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st vibration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32초

보안물건의 종류에 따른 발파진동 허용기준 적용 사례 및 문제점 개선 연구 (A Review of Standards for Allowable Limit of Blast Vibration According to the Safety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Problems)

  • 김남수;이종우;조경빈
    • 화약ㆍ발파
    • /
    • 제31권2호
    • /
    • pp.50-58
    • /
    • 2013
  • 발파공사 현장 주변에는 많은 종류의 보안물건이 존재하고 있어 발파진동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해 각 기관별로 발파진동 허용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적용되고 있는 발파진동 허용기준은 지나치게 강화 적용하여 공사비 증가와 공기 연장의 폐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설계와 시공사례 등을 토대로 적용된 발파진동 허용기준을 검토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발파진동 허용기준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New methodology to prevent blasting damages for shallow tunnel

  • Ozacar, Vehb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5권6호
    • /
    • pp.1227-1236
    • /
    • 2018
  • From all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blast-induced vibrations often cause concern to surrounding residents. It is often claimed that damage to building superstructures is due to blasting, and sometimes the building owner files a lawsuit against the company that perform blasting operations. The blast-vibration problem has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in the past and continues to be the subject of ongoing research. In this study, a tunnel construction has been performed by a construction company, according to their contract they must have used drilling & blasting method for excavation in tunnel inlet and outlet portal. The population is very condensed with almost tunnel below in the vicinity houses of one or two floors, typically built with stone masonry and concrete. This situation forces the company to take extreme precautions when they are designing blasts so that the blast effects, which are mainly vibration and aerial waves, do not disturb their surrounding neighbors. For this purpose, the vibra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have been carried out and a new methodology in minimizing the blast induced ground vibrations at the target location, was also applied. Peak particle velocity and dominant frequencie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nalyzing the blast-induced ground vibration. The methodology aims to employ the most suitable time delays among blast-hole groupings to render destructive interference of surface waves at the target location.

신뢰성 지수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건설진동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Vibrations Prediction of Bridge Structures using the Reliability Index)

  • 박연수;우정하;전양배;김응록;김동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42-449
    • /
    • 2003
  • This study presents a new analysis of blast vibration equations of a bridge structures using a reliability index. Changing the reliability makes each blast vibration equation. The blast equations are divided into three classes, having 50%, 90% and 99.9% at ${\beta}$=0, 1.28 and 3 respectively. I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assumption equations which used ${\beta}$=1.28 is suitable. By using these blast equations, it is possible for users to predict reliable ground vibration values upon demand.

  • PDF

Blast vibration of a large-span high-speed railway tunnel based on microseismic monitoring

  • Li, Ao;Fang, Qian;Zhang, Dingli;Luo, Jiwei;Hong, Xuefei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1권5호
    • /
    • pp.561-569
    • /
    • 2018
  • Ground vibration is one of the most undesirable effects induced by blast operation in mountain tunnels, which could cause negative impacts on the residents living nearby and adjacent structures. The ground vibration effects can be well represented by peak particle velocity (PPV) and corner frequency ($f_c$) on the ground. In this research, the PPV and the corner frequency of the mountain surface above the large-span tunnel of the new Badaling tunnel are observed by using the microseismic monitoring technique. A total of 53 sets of monitoring results caused by the blast inside tunnel are recorded. It is found that the measured values of PPV are lower than the allowable value. The measured values of corner frequency are greater than the natural frequencies of the Great Wall, which will not produce resonant vibration of the Great Wall. The vibration effects of associated parameters on the PPV and corner frequency which include blast charge, rock mass condition, and distance from the blast point to mountain surface, are studied by regression analysis. Empirical formulas are proposed to predict the PPV and the corner frequency of the Great Wall and surface structures due to blast, which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suitable blast charge inside the tunnel.

발파진동속도와 진동레벨과의 관계식 연구 (A Study on the Related Equation of the Blast Vibration Velocity and the Vibration Level)

  • 김일중;기경철;조영동
    • 화약ㆍ발파
    • /
    • 제27권1호
    • /
    • pp.79-87
    • /
    • 2009
  • 발파진동속도(PVS, PPV, $V_V$)와 진동레벨과의 관계식을 산출하기 위해서 동일한 위치에서 동시에 측정한 진동속도와 진동레벨의 자료를 회귀분석 하였다. 회귀분석결과 발파진동속도와 진동레벨과의 상관관계는 좋았다. 이 연구결과 진동레벨과 진동속도와의 관계식들은 환경진동의 평가 및 관리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발파진동 허용기준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Problem of Korean Blast Damage Criterion)

