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 Station Design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4초

대전광역시의 버스 정류장 디자인 (DID Bus Station Design for Daejeon City)

  • 임오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6-89
    • /
    • 2008
  • In this paper, bus station design is presented as a component of public design to develop the integrated city public image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study of city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Design concept is the mutual understanding of public image and human centered sense, and comfortable bus station which is correspond with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and applicable for digital informationization is selected. Design components are bus shelter, information board, bench, vending machine, a wastebasket, billboards and so forth.

  • PDF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이용자와 주변 환경을 고려한 디자인 모델구축 - 버스정류장을 중심으로 (Establishment of design model considering surrounding environment and users in public design - Focused on the bus station)

  • 형성은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451-460
    • /
    • 2009
  • 본 연구는 공공시설물인 버스정류장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이용자 행동유형(행동조사+선호도)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세부적인 분석에서는 버스정류장 속성분석과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각 지역자치단체에 설치된 50개의 샘플을 대상으로 수량화 3류(Quantification theory type 3)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버스정류장은 유동인구가 많음/적음, 기능적인, 단순함의 4개 축과 회사 밀집형 대도시, 지역성이 강한 지방도시, 유동인구가 많은 학교 앞, 한적한 시골마을, 박물관 같은 특정장소, 유동인구가 많은 농촌지역의 특성에 따라 버스정류장의 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에 맞도록 시설물 자체의 조형성 이외에도 지역 환경, 이용자 특성 등이 고려된 디자인이 진행될 수 있도록 버스정류장 속성을 종합하여 세부항목을 제시하였다. 또한,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지역 환경적 특성에 맞는 디자인과 모델이 적용된다면 앞으로 공공시설물로서 이용자에게 보다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공공디자인이 진행될 것이다.

  • PDF

디지털변전소 통합 IED 용 Process Bus 네트워크 통신지연 시뮬레이션 연구 (A Study on Simulation Analysis for the Transmission Delay on the Process bus network in IEC 61850 Digital Substation)

  • 김석곤;안용호;장병태;최종기;이남호;한정열;이유진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9권8호
    • /
    • pp.18-22
    • /
    • 2015
  • Digitalization of the substation in Korea has been in progress so far with focusing on Station Bus. However, its application to Process Bus has been delayed due to some technical issues. IEDs based on Process Bus use the data values of SV and GOOSE. As the size of communication data on Process Bus is comparatively bigger than that of Station Bus,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Process Bus to analyze the transferring speed and quality of data from the first equipment, which is located on process level, to station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lated studies, it is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rocess Bus network is the communication delay with consideration of the volume of packets. In the paper, the results of performance test for the network with and without application of VLAN on Process Bus system that uses integrated IEDs are presented. Additionally, the paper proposes the optimal method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delays of network systems through evaluating the maximum delay time, link process ratio and the amount of lost packets by using a simulation tool.

MAP 적용을 위한 토큰 패싱 버스 프로토콜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token passing bus protocol for MAP application)

  • 이창원;이강익;신기명;김용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0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KOEX, Seoul; 26-27 Oct. 1990
    • /
    • pp.741-744
    • /
    • 1990
  • This paper deal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IEEE 802.4 token passing bus protocol which is the world standard for LAN protocol. We are design station adaptor using MC68824 for data link layer, MC68194 for physical layer, and implemented by IEEE 802.4 and 802.2 type 3. We made three station adaptor and its performance is experimented.

  • PDF

버스터미널의 사운드 스케이프 (Soundscape Study In Bus Stations)

  • 박현구;송혁전;송민정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13-1013
    • /
    • 2004
  • Soundscape design is applied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ces, by supplying suitable background sound for various places expressing their identity. Bus stations are a place for aggregating people using transportation. That is, people go into a station, buy a ticket, and wait for departure or for other passengers. Therefore, they need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sound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make bus stations a comfortable place acoustically for users. In this study, analysis on behavior at various locations in the space was performed. Measurements were taken on the approaching path, waiting place, departure and arrival platforms for sound levels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on acoustic specialists evaluation, using questionnaires, was also performed ambient noise, information broadcasting and users dialogue.

  • PDF

스마트폰 GPS를 활용한 개선된 버스정보시스템 (Advanced Bus Information System Using Smart Phone GPS)

  • 박재흥;강선희;서영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47-255
    • /
    • 2014
  • 본 논문은 기존 버스정보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단점인 텍스트 기반의 시스템을 보완하고 GUI 기반의 사용자 요구형식의 콘텐츠를 전달하고 스마트폰 GPS를 활용한 버스정보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기존 버스정보시스템은 단말기를 버스에 설치하고 정류장별로 안내판을 설치하는 비용적인 문제와 설치 후 유지보수에 대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제안 시스템은 스마트폰의 지도화면을 활용한 버스노선도 및 사용자의 위치 확인, 내 주변 가까운 버스 정류장 찾기, 지도화면 위의 버스노선도 표현, 버스도착예측시간의 정확도 증가를 위한 알고리즘 적용, 내선 순환 버스의 노선구축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도착예측시간 제공의 정확도는 기존 시스템의 약 67% 대비 약 88.71%로 21.71% 증가하였으며, 텍스트와 테이블 UI의 기존시스템을 지도를 기준으로 하는 GUI 형태로 개선하였다. 그 결과 개선된 버스정보시스템에서는 스마트폰의 GPS를 활용하여 기존 버스정보시스템을 보완하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

