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API v2.0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BioAPI v2.0 기반 BSP 표준 적합성 시험 도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ioAPI v2.0 based BSP Conformance Test Suite)

  • 장지현;이동근;김재성;김학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29-141
    • /
    • 2006
  • 본 논문은 BioAPI(Biometri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v2.0 기반의 BSP(Biometric Service Provider) 표준 적합성 시험 도구의 설계 및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한 BioAPI 적합성 시험 도구는 프레임워크(Framework) 없이 독립적으로 BSP를 시험할 수 있으며, 향후 XML 형태의 Test Assertion을 이용할 수 있도록 테스트 스케줄링 툴을 구현하였다. 또한 적합성시험 도구를 검증하기 위해 상용 지문 인식 검증(verification) 및 식별(identification) BSP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BioAPI v2.0을 기반으로 한 BSP들이 요구사항에 적합하게 개발되었는지를 판단 할 수 있었다.

BioAPI v2.0 표준적합성 시험방법 개발 및 구축 (Implementation of the Methodology for BioAPI Conformance Test)

  • 신우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9-188
    • /
    • 2011
  • Biometrics is one of promising future technologies within personal identification area, and its application stretches to other variety industry si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st whether these products are implemented in conformance withe the BioAPI international standard specific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specific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examples of BioAPI v2.0 conformance test suite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ISO/IEC 24709. The problems and experience that have been discovered in the construction are described. Three BSP products claiming conformance to BioAPI was tested by proposed the test methodology and tools.

분산 환경에서의 생체인증 API 표준 적합성을 위한 XML Test Assertion 적용 방안 (Application Methodology of XML Test Assertion for BioAPI Standard Conformance Tests in Distributed Environment)

  • 손민우;김영채;신동일;신동규;신용녀;김재성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2-567
    • /
    • 2007
  • 분산 환경에서 신분 확인을 위한 생체인증기기가 이용되는 경우 그 기기가 생체인증 표준인 BioAPI를 준용하여 제대로 구현된 것인가에 대한 적합성 시험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적합성 시험은 분산 환경의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표준 규격을 준용한 제품이라는 신뢰성을 주게 된다. 기존에 제공되는 있는 BioAPI(Biometri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v2.0 기반의 BSP(Biometric Service Provider)는 오프라인 상에서 BioAPI기반의 제품의 준용 여부만을 평가하기 때문에 분산 환경에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준용 여부를 평가 받기 힘들며 이에 따른 동시 서비스 제공도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BioAPI v2.0 기반의 제품들이 분산 환경에서 제공되는 9개 모델의 표준화된 환경으로 구분하고, 원활한 적합성 시험을 위하여 XML기반의 Test Assertion을 설계하여 생체인증 API 표준 적합성을 시험하였다. XML Test Assertion을 이용한 생체인증 적합성 시험을 위한 메시지 플로우를 밝혀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rotease-Producing Bacterium, Bacillus amyloliquefaciens P27 from Meju as a Probiotic Starter for Fermented Meat Products

  • Lee, Mi-Sun;Lee, Na-Kyoung;Chang, Kyung-Hoon;Choi, Shin-Yang;Song, Chi-Kwang;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04-810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protease-producing Bacillus sp. as a potential probiotic starter for fermented meat products. In order to isolate protease-producing bacterium from meju, measured the diameter of the clear zone on agar plate (TSA, 1% (w/v) skim milk) and analyzed for intracellular protease activity, then 10 Bacillus-like strains were isolated. Three Bacillus-like strains (P19, P27, and P33) among 10 strains were able to tolerate in acidic condition (TSB, pH 2.5, 2 h incubation). These 3 strains were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These vegetative cells of 3 strains were showed a survival rate of 0.04% to 0.08% under the artificial gastric acidic condition (TSB, pH 2.5 with 1% (w/v) pepsin), but spore-forming cells were 56.29% to 84.77%. Vegetative cells of 3 strains were the least bile-resistant, while spore-forming cells of 3 strains showed higher survival rate more than 76% under artificial bile condition (TSB, 0.1% (w/v) oxgall bile). In these strains, P27 strain was finally selected as a good probiotic strain. P27 strain was tentatively identifi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by API CHB kit and 16S rDNA seque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 amyloliquefaciens P27 can be used as a potential probiotic starter for fermented meat product.