  • 두준기;류창하
    • 화약ㆍ발파
    • /
    • 제22권3호
    • /
    • pp.85-95
    • /
    • 2004
  • 국가의 발파진동과 소음에 대한 규제 기준은 공학적인 기술검증 절차에 의해 설정되어져야 한다. 발파진동에 의한 공해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이 전혀 다르게 나타나므로 각각의 특성에 맞는 기술적인 검증을 거쳐 규제기준이 설정되어져야한다. 현재 국가에서 규정하고 있는 발파진동에 대한 규제 기준은 환경부의 소음 진동 규제법과 건설교통부의 터널시방서의 발파진동허용기준이 전부이다. 환경부의 발파진동 규제기준은 사람의 주거환경을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므로 인체에 대한 발파진동의 반응현상을 근거한 선진국의 연구자료와 법규정 등을 인용하여 부분적으로는 문제점이 있으나 비교적 타당성이 있는 기준이 설정되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건설교통부에서 발파진동 규제 기준으로 제시한 터널시방서의 발파진동허용기준은 발파공학적인 기술특성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부실하게 규제 기준을 만들어 정상적인 발파 공사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선진국과 국내에서 지극히 정상적으로 발파 공사를 수행하고 있는 공법까지도 발파진동허용기준에 저촉되어 공법을 폐기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고는 건설교통부의 발파진동허용기준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합리적인 발파진동허용기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조물에 대한 국외 발파진동 허용 규제기준 분석 (Review of National Standards for Allowable Limit of Blast Vibration on Structures)

  • 류창하
    • 화약ㆍ발파
    • /
    • 제23권3호
    • /
    • pp.1-10
    • /
    • 2005
  • 구조물의 발파진동에 대한 허용 수준 설정은 구조물의 반응 특성이 발파 진동의 특성과 전파 매질인 지반의 특성, 대상 구조물의 특성, 구조물의 기초 특성 등 여러 인파에 따라 달리 나타나므로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국외의 경우 영국, 독일, 스위스, 스웨덴과 같이 국가별로 허용수준에 대한 표준을 마련한 나라들도 있으며 아직 별도로 기준을 마련하지 않은 국가들도 많다. 우리나라는 통상 적용되고 있는 기준이 있으나 아직 국가 표준화는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며 민원 해결의 근거를 위한 합리적인 기준 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적으로 기준을 갖고 있는 미국, 영국, 독일, 스위스, 스웨덴 등의 사례와 개정 작업을 하고 있는 호주 및 브라질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준들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고 현행 사용되고 있는 국내 기준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준경험적 방법을 이용한 터널발파 작업시 인접구조물의 동적해석 및 진동영향성 평가 (A Dynamic Analysis and Evaluation of a Building Structure due to Tunnel Blast by using Semi-Empirica Method)

  • 손성완;류국현;전종균;남영식;김동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72-775
    • /
    • 2005
  • Most engineers, related to soil and civil dynamic field, have been interested in the direct dynamic design of building transmitted from soil and rock to structure due to blasting. However it is not easy to estimate the dynamic response of structures due to blasting by using analytical method because of difficulties of soil modeling, prediction of excitation force and so on. In this paper, dynamic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to predict vibration level and evaluate dynamic safety of structure adjacent to tunnel blast and the semi empirical method, which is based on vibration measurement data, has been employed to consider blast vibration characteristics.

  • PDF

진동레벨과 진동속도의 상관성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Vibration Level and Vibration Velocity)

  • 송하림;노영배;강추원
    • 화약ㆍ발파
    • /
    • 제29권2호
    • /
    • pp.43-5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발파가 이루어지는 공사현장에서의 거리별 진동레벨을 리온계측기로 측정하였고 같은 거리상에서 진동속도를 측정을 위해 BlastmateIII를 사용하였다. 현장실험에서 발파는 총 5,180kg의 장약량으로 총 130회의 발파가 진행되었으며 회당 발파공수는 5, 10, 20공으로 공당 4kg의 약량이 사용되었다. 발파로 인한 진동은 진동속도와 진동레벨로 같은 거리에서 동시 측정하였다. 계측은 발생원으로부터 15~102m 구간에서 측정하였고 8차례 구간을 나누어 진동속도, 진동레벨 데이터를 각각 273개 획득하였다. 측정된 진동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상관식에 의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실제 측정한 진동레벨과 비교 분석하고 상관성에 대하여 연구해 보았다.

중첩모델링자료를 활용한 발파 동해석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asting Dynamic Analysis Using Superposition Modeling Data)

  • 박지우;강추원;고진석;장호민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4호
    • /
    • pp.280-288
    • /
    • 2008
  • 발파진동은 암반 및 인근 구조물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전 발파진동의 예측과 안전성 평가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최근 발파진동 영향평가를 위하여 시추공이나 시험발파를 통해 획득한 실측진동파형을 이용한 동적수치해석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시추공 발파 진동파형은 실제 발파현장에서 측정된 진동파형과 진동수준이나 진동지속시간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며 이는 단일공 파형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일공 파형의 중첩모델링을 통해 발파조건 변화에 따른 진동파형을 획득하고 이 파형을 이용한 동적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