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fidobacterium lacti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초

Probiotics로서의 젖산균주의 특성 및 면역활성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Potential Probiotics)

  • 서재훈;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81-687
    • /
    • 2007
  • Probiotics로서의 사용을 위한 우수 젖산균주 선발을 위해 김치 및 발효유 제품으로부터 분리한 젖산균과 공시 젖산균주를 대상으로 내산성, 내담즙성, 장내 점착능, 병원성균 억제능 등의 probiotics 특성과 장관면역활성, mitogenic activity 및 대식세포 활성화 등의 면역활성을 검토하였다. 내산성 실험의 결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 Lb. plantarum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ssp. mesenteroides ATCC 8293의 경우 생존률이 5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Lb. acidophilus DDS-1과 Lb. acidophilus B-3208의 경우에는 70% 정도의 높은 생존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젖산균주의 담즙산 내성에서는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ATCC 7962를 제외한 모든 균주가 3% oxgall이 함유된 MRS배지에서도 성장이 가능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젖산균주의 장내 점착능 면에서 볼 때, Lb.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과 Bifidobacterium bifidum KCTC 3357의 장내 점착능이 실험에 사용된 다른 젖산균주와 비교하여 우수하다고 관찰되었으며, 특히 Lb. acidophilus DDS-1과 B-3208의 장내점착능이 높게 나타났다. 젖산균주의 병원성균 억제능 실험의 결과, Lb.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 및 B. bifidum KCTC 3357은 Staphylococcus aureus를 제외한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95, Listeria monocytogenes ATCC 59414, 그리고 Salmonella enteritidis ATCC 49313에 대해 높은 증식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젖산균의 세포질 획분과 세포벽 획분을 대상으로 면역활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장관면역 활성은 젖산균의 세포질 획분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LPS와 같은 수준의 면역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Lb. acidophilus속 균주들의 세포벽 획분의 장관 면역활성이 다른 균주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젖산균주의 세포질과 세포벽 성분에 대한 비장 림프구의 증식능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낮게 관찰되었으나, 이들의 대식 세포증식능은 세포벽 및 세포질 모두의 획분에서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특히 세포벽 획분의 경우에는 양성대조군인 LPS 보다 높거나 유사한 정도의 높은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 균주 중에서 Lb. acidophilus 균주인 DDS-1과 B-3208이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요구되는 조건을 충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균주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In Vitro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 Lee, Joong-Su;Chung, Myung-Jun;Seo, Jae-Gu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99-106
    • /
    • 2013
  •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CDI) has become a significant threat to public health. Although broad-spectrum antibiotic therapy is the primary treatment option for CDI, its use has evident limitations. Probiotics have been proved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CDI and are a promising therapeutic option for CDI. In this study, 4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namely, Lactobacillus rhamnosus (LR5), Lactococcuslactis (SL3), Bifidobacterium breve (BR3), and Bifidobacterium lactis (BL3)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C. difficile activity. Co-culture incubation of C. difficile ($10^6$ and $10^{10}$ CFU/ml) with each strain of LAB indicated that SL3 possess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over a 24-hr period. The cell-free supernatants of the 4 LAB strains exhibited $MIC_{50}$ values between 0.424 mg/ml (SL3) and 1.318 (BR3) mg/ml. These results may provide a basis for alternative therapies for the treatment of C. difficile-associated gut disorders.

The impact of probiotics and vitamin C on the prevention of upper respiratory tract symptoms in two preschool children cohorts