녹지시설 개념을 적용한 청주시의 버스정류장 공공디자인 (Public Design of Bus Station for Cheongju City with Plant Container Function)

  • 이주헌;이애경;김양희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323-327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으로서 버스정류장 디자인에 있어 화훼식물 이용이 가능한 구도의 시설물계획과 제안에 목적이 있다. 계획에서 청주의 도시브랜드인 '직지'를 강조하기 위해 고인쇄박물관의 형태를 모티브로한 컨테이너를 디자인하고 시설물의 상층부에 설치 계획하였다. 설치될 디자인 요소들은 이용자 행태분석을 통하여 이용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시설물들을 계획하였으며, 프레임을 최대한 좁게 하고 벽면은 투명한 재질로 계획함으로써 이용자의 시야의 확장을 의도하였다. 형태의 장식성을 줄이고 색체 또한 무채색을 주도색으로 사용함으로써 주변과의 융화에 중점을 두었다.

서울시 강남역 광역버스 정류장 서비스 개선 제안 - HCI방법론을 중심으로 - (Suggestions of Bus Station Service in Gangnam - Using HCI methods -)

  • 김소라;강지연;한혜정;김소라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131-145
    • /
    • 2014
  • 현재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인구는 점점 많아지는 것에 비해 광역버스 교통체계 시스템의 발전 속도는 한 없이 더디기만 하다. 많은 문제점들이 개선되어야 마땅하지만 그대로 방치되어있는 현실 속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은 불편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강남역 광역버스 설치물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고 사용자들의 잠재적인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HCI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Define, Find, Analyze & Synthesize, Ideation, Develop의 다섯 가지 단계를 거쳐 숨어있는 니즈를 발굴하고 분석하여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Define 단계에서는 극단적 사용자 기법을 활용하여 리크루팅 한 뒤 인터뷰 대상자를 선정하였고 Find 단계에서는 시장 조사를 위해 고객되어보기와 쉐도잉,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Analyze & Synthesize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니즈를 도출, 분석한 뒤 클러스터링 한 뒤 분석을 통해 리서치의 결과 및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Ideation 단계에서는 앞서 도출된 디자인 원칙을 바탕으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한 뒤 니즈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아이디어를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하게 발전시켰다. Develop 단계에서 사용자 시나리오와 목업을 통해 아이디어를 시각화 시켰으며 문자 메시지, 정보제공 라이트,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함으로써 보다 나은 가로변 서비스를 개선하고자 한다.

DC 배전시스템의 품질향상을 위한 VBC 적응제어 (The design of adaptive Controller for the Voltage Bus Conditioner for the improvement of the Power Quality in the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 우현민;이병헌;장한솔;나재두;김영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48-2356
    • /
    • 2011
  •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s for DC power distributed system (PDS) are being preformed and the importance of the DC PDS is more and more emphasized. Furthermore, in the railway system, the DC PDS is used in subway station lighting, facilities, etc. In the DC PDS, DC bus voltage instability may be occurred by the operation of multiple parallel loads such as pulsed power load, motor drive system, and constant power loads. Thus, good quality and high reliability for electric power are required and voltage bus conditioner (VBC) may be used the DC PDS. The VBC is a DC/DC converter for mitigation of the bus transients. In this paper, adaptive controller is designed. The simulation results by PSIM are presented for validating the proposed control algorithm.

  • PDF

버스터미널 승객 대기 공간에서 사람들의 행태 분석 및 Design Guideline 설정 (Design Guidelines Drawn from passengers' behavior pattern Analyis at the Bus Terminal Waiting Space)

  • 염지웅;김경환;이윤선;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93-598
    • /
    • 2007
  • 대중 교통수단 중에서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버스를 이용한다. 그러나 버스 승객들이 사용하는 버스터미널의 대기공간은 점차 늘어나는 버스터미널 이용객들이 만족하는 서비스의 제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 하는 현실이다. 이에 버스를 이용하기 위한 승객들의 대기 공간에서 나타나는 행태와 환경행태에 대한 조직적인 관찰을 통해서 기존장소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그리하여 주어진 환경 안에서 얻을 수 있는 환경경험과 주어진 환경 내에서 발생되는 환경행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이렇게 나온 자료(data)와 정보(information)를 근거로 하여 Redesign시 고려하여야 할 설계지침서(design guideline)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