체 요소를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할 때,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아이디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향후 구성요소별로 다양한 혁신 사례들이 개발되고, 또한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원형들이 제시된다면, 기업 실무에서 보다 체계적으로 비즈니스 모델 설계나 혁신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4차 산업시대 국가별 표준과 동향 (A Trend Analysis of Global Standards for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 신완선;이성훈;김지원;조지훈;박수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11-628
    • /
    • 2017
  • Purpose: This paper deals with establishing Korean national standardization policy through a comparative trend analysis of national standardization strategies and each nation's policy environment. It first investigates the standardization strategies including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y which is currently lea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thod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national standardization policies that synthesize the determinants of national standard activities using the STEEP, PEST analysis used for policy environment analysis, and National Standardization Model Canvas(N-STD Model Canvas) applying business model canvas. Results: This study confirms the reasoning and operating system of establishing national standard strategy reflecting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 and the direction of national standard strateg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mmarized the policy decision factors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national standard policy and suggested the management plan in the midpoint of view.

비즈니스 모델 캠버스(BMC)를 이용한 시공책임형 CM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M at Risk Business Model using Business Model Canvas)

  • 박경모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23-31
    • /
    • 2016
  • 국내 시공책임형 CM 시장은 용역형 CM 시장보다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발주자의 시공책임형 CM 서비스에 대한 신뢰성 부족과 CM기업의 전문성 시스템 사업성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공책임형 CM 사업의 수주저하 원인에 대한 규명을 비즈니스 모델 캠버스에 기반한 사업진단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전문가와의 1:1 면담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 개선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존 시공책임형 CM 서비스의 개선방안을 9개의 빌딩 블록(고객세분화, 고객관계, 채널, 가치제안, 핵심자원, 핵심활동, 핵심파트너십, 수익창출, 수익구조)으로 나누어 세부 활동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처럼 비즈니스 모델 캠버스 기반의 시공책임형 CM 비즈니스 모델의 정착과 성공적 실행을 통한 선순환 비즈니스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고객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협력업체 강화, 프로젝트 운영의 탁월성 제고를 위한 혁신활동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비즈니스 모델은 시공책임형 CM에 대한 경쟁력 향상과 타사와의 차별화 전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향후 시공책임형 CM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제안 (Business Models Proposal for Korean Open Source GIS Software Companies)

  • 손세린;강영옥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187-19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을 유형화하여 정리하고 공간정보 분야에서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한 후 국내 공간정보 기업에 적합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전략을 제안하였다. 비즈니스 모델 제안은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들과의 인터뷰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비즈니스 모델 분석 방법론은 경영학에서 활용하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하였다.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의 성격에 따라 달리하였는데, 배포자 유형 기업은 앞으로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하는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통한 비즈니스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생산자 유형 기업은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으로의 진출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의 증가 속도로 볼 때 서드파티 서비스 공급기업의 수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서드파티 서비스 공급자 기업은 기술력 확보를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소상공인의 창업 경영진단과 컨설팅을 위한 린 스타트업의 활용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Lean Start-up in a Small Business Industry For Small Business Start-up Consulting)

  • 김재현;남정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4호
    • /
    • pp.183-196
    • /
    • 2018
  • 본 연구는 청년 소상공인들의 창업 경영진단과 컨설팅을 위하여 현재 창업 중인 청년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심층 컨설팅을 실행하고, 청년 소상공인들의 창업 인식과 창업교육 후의 인식변화 및 창업 진행 과정에서 겪는 공통적 애로 사항을 도출하였다. 또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Lean Start-up (린 스타트업)의 구조도에 따른 Lean Canvas를 이용한 고객 문제 및 솔루션의 적합성, 아이디어 시장성 검증 및 최소기능제품(MVP)을 통한 제품 적합성을 검증하며 소상공인들의 자발적 경영진단과 컨설팅, 청년 소상공인들의 창업 활성화와 창업 실패율을 감소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년창업자의 창업사례를 중심으로 약 10개월 동안 5명의 청년 소상공인들의 아이템을 철저하게 고객의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창업자가 검증하려고 하는 문제가 창업자의 문제인지 아니면 고객의 문제인지를 Lean Start-up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해결책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제한된 표본으로 인해 사례 중심의 질적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향후 양적 연구를 통한 소상공인 대상 린 스타트업 방법론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기초연구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공동체 중심의 스마트빌리지 프로세스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Smart Village Process Model)

  • 박소연;정남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2호
    • /
    • pp.11-18
    • /
    • 2021
  • A community-centered smart village process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of the rural field forum.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echnology demand according to the digital capabilities of leaders by community type, village types were classified and detailed technologies were defined. The smart village process was proposed to enable residents to operate autonomously by inducing continuous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 conception stage, planning stage, implementation and self-reliance stage, and allowing them to cooperate together. The business model canvas was reconstructed to be used in the workshop. It was applied to the village of Yesan-gun. As a result of running a resident workshop using the business model Cambus, the lack of resident awareness and illegal garbage dumping were presented as the first problems to be solved. The value of the village was set as 'a village that is clean and clean with a sense of residents, and a good place to live', and users were expressed as 'family' and 'outsiders'. It was suggested that we meet frequently to convey the value of the village by using broadcasting and announcements as a channel to convey the value. Core activities were to cultivate residents' consciousness, such as implementing a campaign against illegal garbage dumping, and to establish and guide separate collection sites. When a garbage collection center is installed, it was estimated that around 2 million won per month for management costs,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it was possible to spend an hour or so twice a month to solve the problem of illegal dumping. If a method to derive village projects based on the derived business model canvas is developed in the future, it will be more practical.

분할소유 미술시장의 현황과 과제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중심으로 - (Exploring Fractional Ownership in Korean Art Market: Based on Business Model Canvas)

  • 이윤진;구자준
    • 예술경영연구
    • /
    • 제58호
    • /
    • pp.179-204
    • /
    • 2021
  • 코로나 19 이후 변화한 소비 트렌드와 저금리 기조가 맞물려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술을 재테크의 수단으로 보는 '아트테크'가 주요 관심사로 떠올랐다. 최근 2~3년간 급격히 떠오른 아트테크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2030 젊은 세대가 참여하며 하나의 예술작품의 가치를 조각으로 나누어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분할소유의 형태를 띤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분할소유 미술시장 플랫폼인 아트투게더, 아트앤가이드, 테사, 피카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고객집단, 가치제안, 채널, 고객관계, 수익구조, 핵심자원, 핵심활동, 핵심파트너, 비용구조 등 9개의 핵심요소를 시각화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에 입각하여 살펴본다. 분석결과 분할소유 미술시장 플랫폼은 유사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으나 수익구조에서 차이를 보이며 핵심적인 수익원은 작품의 매매차익과 매매수수료이다. 작품의 매매차익을 최대화하는 것이 수익구조의 핵심이며, 따라서 수익률이 높은 작품을 선별하고 구입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분할소유 플랫폼이 장기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이 보완되어야 한다. 첫째, 아트테크를 자산의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할 수 있는 장기투자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 기업 신뢰도를 높여 충성도 높은 고객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플랫폼 운영자의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