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vinegar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212초

Anti-obesity Effect of Black Vinegar Fermented with Herbal Extracts

  • Lee, Dongsub;Park, Sangwoo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02-405
    • /
    • 2017
  • Vinegar has been widely produced for a variety of industrial and domestic use as well as medicinal use. For sale of the commercial vinegar with herbal extracts, we produced an experimental black vinegar through sequential fermentation of alcohol, followed by acetic aci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procedu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i-obesity of black vinegar on biochemical values, we evaluated enzyme activities via acetyl-CoA carboxylase (ACC), which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lipid metabolism. We found that increased phosphorylated adenosine monophosphate (AMP) 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nd ACC in L6 mouse muscle cells treated with the manufactured vinegar. Based on the results, supplementation of experimental herbal black vinegar inactivates ACC, enhancing the phosphorylation of AMPK. Thus, the lipid oxidation and inhibitory effect of fatty acid synthesis by the black vinegar expects to facilitate the anti-obesity activity.

흑마늘의 첨가량을 달리한 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Added with Different Levels of Black Garlic)

  • 심혜진;서원택;최명효;김경화;신정혜;강민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6
    • /
    • 2016
  •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functional vinegar with different levels of black garlic through two stages of fermentation. Black garlic vinegars were prepared from black garlic and water (w/w) mixed with 1:2 (BG3), 1:5 (BG6), 1:9 (BG9) and 1:11 (BG12), and adding the sugar by adjusting the soluble solids content to $14^{\circ}Brix$. The alcohol content of black garlic vinegar was 5.2-5.5% after 7 days of alcohol fermentation at $25^{\circ}C$. Acetic acid fermented was at $30^{\circ}C$ for 25 days and samples were taken at 3, 6, 9, 12, 15, 20 and 25 days. The pH of black garlic vinega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but acidity was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Total polyphenol contents showed irregular changes with the fermentation periods and were higher by black garlic content. At 25 days fermentation,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18.96-56.56 mg/100 mL. Acetic acid content of black garlic vinegars was higher than other organic acids. S-allyl cysteine (SAC) contents of BG3 and BG6 were 13.03-14.54 and 1.69-2.20 mg/L, respectively. However SAC was not detected in BG9 and BG12. In 25 days fermented black garlic vinegar, the major mineral was K with a content ratio of 61-68% of total mineral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25 days fermented black garlic vinegar were stronger at higher black garlic content.

Herbal Black Vinegar and the Anti-obesity Complications in vivo

  • Lee, Dongsub;Park, Sangwoo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0-389
    • /
    • 2018
  • Black vinegar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supplemental flavoring on food, and commercialized beverages. H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in vivo anti-obesity complications of black vinegar produced with herbal extracts, we evaluated on the biochemical effects of high-fat diet (HFD) induced mice compared to control fed ones. After a 84-day experiment HFD mice had higher (P < 0.05) weight gains, relative abdominal-fat pads, blood glucose level, serum/liver lipids, and serum nephron indices. Continuous oral treatment of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 of herbal black vinegar (HBV; stock, 2-fold, and 4-fold diluted solution) to HFD mice showed that HBV reduced marked obesity (fat depositions, adipocyte hypertrophy), hyperglycemia, hyperlipidemia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levels), enhanced liver function (AST/ALT), and kidney function (BUN, creatine levels), respectively. Thus, HBV is expected to serve as an efficient and functional supplemental ingredients or food for the alleviation of obesity syndrome.

흑찰미 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주 동정 및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properties and identific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for black waxy rice vinegar)

  • 이경은;김소망;허창기;조인경;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43-451
    • /
    • 2015
  • 흑찰미를 이용한 식초를 개발하기 위해 초산생성능이 우수한 초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여 균주별로 제조한 식초의 품질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산 생성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정하기 위해 초산균 분리용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8종의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주와 시판균주 2종의 초산 생성능을 확인한 결과 가장 높게 나타난 시판균주 2종, 분리균주 F-1 및 H-4를 식초 발효 균주로 선정하였다. 분리균주의 종을 확인하기 위해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분리균주 모두Acetobacter 속으로 동정되었으며, F-1 및 H-1 균주를 Acetobacter sp. F-1, Acetobacter sp. H-1으로 명명하였다. 초산균 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흑찰미식초의 산도 변화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발효 16일까지 꾸준히 높아지다가 일정한 산도를 유지하였으며 시료구간의 최종 산도는 FV-1 식초의 총산 함량이 7.4%로 가장 높았다. 색도의 경우 L값 75.01~80.11, a값 3.34~3.92, b값 12.84~18.09 범위로 나타났다. 균주별 흑찰미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으로 나타났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HV-4, FV-1, CV-2 및 CV-1 식초 순으로 나타났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분리균주 F-1 식초가 351.43 m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균주 C-2 식초가 247.74 m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균주에 따른 흑찰미식초의 관능평가 결과는 분리균주 H-4로 제조한 식초는 전반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분리균주 F-1로 제조한 식초가 향, 색 및 종합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낸 F-1 균주가 흑찰미식초 제조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흑마늘의 첨가량과 초기 알코올 농도를 달리한 발효 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with different amounts of black garlic and alcohol)

