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medical Ethics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5초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Good Death Recognition, and Self-Esteem on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최은정;정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75-284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학생 204명으로, 자료 수집은 2017년 10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는 4점 만점에 $2.97{\pm}0.29$점,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3.01{\pm}0.31$점, 좋은 죽음 인식은 $3.24{\pm}0.38$점,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3.23{\pm}0.41$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없었다.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좋은 죽음 인식 및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좋은 죽음 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좋은 죽음 인식이 높을수록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대학생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을 위해 좋은 죽음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고, 추후 간호대학생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의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심도 있는 연구를 제언한다.

플립러닝을 활용한 의료윤리학 교육에 대한 한의대생의 인식과 경험 (A Study on the Korean Medical Students' Perception of Medical Ethics Education Using Flipped Learning)

  • 박선주;최은지;김송이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2
    • /
    • 2018
  • Objectives : Recently, the interest on medical education in flipped learning has been grow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also required through changes in teaching methods within the Korean medicine education. In this study, flipped learning method was applied to 'medical ethics' clas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 from the Korean medical student's perspectives.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on 15 preparatory course freshmen students who took the 'medical ethics' course,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year 2017 at 'A' University. The study was proceded in two steps; 1) fill-in the questionnaire twice (before and after the class), and 2) in-depth interview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1^{st}$ questionnaire in the first step was consisted of 'Experience on flipped learning before the class', 'Which section of the flipped learning class do participants have expectation', 'Interest and expectation on flipped learning'. In the $2^{nd}$ questionnar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Which section of the flipped learning section that the learning effect was maximized', 'Association between 'flipped learning' method and 'Medical ethics' course' with 5-point Likert scale and frequency.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flipped learning method works very effectively in the 'medical ethics' course (63.6%). After the flipped learning class,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change in a attitude of the class (72.7%). However, this teaching method might be inappropriate for participants who had difficulties in pre-learning or a passive attitude and lecture-centered instruction (LCI) classes. Conclusions : Though applying flipped learning method to the 'Medical Ethics' was effective, to make pre-learning better, the instructors should prepare countermeasures for passive participants, help interact well among the participants, and plan a lesson thoroughly for changing LCI classes to student-centerd instruction(SCI).

국내 간호학생 대상 윤리관련 연구 동향 (Trends of the researches related to ethical topic in Korean nursing students)

  • 진은주;강현주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2-41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ethical topics in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31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from 2000 to 2020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according to publishing type, research design, subject, data analysis method, main research topic, research variables and instrument. Results: Most studies were journal articles (93.9%) and their most frequent research design was survey (75.7%). The research subjects covered all grades (35.1%) or they were divided between clinical nursing practicum (29.8%) or not (21.4%). The main research topics were biomedical ethics, ethical values, moral judgment and ethics education. Recently, ethical decision making and practical ability in nursing practice were reported. The instruments for measuring variables were limited and the same tools were used several time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selection of various research topics and the application of research methods related to ethics for nursing students will continue in response to rapidly changing social phenomena in the futur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hat research related to ethical and practical ability as well as ethical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nursing students be actively carried out.

초ㆍ중등 영재학생의 연구윤리 의식 조사 (Surve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n Research Ethics)

  • 이진아;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593-61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 중등 영재학생들의 연구윤리 의식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윤리교육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 중등 영재학생 180명과 초 중등 일반학생 180명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에 자부심과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와 같은 항목에서는 영재학생, 일반학생 모두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집단으로 하는 탐구활동에서 탐구에 참여를 하지 않은 사람은 연구자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항목의 경우 영재학생, 일반학생 모두에서 가장 낮은 의식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영재학생은 일반 학생보다 연구윤리 의식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영재학생의 교육 분야별 윤리의식을 비교한 결과 과학영재, 수학영재, 정보영재에 따라 '연구자의 기본자세'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초등 영재학생과 중등 영재학생 간에는 '생각과 표현의 윤리'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연구윤리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와 연구 경험 횟수가 많은 경우 연구윤리 의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기술, 생명 연구 윤리' 항목의 경우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연구경험 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5).

비주얼 씽킹과 윈도우 패닝을 적용한 간호윤리와 전문직 교과목 수업개선에 관한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to Improve Nursing Ethics and Professional Course using Visual Thinking and Window Panning)