Delftia acidovorans EK2에 의한 고농도 Trichloroethylene (TCE)의 생물학적 분해 특성 (The Biological Degradation of High Concentration of Trichloroethylene (TCE) by Delftia acidovornas EK2)

  • 박우정;이상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83-19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질로써 다양한 방향족 화합물을 첨가하여 TCE 분해 균주를 분리하고 고효율 TCE 분해 균주에 의한 고농도의 TCE 분해 특징에 대해 연구하였다. TCE에 오염된 토양 및 폐수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였고 성장기질로써 벤젠(Benzene), 페놀(Phenol), 에틸벤젠(Ethylbenzene), 아닐린(Aniline), 큐멘(Cumene), 톨루엔(Toluene) 등을 사용하여 TCE에 내성을 가지는 179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균주들을 TCE 농도 30 mg/L, 성장기질 농도 0.2 g/L, $30^{\circ}C$, pH 7, 균 농도 1.0 g/L (w/v)의 호기적 조건으로 21일 동안 분해효율을 측정한 결과, 아닐린을 성장기질로 이용한 EK2 균주가 74.4%의 가장 높은 효율을 보여주었다. EK2 균주는 형태학적 특징, 생화학적 특징 및 분자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Delftia acidovorans로 동정되었다. D. acidovorans EK2의 TCE 분해는 TCE 농도 10에서 200 mg/L까지 성장 및 분해할 수 있었으나 250 mg/L 이상의 농도에서는 성장과 분해가 보이지 않았다. 저농도(1.0 mg/L) 분해 실험을 위하여 D. acidovorans EK2를 각 0.01 g/L, 0.03 g/L, 0.05 g/L로 적용한 결과, 모든 조건에서 12일 동안 99.9%의 분해효율을 보였다. 고농도(200 mg/L)를 분해하기 위한 최적 배양조건은 균 농도 1.0 g/L, 아닐린 농도 0.5 g/L, pH 7, 온도 $30^{\circ}C$로 확인되었으며, 21일 동안 호기적으로 배양 시 71.0%의 가장 높은 TCE 분해효율을 보여주었고, 분해속도는 94.7 nmol/h이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D. acidovorans EK2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TCE로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생물학적 처리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계분으로부터 Lactobacillus salivarius의 분리 및 생균제적 특성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alivarius CPM-7 Isolated from Chicken Feces.)

  • 임수진;장성식;강대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8-103
    • /
    • 2007
  • 산란계의 분변으로부터 생균제 특성을 가진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무작위 선발법과 agar well diffusion assay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유산균을 1차 선발하였으며 이 중에서 대장균 억제능이 가장 우수한 CPM-7 균주를 분리하였다. 최종 선발된 CPM-7 균주는 형태학적 특징, 당 이용성 및 16S rRNA 서별 분석을 통하여 Lactobacillus salivarius CPM-7으로 동정되었다. L. salivarius CPM-7은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pH 2에서 30분 동안 및 pH 3에서 6시간 동안 생균수가 거의 유지되었으며, bile salt 0.2%가 첨가된 MRS 배지에서 증식할 수 있었다. L. salivarius CPM-7은 a-galactosidase를 포함한 다수의 효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돼지의 장 상피세포에 흡착할 수 있었다. L. salivarius CPM-7의 배양액 및 중화액은 자돈 설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E. coli K88에 대한 강력한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Screening of Immunostimulator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from Chicken Feces as Animal Probiotics

  • Lee, Eun-Kyung;Lee, Na-Kyoung;Lee, Si-Kyung;Chang, Hyo-Ihl;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34-640
    • /
    • 2010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creen and select acid-tolerant Lactobacillus strains from chicken feces, feeds, and other sources. Fourty six strains evidencing acid tolerance (pH 3.5) were isolated in this study. Among them, nine strains exhibited marked immunostimulatory effects. Therefore, nine candidate strains were characterized for probiotic use. In order to evaluate macrophage activation, NO production was measured using RAW 264.7 cells. In particular, three strains (FC812, FC222, and FC113) evidenced the highest levels of NO production measured at $38.39{\pm}20.01,\;35.06{\pm}27.73$, and $33.88{\pm}15.99{\mu}M$,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10^{8}CFU/mL$. The majority of strains, with the exception of strain FC322, evidenced marked resistance to artificial gastric juice (pH 2.5 with 1%(w/v) pepsin). Additionally, strains FC222, FC421, FC511, and FC721 were highly resistant to artificial bile acid (0.1%(w/v) oxgall), whereas strains FC113, FC322, FC422, FC621, and FC812 were the least resistant to bile. All nine strains exerte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chickenrelated pathogens. Additionally, all nine strains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several antibiotics. The isolated strains, except for strain FC322,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alivarius, using an API 50 CHL ki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ome probiotic organisms may potentially probiotic properties, and thus may serve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antibiotics in animal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