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sugar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4초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구조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 이종원;고학룡;심기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99-50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aste soulble browning reaction prodcuts (WS-BRP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They all showed the maximum absorbances at near 280 nm. Their IR spectra suggested the presence of hydroxyl, amide carbonyl and aliphatic methine groups. From sugar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L and S-1 contained two kinds of suggar, glucose and xylose, and S-2, a fructose together with glucose and xylose. Thirteen different amino acids were identified in L. Ten amino acids from S-1 and seven amino acids from S-2 were identified using Auto Amino Acid Analyzer. Glycine, serine and glutamic acid in S-1 and one unknown amino acid and glycine in S-2 were detected as the major amino acids, respectively. From the 1H-and 13C-NMR spectra, it was identified that a number of sugar moieties, carbonyl and carbon double bonds (only in S-2) were contained in the three WS-BRP components. Approximate number of sugar moiety of L, S-1 and S-2 was determined to be 8∼10, 9∼11 and 4∼5, respectively. Contents of nitrogen, carbon and hydrogen showed L>S-1>S-2.

  • PDF

식품첨가제용 뽕잎 농축액의 제조 및 특성평가 (Manufacturing and Characterization evaluation of mulberry concentrate for food additive)

  • 김현복;석영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80-184
    • /
    • 2013
  • 뽕잎을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수율을 측정한 결과 저온 초음파 추출법과 알콜 추출법이 효율적이었다. 식품첨가제로 활용하기 위한 뽕잎 농축액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알콜 추출 농축액이 농축액별 곰팡이 증식에 대해 가장 우수한 억제력을 보였다. 색상의 변화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뽕잎 열수 추출액의 경우는 전처리 과정이 없을 경우 갈변현상이 발생하였으며, 탁도의 변화조사와 비슷한 결과를 통해 열수 추출의 경우는 식품첨가제로서 그대로 이용하기엔 부족함을 인지할 수 있었다. 시간에 따른 농축액별 침전물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본 결과 필터를 통한 여과과정만 거친다면 알콜 추출과 당 추출의 경우는 거의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식품첨가제 활용하기 위해 두 추출법은 모두 용이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농축액의 수율과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농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알콜 추출법으로 판단되었다.

정치배양 및 시판 현미식초의 품질특성 비교 (Quality Comparison of Static-culture and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s)

  • 우승미;조용준;이수원;권중호;여수환;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01-307
    • /
    • 2012
  • 정치배양 현미식초(A)와 시판 국내산 현미식초 3종(B, C, D) 및 일본산 현미식초 3종(E, F, G)의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정산도는 (A)가 6.3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판 국내산 현미식초가 4.52~6.32%, 일본산 현미식초가 4.51~4.89%로 나타났다. pH는 (A)가 3.2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판 국내산 현미식초가 2.58~2.97, 일본산 현미식초가 3.03~3.27로 나타나 (A)의 pH는 일본산 현미식초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TN값을 측정한 결과, (A)는 0.24로 가장 높았고 시판 국내산 현미식초는 0.03~0.16로 나타나 제품간의 함량차이가 많았으나, 일본산 현미식초는 0.12~0.17로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리당은 (A) 및 일본산 현미식초에서는 glucose만 소량 검출되었거나 불검출 되어 완전발효 되었고 시판 국내산 현미식초에서는 glucose 및 maltose 등 잔당함량이 높았다. 유기산 함량에서도 (A)와 일본산 현미식초가 유사한 경향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정치배양 현미식초(A)는 총산함량, TN값 및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며 시판 국내산 및 일본산 현미식초들과 비교하였을 때도 품질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탕무우의 붕소결핍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oron Deficiency in Sugar Beet)

  • Im, Hyong Bin;Ung Kyu Lim;Kyong Sik Tscho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1호
    • /
    • pp.1.2-6
    • /
    • 1990
  • 사탕무우 품종 Mirabo를 공시하여 수경과 포양실험을 통하여 나타는 B결핍증 식물체의 해부학적 및 전현적 관찰을 하였다. B결핍증에 걸린 사탕무우에 있어서는 수경또는 포양에서 다 같이 B함량이 매우 적었다. B결핍증의 증상진행은 우선 엽병의 표면쪽 기부에 흑갈색 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 유엽록과 생장점 근처가 검게 괴사하였고, 엽신이 심하게 오그라졌으며, 생장이 거의 정지되었다. 나중에는 표면쪽 엽병 기부의 표피와 그 밑의 유조직이 괴사하였다. 그리고 유엽록 조직의 괴사와 붕괴는 점차 확대되어 갔다. B결핍증을 나타낸 사탕무우의 전현적 관찰에서는 그와 같은 식물의 엽록체는 붕괴하기 시작하였으며 다량의 전분과 Osmophilic granules가 보였다. 그리고 특히 어떤 엽록체 안에는 격자를 가진 다면체의 결정체가 발견되었다.

