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ck adjustment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5초

일반화된 적응법칙을 사용한 안정한 기준모델 적응제어 (A Stable Model Reference Adaptive Control with a Generalized Adaptive Law)

  • 이호진;최계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167-1177
    • /
    • 1989
  • In this paper, a generalized adaptive law is proposed which uses a rational function type operator for parameter adjustment. To satisfy the passivity condition of the adaptation block, we introduce a constant feedback gain into the adaptation block. This adaptation scheme is applied to the model reference adaptive control of a continuous-time, linear time-invariant, minimum-phase system whose relative degree is 1. We prove the asymptotic stability of the output error of this adaptive system by hyperstability method. It is shown that by digital computer simulations this law can give a better output error transient response in some cases than the conventional gradient adaptive law. And the output error responses for the several types of the proposed adaptation law are examined in the presence of a kind of unmodeled dynamics.

  • PDF

분광 조정과 비등방성 확산에 의한 PAN-Sharpened 영상의 분광 왜곡 완화 (Reduction of Spectral Distortion in PAN-sharpening Using Spectral Adjustment and Anisotropic Diffusion)

  • 이상훈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71-582
    • /
    • 2015
  • 본 연구는 주어진 관측 multi-spectral (MS)영상을 panchromatic (PAN) 영상 수준으로 고해상도화 하는 영상융합에서 공간 해상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에 발생하는 분광 왜곡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관측 MS 영상에 대해 GSA PAN-sharpening을 수행하고 분광 조정 후 비등방성 확산을 실시한다. 분광 조정은 PAN-sharpened 영상이 관측 MS 영상과 일치하는 분광적 특성을 가지도록 하나 구역 오류를 발생시킨다. 분광 조정을 실시 한 후 나타나는 구역 오류는 비등방성 확산에 의해 제거된다. 비등방성 확산은 PAN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국지적으로 계산한 전도 계수를 사용하므로 PAN-sharpened 영상이 PAN의 공간적 특성에 일치하는 결과를 산출한다. 분광 조정 전 초기 PAN-sharpening 방법으로 정량적 평가가 우수하고 계산적으로 효율적인 GSA를 제안한다. 본 연구는 2014년 2월 관측된 $1024{\times}1024$ 크기의 미국 Los Angeles 지역의 Dubaisat-2 위성 자료와 $2048{\times}2048$ 크기의 2002년 3월 경기도 안양 지역에서 관측된 IKONOS 자료를 사용하여 실험 평가를 수행하였다. 제안 방법의 결과는 정량적 품질 평가에서 최선이었거나 최선에 가까운 수준의 결과를 산출 했고 특히 분광 오류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Dynamic Modeling and Georegistration of Airborne Video Sequences

  • Lee, Changno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3권1호
    • /
    • pp.23-32
    • /
    • 2003
  • Rigorous sensor and dynamic modeling techniques are required if spatial information is to be accurately extracted from video imagery. First, a mathematical model for an uncalibrated video camera and a description of a bundle adjustment with added parameters, for purposes of general block triangulation, is presented. This is followed by the application of invariance-based techniques, with constraints, to derive initial approximations for the camera parameters. Finally, dynamic modeling using the Kalman Filter is discussed. The results of various experiments with real video imagery, which apply the developed techniques, are given.

  • PDF

단위 모델을 이용한 항공 사진의 3차원 위치 해석 (Analysis of Three Dimensional Position Using Unit Models in Aerial Photogrammetry)

  • 강인준;유복모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57
    • /
    • 1986
  • 블록 조정은 조정의 최소 단위가 무엇인가에 따라 번들, 모델, 스트립 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는 항공 사진 측량의 단위 모델을 이용한 3차원 위치 해석에 관한 것으로. 기준정 배치에 따른 오차 분포를 비교 고찰하였다.

  • PDF

히스토그램과 감마보정 기반의 노출 조정을 이용한 다중 노출 영상 합성 기법 (Modified Exposure Fusion with Improved Exposure Adjustment Using Histogram and Gamma Correction)

  • 박임재;박대준;정제창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27-338
    • /
    • 2017
  • 노출 합성은 두 장 이상의 서로 다른 노출 값을 갖는 좁은 동적 영역 영상을 합쳐 한 장의 넓은 동적 영역을 갖는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알고리듬이다. 본 논문은 블록기반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노출 조정 기법과 개선된 채도 특성 요소를 이용해 가중치 맵을 생성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노출 조정 기법은 인간시각체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입력 영상의 노출 값을 보정함으로써 노출 합성 결과 영상 내의 세밀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존한다. 개선된 채도 영상은 입력 영상 내의 포화 영역을 효과적으로 반영한 가중치맵을 생성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대표적인 노출 합성 알고리듬과의 주관적 화질과 MEF-SSIM, 수행 시간 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듬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다중 특징을 이용한 동작정보 측정 (Estimating Motion Information Using Multiple Features)

  • 장석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연속적인 레인지(range) 영상 자료로부터 동작 벡터를 추출하는 새로운 블록 정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단일 특징을 사용하지 않고 다중 특징인 명암값, 색상, 레인지 특징의 세 가지 특징을 통합한 정합 유사 함수를 정의하며,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각 특징의 기여도를 구한 후 이를 가중치의 형태로 정합 유사 함수에 적용한다. 그리고 제안된 알고리즘은 고정된 블록 템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가변적인 크기의 블록 템플릿을 사용한다. 제안한 블록 정합에서는 먼저 작은 정합 템플릿으로 블록 정합을 시작한다. 만일 정합 정도가 좋지 않으면 정합 템플릿의 크기를 조금 확장한 후 본 논문에서 정의한 정합기준이 만족하거나 사전에 정의된 최대 블록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 블록정합을 반복한다. 실험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블록 정합 알고리즘과 기존의 다른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우수함을 보인다.

