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undary Wavelet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6초

컬러 영상 에지 검출을 위한 적응 형태학적 WCNN 알고리즘 (Adaptive morphological Wavelet-CNN Algorithm for the Color Image Edge detection)

  • 백영현;문성룡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73-48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컬러 영상에서의 새로운 에지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적응 형태학적 WCNN알고리즘은 적응 형태학과 WCNN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이는 입력된 컬러 영상의 임계값에 따라 적응 형태학을 이용하여 경계면의 차를 레벨업 시킨 후 WCN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의 에지를 검출한다. 또한, 기존의 고정 마스크에지 검출방식을 탈피하여, 영상의 임계값의 차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하는 가변 BBM(Beak Y. H, Byun O. H, Moon S. R)마스크를 사용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기존의 연구에 비해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논문은 30개의 컬러 영상의 모의 실험을 제공한다.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DWT영역에서의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 in Wavelet Domain for Protecting Copyright of Contents)

  • 서영호;최현준;김동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409-141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변환 영역에서 구성한 부대역간의 트리구조와 공간 영역에서의 영상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워터마크의 삽입 위치를 결정한 후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웨이블릿 영역에서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부대역을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 블록에 대한 에너지와 전체 에너지의 평균값 등을 이용하여 워터마킹을 위한 후보영역을 얻는다. 또한 공간 영역에서 얻어진 영상의 경계 정보를 이용하여 워터마크가 삽입될 후보 영역을 구한다. 무작위 난수와 웨이블릿 영역에서 이웃 웨이블릿 계수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워터마킹 후보영역 내에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역 웨이블릿 변환을 수행하여 워터마크가 삽입된 영상을 생성한다. 제안된 워터마킹 알고리즘은 JPEG과 같은 압축과 블러링, 선명화, 그리고 가우시안 잡음 등의 공격에 대해서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잡음과 오류제거를 위한 웨이블렛기반 반복적 영상복원 (Iterative Image Restoration Based on Wavelets for De-Noising and De-Ringing)

  • 이남용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271-28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반복적 영상복원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경계관련 오류와 물체관련 오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반복적 영상복원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방법은 반복과정내부에 웨이블렛 축소법을 이용한 변형된 CGM(Conjugate Gradient Method)을 이용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CGM과 같은 빠른 복원과 함께 웨이블렛 축소법에 의한 적응적인 잡음제거와 오류제거를 동시에 제공한다. 효과적인 잡음제거와 오류제거를 동시에 얻기 위해 웨이블렛 축소는 위치에 따라 변하는 웨이블렛 축소규칙을 사용하였다. 기존의 반복적 영상복원 알고리즘인 LR(Lucy-Richardson), CGM과의 비교실험을 통해 제한한 방법이 LR에 비교해서는 전체적으로 향상된 복원과 물체관련오류가 거의 없다는 측면, 그리고 CGM과의 비교에서는 물체 및 경계 관련오류가 거의 없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방법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Iris Recognition using Wavelet Transformation and Nonlinear Function

  • Hur, Jung-Youn;Truong, Le Xuan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4권 제2호
    • /
    • pp.553-559
    • /
    • 2004
  • In todays security industry, personal identification is also based on biometric. Biometric identification is performed basing on the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Biometric for recognition includes voice dynamics, signature dynamics, hand geometry, fingerprint, iris, etc. Iris can serve as a kind of living passport or living password. Iris recognition system is the one of the most reliable biometrics recognition system. This is applied to client/server system such as the electronic commerce and electronic banking from stand-alone system or networks, ATMs, etc. A new algorithm using nonlinear function in recognition process is proposed in this paper. An algorithm is proposed to determine the localized iris from the iris image received from iris input camera in client. For the first step, the algorithm determines the center of pupil. For the second step, the algorithm determines the outer boundary of the iris and the pupillary boundary. The localized iris area is transform into polar coordinates. After performing three times Wavelet transformation, normalization was done using sigmoid function. The converting binary process performs normalized value of pixel from 0 to 255 to be binary value, and then the converting binary process is compare pairs of two adjacent pixels. The binary code of the iris is transmitted to the by server. the network. In the server, the comparing process compares the binary value of presented iris to the reference value in the University database. Process of recognition or rejection is dependent on the value of Hamming Distance. After matching the binary value of presented iris with the database stored in the server,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 PDF

HWAW(Harmonic Wavelet Analysis of Wave) 방법을 사용한 말뚝기초의 비파괴 건전도 평가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Non-Destrutive Pile Soundness Test Using HWAW Method)

  • 박형춘;김동수;조성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8호
    • /
    • pp.13-23
    • /
    • 2008
  • 다양한 토목 건축 구조물의 하부구조로 많이 사용되는 콘크리트 말뚝기초는 상부 토목 건축 구조물의 안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말뚝의 비파괴적인 건전성 평가를 위하여, 범용적인 파의 위상 그룹속도 결정법인 HWAW(Harmonic Wavelet Analysis of Wave)방법을 말뚝의 비파괴 시험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말뚝자체의 건전성 평가와 선단지지말뚝의 거동에 매우 중요한 말뚝 선단부 상태(경계조건)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ABAQUS를 사용한 수치모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제 모형말뚝을 제작하여 공기중 실험과 실제 지반조건을 모사하기 위한 토조내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수치모의 실험과 실제 모의 실험을 통하여 말뚝의 비파괴 건전성 평가에 있어서의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적외선 비디오에서 Haar 웨이블릿과 이동평균을 이용한 화염검출 (Flame Detection Using Haar Wavelet and Moving Average in Infrared Video)