  • PDF

백국균 Aspergillus kawachii Kitahara의 생태학적 연구 (The ecological studies on Aspergillus kawachii Kitahara.)

  • 이두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13-121
    • /
    • 1968
  • This study has been aimed to determine the ecological factors with relationship to the Jongkok production in view of fermentation technology by means of some strains, Asp. kawachii, which is now preserved by the author and the following factors are included during the study; inorganic salts, nitrogen, sugar, water contents and temp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Sugar among other above-mentioned factors is increasingly affecting the number of the short type of conidiophore on culture medium and the conidiophore is increased by direct ratio until glucose concentration of 50%, at which concentration is mostly effective for the short type of conidiophore, while other factors did not affect on it. (b) Until glucose concentration of 50% sugar component of culture medium is favorable for the spore formation of Asp. kawachii by direct ratio. And peptone or asparagine on nitrogen medium, calcium-phosphate among other inorganic salts, wheat bran and rice branare also favorable, but other factors rientioned earlier show no relationship with the spore formation. Sugar, however, also related with the spore color clearness of crimson and light brown, and spore color is mostly clear at the point of glucose concentration until 50%. And asparagine on nitrogen medium, calcium phosphate among other inorganic salts, rice bran did all affect on the color clearness, while other factors did not concern with color clearness. (c) Water, sugar and temperature have related with the acid formation which is promoted, by direct ratio at the point of water-saturated condition and glucose concentration of 50%, while temperature at $25^{\circ}C$favorably affected on the acid formation which is increased by inverse ratio at the temperature$25^{\circ}C$ to $45^{\circ}C$ And pH did not relate with the acid formation. (d) Cylindrical plate method devised by the author is mostly favorable for the preservation and isolation of cultur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slant medium method.

  • PDF

거대배아미와 일반미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 flake의 품질특성 비교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Flakes Prepared with Giant Embryonic Rice and Normal Rice Cultivars)

  • 이연리;최영희;고희종;강미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40-544
    • /
    • 2001
  • 거대배아미 4품종과 각각의 일반미 4품종 등 8품종의 현미를 이용하여 간편식인 flake 제조에 대한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쌀눈의 영양성분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곡립상 현미 flake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수침온도와 시간별 용출된 환원당함량, 수분흡수율, 쌀알의 경도를 측정하여 $60^{\circ}C$에서 5시간 수침한 후 곡립상 현미 flake을 만들었다. 일반품종으로 제조한 flake들에 비해서 거대배아미 품종으로 제조한 flake가 팽화도가 높고, 경도는 낮으며, 아삭아삭한 정도가 높은 바람직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거대배아미 품종으로 제조한 flake들의 bowl life가 일반품종들에 비해서 긴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화청찰거대배아미로 제조한 현미 flake의 bowl life가 가장 길고, 화청벼로 제조한 현미 flake의 bowl life가 가장 짧았다. 제조된 flake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메벼, 찰벼에 상관없이 거대배아미 품종으로 제조한 것들이 높았으며, 일반 품종간에서는 찰벼로 제조한 것이 메벼로 제조한 것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침에 따른 수분흡수율은 제조된 flake의 bowl life 및 아삭아삭한 정도와 정의 상관성을 가지며 현미 flake의 수분흡수지수는 팽화도 및 bowl life와는 정의 상관성이 있었다. 관능검사상의 경도와는 부의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험된 8개의 품종중에서 신선찰거대배아미 및 화청찰거대배아미 품종이 flake 제조에 가장 적합하였다.

  • PDF

발아현미 추출물 첨가 배추김치와 시판배추김치의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Cabbage Kimchi Add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s and Korean Cabbage Kimchi on the Market)

  • 우승미;우상철;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89-79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강화된 배추김치 개발을 위하여 발아현미 농축액(A)과 발아현미 추출물 분말(B)이 첨가된 김치와 시판김치 4종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pH와 총산은 시료들 간에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A)와 (B)의 배추김치 총당은 각각 29.86과 40.99 mg/g, 환원당은 각각 21.45와 22.88 mg/g으로 시판배추김치 4종의 총당과 환원당 함량에 비해 상당히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L 및 b값은 시료들 간에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고, a값은 (A)와 (B)의 배추김치가시판배추김치보다 조금 낮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A)와 (B)의 배추김치가 시판배추김치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발아현미의 주요 기능성분으로 알려진 GABA는 (A)와 (B)의 배추김치가 시판배추김치와 비교했을 때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과 기타활성은 (A)와 (B)의 배추김치가 시판배추김치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발아현미 농축액과 추출물 분말이 첨가된 김치는 시판김치와 발효가 비슷하게 진행되었으며 항산화능 및 혈전용해능 등의 기능적인 면에서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품질이 향상된 배추김치의 제조가 가능 할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중인 발아현미밥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Cooked Germinated-brown Rice)