  • 최한나;김수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62-373
    • /
    • 2021
  • 본 연구는 비주얼 씽킹과 윈도우 패닝을 적용한 간호윤리와 전문직 교과목 수업개선의 실행과정과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통합연구방법설계의 실행연구이다. 이 연구는 G시 소재 간호학과 2학년 학생들 중 114명을 대상으로 2018년 2월부터 9월까지 이루어졌다. 실행연구에 대한 개념적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양적·질적 접근을 통해 통합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양적접근으로는 윤리적의사결정 자신감, 생명의료윤리의식, 간호전문직관을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고, SPSS WIN 23.0 program 으로 분석하였다. 질적 접근으로는 수업참여에 대한 경험을 개방형 질문을 통해 면담하고 전사된 자료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비주얼 씽킹과 윈도우 패닝을 적용한 결과 윤리적의사 결정자신감(t=6.748, p<.001), 간호전문직관(t=-3.52,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생명의료윤리의식(t=1.291, p=.199)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질적분석 결과, 신선한 경험, 낯설지만 편안한 느낌, 내것이 되어감, 부족한 시간, 이론 기반의 체계적인 사례연구 접근, 토의토론을 통한 협력과 조정능력함양, 다양한 전문직 분야에 대한 체감, 자긍심, 윤리적 책임의식, 학습내용의 현장적용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주얼 씽킹과 윈도우 패닝을 적용한 교수법은 간호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역량을 함양하고 통합적인 학습이 일어나도록 돕는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반영하여 간호핵심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타교과목의 수업개선에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간호사의 윤리적 갈등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간호윤리교육 현황 분석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he Ethical Conflicts in Nurses and Current Status Analysi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 한종희;정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592-601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윤리적 갈등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과 간호윤리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간호윤리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국내 4개 데이터베이스에서 '간호사', '윤리', '도덕', '생명윤리', '갈등', '민감성', '고뇌', '딜레마', '이슈', '가치관'의 단어 조합으로 검색한 결과 2000년부터 2021년 12월까지 591편의 논문이 확인되었고, 이 중 111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간호윤리교육 현황은 간호교육 인증평가원에 등록된 4년제 학사학위프로그램 운영 203개교 중 184개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사 대상 윤리적 갈등과 관련된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다. 주요 주제어는 도덕적 민감성, 도덕적 고뇌, 윤리적 딜레마, 생명의료 윤리의식 등으로 확인되었다. 간호윤리교육은 68% 대학에서 전공과목으로 운영하고 있었고, 과반수의 대학에서 1학점 또는 2학점으로, 주로 1, 2학년에 개설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회적 변화에 따라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갈등은 증가하고 있어, 대학의 간호윤리교육 비중은 더 확대되어야 하고, 교육 효과의 지속성을 위해 학년별 단계별 교육모형 구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군진의학 연구에서 인간대상 연구윤리 (Ethics Involving Human Subject Research in Military Medicine)

  • 권복규
    • 대한기관윤리심의기구협의회지
    • /
    • 제4권2호
    • /
    • pp.23-29
    • /
    • 2022
  • The goal of the military medicine is not as same as that of the civil medical practice, and con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biomedical researches have their own uniqueness. In front of the prerogative of national defense, some of the human rights ordinarily ensured in normal researches with human subjects are not to be fully guaranteed. The hierarchic system of the military would complicate the issue when the soldiers are enrolled as human subject for the research. Some researches could be classified as a military secret, therefore, the confidentiality issues need to be well addressed.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review procedure should be modified for the military purposes.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regulatory system for the military biomedical researches with human subject to manage the complicated issues involved in them.

  • PDF

코로나19와 IRB 심의 (COVID-19 and IRB Review)

  • 신희영
    • 대한기관윤리심의기구협의회지
    • /
    • 제2권2호
    • /
    • pp.33-36
    • /
    • 2020
  • In December 2019,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was discovered in Wuhan, China. The disease was so severe that as early as 30 January 2020 COVID-19 was declared by WHO as a 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There have been a lot of concerns about conducting COVID-19 clinical researches scientifically and ethically in pandemic. This article is directed at addressing these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IRB. First of all, the urgency of COVID-19 research requires prompt IRB process through efficient ethics review and oversight system. IRB should determine whether the risks that will be presented to human subjects are justified after assessing possible harm and anticipated benefits. The safety of subjects should not be compromised. Furthermore, informed consent should be voluntarily obtained by sufficient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special circumstances during a pandemic.

  • PDF

우리나라 의사 국가시험 필기시험(2016-2018)의 기초의학 역량 평가 현황의 분석 (Analysis of Basic Medicine-Related Questions in the Korean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2016-2018))

  • 국현;오세옥;이덕주;기선호;전용성
    • 의학교육논단
    • /
    • 제25권1호
    • /
    • pp.68-77
    • /
    • 2023
  • Basic medical education is important for developing the competencies of medical doctors, and it includes basic biomedical sciences, preventive medicine, medical ethics, and clinical science.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KMLE) regarding its evaluation of competencies in basic biomedical sciences. The basic medicine-related questions were screened and selected from the test forms of the KMLE (2016-2018) by personnel conducting basic biomedical science education, and the selected questions were analyzed by three independent groups of undergraduate student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in terms of the learning outcomes of basic medical education. The study scope includes the proportion of basic medicine-related questions, which consist of basic medicine questions and basic medicine-related clinical medicine questions, its annual change, discipline distribution, and associated learning outcomes. The average proportions of basic biomedical sciences, preventive medicine and medical law, and clinical sciences were 2.3%, 5.8%, and 91.9% of all questions,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basic medicine-related questions, except those on preventive medicine and medical law, was 22.0% of the total, and questions on pharmacology and microbiology accounted for 83.0% of the basic medicine-related questions. The proportion of sub-enabling learning outcomes linked with basic medicine-related questions comprised 14.0% of the total outcomes for basic biomedical sciences and 30.4% for preventive medicine and medical law. It is concluded that the KMLE questions may not sufficiently cover the essential competencies of basic medical education for medical doctors, and the KMLE may need to be improved with regard to competencies in basic biomedical sciences.

의료종사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 in Healthcare Workers)

  • 정은;정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44-253
    • /
    • 2019
  • 본 연구는 의료종사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과 자아존중감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Y시에 있는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종사자 2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4월 2일부터 4월 23일까지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하였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여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 좋은 죽음 인식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3.5%(F=12.39, P=.000)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종사자의 좋은 죽음 인식에 대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올바른 태도확립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