  • 서원택;최명효;심혜진;김경화;신연미;강민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4-41
    • /
    • 2016
  • 흑마늘에 가수량을 달리하여 3, 6, 9 및 12배가 되도록하여 알코올 발효시켜 초기 알코올 농도를(6~12%)로 달리한 흑마늘 식초를 25일간 초산발효 시키면서 발효과정 중 품질특성 분석을 위해 관련인자를 분석하였다. pH는 발효 중 점차 감소하여 25일 후에 3.85~4.46였고, 당도는 발효 9일 후에 $12.00{\sim}13.50^{\circ}Brix$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다시 감소하여 발효초기와 유사한 범위였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발효 0일차에 19.67~50.46 mg/100 mL이던 것이 최종 25일에는 20.65~52.04 mg/100 mL의 범위로 미량 증가 하였다. 최종 숙성 완료된 흑마늘 식초에서 페놀화합물을 확인 동정한 결과 pyrogallol과 vanil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흑마늘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 함량이 더 높았다. S-allyl cysteine(SAC) 함량은 6배 이상으로 가수희석된 흑마늘 식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흑마늘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그 함량이 높았는데 발효 기간에 따른 함량의 차이는 적었다. 유기산은 총 5종이 검출되었는데, 검출된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아 발효가 완료된 25일차 시료에서 4,208.90~5,570.29 mg/100 mL이었고 유기산의 총량은 5,327.34~6,307.64 mg/100 mL의 범위였다. 발효 25일 후 흑마늘 식초의 무기물 함량은 K이 366.23~1619.67 mg/L로 가장 높았고, 흑마늘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총 함량이 더 높았다.

수종의 양식어류에 대한 목초액의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wood vinegar on culture fishes)

  • 김석렬;정성주;키타무라신이치;강소영;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7-284
    • /
    • 2006
  • 최근 양식현장에서 양식기구 소독과 어병방역을 목적으로 목초액을 사용하고 있으나 목초액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초액에 대한 어류독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잉어, 넙치, 조피볼락 및 감성돔을 대상으로 독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목초액에 대한 반수치사 농도는 담수 어종인 잉어의 경우 48시간 LC50치가 1243 ppm, 넙치에서 1397 ppm으로 나타나 시험에 대상으로 한 다른 어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조피볼락에서는 1058 ppm,감성돔의 경우는 LC50치가 650 ppm으로 조사되어 가장 낮게 나타났다. LC50 농도에 노출된 어체의 조직학적 관찰에서는 목초액이 처리된 모든 어체의 아가미에서 괴사, 증생 및 박리 등이 관찰되어, 아가미의 심각한 손상으로 삼투조절 및 산소공급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아로니아 식초 제조를 위한 발효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for Aronia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박희전;정소희;윤해훈;정지혜;송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92-79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of aronia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Alcohol content of aronia wine was 13.1% after alcohol fermentation of aronia fruits. The optimal condition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were determined by five levels of initial aronia alcohol content, initial acetic acid content, and acetic acid bacteria, using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The acetic acid yields, residual alcohol contents, pH, and color values (L, a, b) of acetic acid fermentation products were very significantly different ($p{\leq}0.01$), and were 26.34~57.82 g/L, 0.80~1.53%, 3.19~3.43, 47.58~71.00, 31.77~51.15, and 18.45~48.57, respectively. For the results, the optimal condition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of aronia were 7.78% of the initial alcohol concentration, 1.58% of the initial acetic acid, and 19.39% of the acetic acid bacteria.