  • 김동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6B권5호
    • /
    • pp.367-376
    • /
    • 2009
  • 본 논문은 적외선 영상에서 Haar 웨이블릿과 이동평균을 이용한 화염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Haar 웨이블릿 변환 단계, 화염 후보영역 검출단계, 화염후보영역 추적 및 화염 판단의 3단계로 구성된다. Haar 웨이블릿 변환 단계는 Haar 웨이블릿을 적용하여 입력영상 프레임을 4개의 부영상으로 분할하고, 고주파 영상을 합성하여 에너지를 계산한다. 화염 후보영역 검출단계에서는 저주파영역에서 임계값을 적용하여 높은 밝기 값을 갖는 이진영상을 구한 다음, 연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초기 화염후보영역의 경계선을 구하고, 영역확장 방법을 이용하여 최종 화염 후보영역을 계산한다. 화염후보영역의 추적 및 화염 판단 단계에서는 화염후보영역의 크기와 고주파 성분 에너지 평균을 계산하고, 큐를 사용하여 추적하면서, 계산된 특징의 이동평균이 변동되는 영역을 화염영역으로 판단한다.

블록 경계 영역 분류를 이용한 블록화 현상 제거 기법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Blocking Artifact Reduction Using a Block Boundary Region Classification)

  • 소현주;장익훈;김남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0B호
    • /
    • pp.1921-193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블록 기반 변환 부호화 영상에서 나타나는 블록화 현상을 분석하고 그 특성에 따라 각 블록 경계를 4개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블록 경계 영역 분류 방법을 이용하여 성능이 우수한 몇 가지 블록화 현상 제거 기법들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제안된 블록 경계 영역 분류 방법에서는 각 수평, 수직 블록 경계를 EQ 영역, BA 영역, 그리고 AE 영역의 4개의 영역으로 분류한다. 블록화 현상 제거기법으로는 LOT, Kim의 웨이브렛 영역에서의 필터링 방법, Yang의 POCS 방법, Paek의 POCS 방법, Jang의 CM 방법을 선택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블록 경계 영역 분류 방법으로 블록 경계의 영역들이 블록화 현상에 의한 불연속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하는 블록화 현상 제거 기법들이 대체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형단조 공정의 예비성형용 금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ocker Design of Closed Die Forging with Discrete Wavelet Transform)

  • 한상훈;임성한;오수익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7-33
    • /
    • 2003
  • In closed-die forging process, blocker has been used to fill and distribute metal well in finisher die. Generally, the blocker shape was determined by an expert with many experiences. However, the manual blocker design process takes much time and efforts, so various automatic methods for the blocker design process have been suggested for the last three decades. The method with filtering in FFT (Fast Fourier Transform) for the blocker design provides general solution than other methods. But, due to the properties of FFT in time-frequency domain, this method has some drawbacks such as long calculation time, difficulty of local control and additional boundary process after filtering. In this study, DWT (Discrete Wavelet Transform), which is more flexible and is more wildly used than FFT, is applied to the blocker design. The method with filtering in DWT is very proper to design blocker in both 2-D and 3-D shapes.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is method, blockers of some models are designed and the results show that blocker design with DWT is effective fer the blocker designs

  • PDF

개선된 에지검출 특성을 위한 웨이브렛 함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velet function for Improved Edge Detection Properties)

  • 배상범;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97-200
    • /
    • 2007
  • 영상에서 명암 차이가 큰 두 영역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에지는 대상 물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영상분할을 비롯한 물체인식 등의 분야에서 이러한 에지정보를 이용하고 있다. 에지는 밝기 변화의 크기와 지속시간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미분을 통해 검출된다. 최근에는 영상처리와 컴퓨터비전 등의 분야에서, 특정 응용에 적용하기 위한 에지검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에지검출 특성을 위한 웨이브렛 함수를 제안하여, 영상의 라인-에지 성분을 검출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형단조 공정의 예비성형용 금형 설계 (Blocker Design of Closed Die Forging with Wavelet Transform)

  • 한상훈;임성한;오수익
    • 소성∙가공
    • /
    • 제12권4호
    • /
    • pp.277-283
    • /
    • 2003
  • In a closed-die forging process, blocker has been used to fill and distribute metal well in finisher die. Generally, the blocker shape was determined by an expert with many experiences. However, the manual blocker design process takes much time and efforts, so various automatic methods for the blocker design process have been suggested for the last three decades. The method with filtering in FFT (Fast Fourier Transform) for the blocker design provides general solution than other methods. But. due to the properties of FFT in time-frequency domain, this method has some drawbacks such as long calculation time, difficulty of local control and additional boundary process after filtering. In this study. DWT (Discrete Wavelet Transform), which is more flexible and is more wildly used than FFT, is applied to the blocker design. The method with filtering in DWT is very proper to design blocker in both 2-D and 3-D shapes.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is method, blockers of some models are designed and the results show that blocker design with DWT is effective for the blocker desig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