  • 박종대;최봉규;금준석;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1-106
    • /
    • 2005
  • 시중에 유통중인 발아현미 무균포장밥 제품 2종을 대상으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64.5\%$였으며 주요 유리당은 glucose, sucrose, maltose로 A 제품은 glucose가 $0.20\%$, B 제품은 sucrose 함량이 $0.50\%$로 각각 가장 많았다. 발아현미밥의 백색도는 69.32로 B 제품이 높았으며, vitamin E 함량은 A 제품이 $30.7\;{\mu}g/100g$, B제품이 $46.9\;{\mu}g/100g$이었고, 식이섬유 함량은 A 제품이 $2.8\%$, B 제품이 $2.2\%$로 분석되었다. DSC 특성에서는 두 제품이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peak 1의 호화개시온도는 각각 $56.5^{\circ}C$, $56.2^{\circ}C$ 호화엔탈피는 5.46 J/g, 5.56 J/g이었다. Peak 2의 호화개시온도는 $109.5^{\circ}C$, $108.9^{\circ}C$이고 용융엔탈피는 0.33 J/g, 0.37 J/g였다. 관능평가 결과에서는 외관, 맛, 조직감에서 높은평가를 받은 B 제품이 더 양호한 전반적기호도를 나타내었다.

현미 품종별 알코올발효액 및 부산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Broth and By-Product of Brown Rice Varieties)

  • 우승미;김태영;여수환;김상범;김진숙;김미현;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57-56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현미 4종의 알코올 발효액 및 부산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비열처리 알코올발효 구간에서 알코올함량은 대안벼(A), 백진주(B) 및 설갱(C)이 각각 9.5, 9.7 및 9.8%로 높게 나타났으며 고아미(D)가 3.5%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비열처리구간의 유리당 총 함량은 고아미가 244.2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열처리 알코올 발효구간이 전반적으로 당 함량이 높았으며 현미 품종간 차이는 약간 있었다. 비열 및 열처리 알코올 발효 방법에 따른 부산물의 총식이섬유 소 함량은 설갱 > 백진주 > 대안벼 > 고아미 품종순으로 높았다. 고아미의 알코올발효방법에 따른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비열처리 고아미 부산물 > 고아미 분말 > 열처리 고아미 부산물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고아미(D)는 비열처리 알코올발효에서 수율은 가장 낮았으나 발효 부산물의 활용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아미 발효 부산물에는 전분, 식이 섬유소, 유리아미노산 등 영양성분이 많아 다양한 식품재로 활용이 기대되었다.

3종 분말식초의 항산화, 항혈전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ti-thrombosis, and Lipid Accumulation Inhibition Activities of Different Dried Vinegars)

  • 이종규;김종식;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296-303
    • /
    • 2024
  • 식초는 당과 전분을 함유하는 다양한 재료를 초산균으로 발효시켜 제조되며, 다양한 유기산, 당류, 아미노산, 에스터 및 기타 화합물을 포함하여 독특한 맛과 향미를 나타낸다. 식초는 소화를 원활하게 하고 혈당 수준을 낮추는 데 도움을 주며, 항비만 및 항산화 활성이 알려져 있으며, 체액의 알칼리화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 발효식초로부터 기능성 분말식초(dried vinegar, DV)를 제조하기 위해, 풋사과, 현미 및 아로니아를 각각 Gluconacetobacter xylinus로 90-180일 발효시킨 발효식초를 말토덱스트린(37.46%), 포도당(5%), 구연산(1%) 및 비타민 C (0.04%) 용액에 현탁 후 분무건조하여 3종의 DV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DVs의 산도, 색상, 수분 및 용해성 고형 내용물 및 열 안정성 분석 결과, 분무건조가 분말제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으며, DVs는 우수한 관능과 용해성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DVs중 아로니아-DV가 0.5 mg/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1,1-diphenyl-2-picryl hydrazyl 및 2,2-az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각각 36.7% 및 75.3%) 및 환원력 (0.334)을 보였으며, nitrite 소거 활성은 풋사과-DV에서 가장 높았으며, 아로니아-DV 및 현미-DV순으로 나타났다. 항혈전 활성 평가결과 아로니아-DV가 prothrombin 억제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현미-DV는 3T3-L1 지방세포에서 세포 독성 없이 지질 축적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는 분말식초의 산업화 가능성을 제시하며, 식품가공 소재로 응용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