복분자 착즙박을 이용한 식초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vinegar using black raspberry pomace)

  • 류은혜;채규서;김성웅;김용석;김기덕;권지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04-11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 가공 후 버려지는 부산물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착즙박의 발효를 통해 식초를 제조한 후, 전통 발효식초의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발효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포함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알코올 발효 후 이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총 산도와 알코올 함량은 착즙액보다 착즙박에서 각각 0.49, 1.32% 만큼 낮게 나타났으며, 초산발효 후에는 알코올 함량과 당도가 착즙액에서 각각 0.72, 0.6 °Brix만큼 높게 나타났다. 착즙박에서 pH는 0.32 낮았고 총 산도가 0.38%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착즙박 또한 원활한 발효가 진행됨이 확인되었다. 유기산 분석 결과 착즙박에서는 acetic acid가 착즙액에서는 citric acid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복분자 착즙박을 이용한 식초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안토시아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51.58 TAE mg/mL, 9.55 RUE mg/mL, 6.05 CYE mg/mL로 대조구인 복분자 착즙액 식초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복분자 착즙박 식초의 산화 방지 활성측정을 위해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의 IC50 값을 측정한 결과 각각 10.23, 18.30 µL/mL로 착즙액 식초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 및 FRAP 또한 착즙박을 이용한 식초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복분자 가공 부산물로 버려지는 착즙박은 초산발효 결과가 우수하고, 높은 산화 방지 활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발효식초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콩 품종별 감식초 절임 중 이소플라본 함량 변화 (Changes of Isoflavone Contents in Soybean Cultivars Pickled in Persimmon Vinegar)

  • 김주숙;김종군;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833-836
    • /
    • 2004
  • 감식초를 이용한 산절임콩 제조 과정 중 콩의 isoflavone의 함량변화와 흡수율, 절임액의 pH, 가용성 고형물량, 색도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검정콩인 서리태, 서목태와 노란콩인 명주나 물콩을 $20^{\circ}C$에서 10일간 감식초에 절임하였다. 콩의 총 isoflavone의 변화는 모두 절임 기간이 길어질수록 총 isoflavone이 늘어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명주나물콩의 경우 절임 10일째에는 1.596mg/g으로 절임하지 않은 원료콩 0.795mg/g보다 106.8%증가하였다. 또한 절임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총 isoflavone 중 aglycone의 증가가 뚜렷하였는데 절임기간 10일째에는 전체의 6.2-9.3%였던 것이 20.9-50.8%를 차지하였다. 절임액의 pH변화는 절임 초기에 가장 많이 일어났고, 가용성 고형물량의 변화는 절임 2일째에 많이 증가하였으며 증가 경향은 pH와 유사하였다. 절임액의 밝기인 'L'값은 검정콩의 색소 용출로 현저히 낮아졌으며 'a'값은 검정콩 절임의 경우 증가하였으나 명주나물콩은 감소하였고 'b'값은 검정콩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산절임이 콩의 물리적,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idification on Physic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Soybeans)

  • 여경은;최희숙;김동원;김주숙;김우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10-41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산절임콩 제조를 위한 최적 조건 개발과 콩의 적절한 품종을 선택하고저 백태와 검정콩인 서리태와 서목태를 감식초와 양조식초에 담그어 8일간 절임하였다. 식초종류, 콩의 품종, 절임 시간을 달리하여 산절임콩의 특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절임 중 콩의 흡수율은절임 후2일 동안 급격히 증가하여 약 20% 흡수 증가를 보인 후 완만하였다. 산도나 pH의 변화는 절임 초기에 일어났고 감식초에 절인 검정콩이 양조식초에 절인 것보다 신맛이 약간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절임 중절임 액의 당도변화는 절임전의 감식초 당도가 양조식초보다 현저히 높았으나 감식초에 절인 콩들간의 차이는 적었다. 절임 액의 밝기는 검은 색소의 용출과 감식초 자체의 색으로 감식초에 절인 검정콩이 현저히 L값이 낮았으며 붉은색의 a값은 검정콩은 모두 증가하였으나 백태는 감소하여 녹색을 띄었으며 노란색인 b값은 감식초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조직감의 변화는 견고성을 나타내는 최대 응력과 hardness는 초기의 흡수로 절임 2일만에 10배 이상 감소하였으며 감식초에 절임한 검정콩이 다른 조건보다 현저히 낮아 조직이 연해졌다. 관능검사결과 전체적 기호도에서는 감식초에 절인 서리태가 가장 좋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