  • PDF

Udimet 720Li 디스크의 비파괴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Udimet 720Li Disc)

  • 원순호;조경식
    • 연구논문집
    • /
    • 통권28호
    • /
    • pp.229-238
    • /
    • 1998
  • 비파괴평가의 대상이 되는 소재나 부품은 관련 표준시험편을 이용하여 평가되고, 표준시험편은 평가대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파괴평가가 요구되는 소재나 부품을 생산, 외국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인된 설비와 품질관리 체계로부터의 인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를 이용한 항공기용 Udimet 720Li 디스크의 비파괴평가를 위하여 ASTM에 규정되어 있는 4340강 초음파 표준시험편의 적용타당성을 제시하였다. 현미경 시험을 통하여 Udimet 720Li 합금의 미세조직을 규명하고, 고출력 초음파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펄스의 위상값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4340강 표준시험편 및 Udimet 720Li 합금의 초음파 속도와 감쇠값을 구하였다. 결론적으로 4340강 초음파 표준시험편이 Udimet 720Li 디스크의 평가를 위한 표준시험편으로 사용될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 PDF

부등각사상변환을 이용한 저고도 UAV 영상의 지형보정 (Geocoding of Low Altitude UAV Imagery using Affine Transformation Model)

  • 김성삼;정재훈;김의명;유환희;손홍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79-87
    • /
    • 2008
  • 위성측량이나 기존의 항공측량에 비해 경제적이면서 기상영향을 덜 받는 저고도 고해상 영상의 취득과 항공사진측량의 많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신속한 맵핑을 위한 UAV(Unmanned Aerial Vehicle)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효율적인 지형보정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민간분야 활용을 위한 UAV의 높은 잠재력에 비해 최근까지 직접 지형보정과 같은 사진측량측면에서의 기술개발은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와 추가적인 기술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한의 지상기준점 정보를 이용하여 간편한 부등각사상변환식과 부등각사상변환의 블록조정에 의해 자동으로 저고도 UAV 영상을 기하보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상용 프로그램 처리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UAV 정지영상 기하모형식으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동적 DGPS 측위에 의한 투영중심좌표 결정을 위한 수신기 위치의 보간 (Correction of Antenna Position for Projection Center Coordinates by Kinematic DGPS-Positioning)

  • 이종출;문두열;신상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5-173
    • /
    • 1997
  • 동적 DGPS 측위에 의해 결정된 투영중심 좌표를 이용한 결합 번들블럭조정은 높은 정확도를 가지게 되었으며, 지상좌표 표준편차가 $\pm$10cm 이내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정확도 수준에서는 더 작은 오차 성분이 중요하게 되었으며, 이 가운데 중요한 것은 GPS-Antenna 위치 사이에서 시간의 함수로 투영중심을 보간하는 것이다. 선형보간은 비행기의 비선형 움직움을 고려하지 않는 반면 최소제곱 다항식에 의한 보간은 비행기의 거동이 더 정확하게 고려되고, 위성의 상실과 신호차단 등에 의한 GPS위치의 과대오차를 소거하여 준다. 본 연구대상지 RHEINKAMP에서 3초의 시간을 이용한 보간은 MAA의 6-7초의 시간간격을 이용한 보간과는 다르며, 이러한 GPS위치는 국부회귀 다항식에 의하여 과대오차로 확인되었고, 이것은 정확한 블럭조정을 위해서는 무시할 수 없다.

  • PDF

태백산맥 남부산지의 암설사면지형 (The Study on the Debris Slope Landform in the Southern Taebaek Mountains)

  • 전영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7-98
    • /
    • 1993
  • 본 연구는 암설사면지형이 잘 발달하고 다양하게 분포하는 태백산맥의 남부산지를 대상으로 항공 사진판독과 도상계측 및 현지조사를 통하여 노출암설사면의 분포, 형태 및 퇴적물의 특성을 분석하고 사면의 지형적 배열과 지형발달에 관해서 연구한 논문으로써 분포적 특성에 있어서는 애추의 경우 기반암이 경암이거나 절리가 잘 발달된 지질에서, 암괴류의 경우는 화강섬록암 지질에서 높은 분포밀도를 보였다. 형태적 특성은 애추, 암괴류 모두 설상이 각각 83${\%}$, 80${\%}로 가장 많았으며 지형면의 경사도에 있어서는 애추가, 길이에 있어서는 암괴류가 각각 우세했다. 퇴적물의 특성중 암설의 평균입경은 암괴류가 보다 크게 나타났다. 한 지형면에서 암설의 장축방향성의 경우 방향성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있는데, 후자는 지형면상의 함몰로 그 방향성이 상실된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지형발달의 경우, 애추는 암석낙하(rock fall)에 의한 형성기(최종빙기)와 2차적인 영역에 의한 조정기(후빙기)로 암괴류는 암괴의 생성기(제3가 또는 제 4기의 간빙기), 암괴류의 형성기(최종빙기), 조정기(후빙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산지 사면의 배열유형은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