  • Zuzana Paduchova;Zuzana Nagyova;Duolao Wang;Jana Muchov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8권1호
    • /
    • pp.98-109
    • /
    • 2024
  • BACKGROUND/OBJECTIVES: The efficacy of Lab4 probiotic and vitamin C combination on the prevention of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URTIs) was investigated in two studies with children. Our objective was to pool dataset of 57 preschool children from the PROCHILD study (ISRCTN28722693) and the dataset of 50 preschool matched cohort from the PROCHILD-2 study (ISRCTN26587549) to evaluate the impact of probiotic/vitamin C combination on the prevention of upper respiratory tract symptoms and provide a more robust assessment of effect using detailed individual level data. SUBJECTS/METHODS: The children were supplemented daily for 6 months with either the multistrain probiotic (1.25×1010 cfu/tablet consisting of two strain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CUL21 and CUL60, Bifidobacterium bifidum CUL20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CUL34) plus 50 mg vitamin C or a placebo. RESULTS: In the pooled analysis of the individual participant data (per protocol population), significant reductions were observed for the incidence (-25%; 95% confidence interval [CI], 0.66, 0.85; P < 0.0001) and duration (-14.9 days; 95% CI, -24.8, -5.1; P = 0.0030) of typical URTI symptoms in the active group compared with the placebo. The incidence rates of absenteeism from preschool (IR ratio, 0.75; 95% CI, 0.66, 0.86; P < 0.0001), paediatric visits (IR ratio, 0.56; 95% CI, 0.47; 0.68; P < 0.0001) and antibiotic usage (IR ratio, 0.53; 95% CI, 0.39, 0.71; P < 0.0001)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CONCLUSION: The pooled analysis findings of comparable preschool cohorts from two studies indicate that the supplementation with probiotic and vitamin C combination is beneficial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URTI symptoms.

Bifidobacterium longum의 Sucrose 대사 관련 scr 유전자군의 특성 규명 (Characterization of the scr Gene Cluster Involved! in Sucrose Utilization in Bifidobacterium longum)

  • 권태연;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9-205
    • /
    • 2004
  • Bifidobacterium longum SJ32 균주로부터 cloning한 sucrose phosphorylase 유전자를 포함하는 8.6 kb의 EclRI 단편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5개의 open reading frame이 존재하였고, 상동성 검색의 결과, sucrose대사에 관여하는 sucrose phosphorylase (ScrP), sucrose transporter (ScrT), GalR-LacI-type transcriptional regulator (ScrR)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SJ32 균주의 scrPTR 유전자군은 다른 B. longum균주의 scrPTR과 배열이 동일하고, 각 유전자 산물이 아미노산 수준에서 94%이상의 상동성을 가지고 있지만, 주변 유전자는 다르게 나타나 B. longum균주 간의 scrPTR 유전자군의 horizontal transfer를 추정하게 한다. 대장균에서의 scrP와 scrT의 동시 발현은 세포 내로의 sucrose 유입을 증가시켜 sucrose phosphorylase의 활성 증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scrT가 sucrose transporter유전자임을 뒷받침한다. 기존에 보고된 B. longum NCC2705균주의 유전체로부터 scrPTR외에도 sucrose대사에 관여하는 다양한 sucrose multiple transport system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존재가 확인되어, B. longum이 다양한 sucrose유입체계를 보유하고 있음이 추정된다.

항암 활성능이 우수한 Bifidobacterium infantis Mneil-K9과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099의 기초 생리활성 (Basic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ifidobacterium infantis Maeil-K9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099 Selected by Anticarcinogenic Activities.)

  • 김응률;정병문;김지연;김서영;정후길;이형주;전호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8-354
    • /
    • 2003
  • 항암 활성 유산균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장내 미생물균총의 개선에 의한 발암물질의 생성 억제능과 장내 면역계 활성화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능 외에도 기초적인 생리활성능을 겸비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항암 활성능이 우수한 유산균에 대한 기초 생리활성을 비교하므로서 살아있는 균주로서의 이용성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암세포 억제율이 60% 이상인 5균주를 이용하여 내산성, 내담즙성, 항생제 내성, 우유 적용능, 안정성, 정착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산성은 Lb. plantarum KCTC3099를 제외하고는 pH 3.5 이하에서는 내성이 없었으며, 유산보다는 HCl에 대한 내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MIC에서 Lc. lactis와 Lb. plantarum KCTC3099는 cotrimoxazol(128 mg/1), B. adolescentis Maeil-K8과 B. infantis Maeil-K9은 doxycylin과 gentamicin(4 mg/1)에서 내성이 높았다. Caco-2 세포에 대한 정착률은 B. infantis Maeil-K9 균주가 3.1%로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나머지 균주들은 0.5% 이하로 매우 낮았다. 우유 배양능은 모든균주가 1 log cycle 이상의 균수 증가를 보였으나, Lb. plantarum KCTC3099를 제외하고는 산 생성능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우유 base에서의 안정성은 Lb. plantarum KCTC3099와 B. adolescentis Maeil-K8 및 B. infantis Maeil-K9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Lb. plantarum KCTC3099와 B. infantis Maeil-K9 균주가 항암 활성을 가지는 살아있는 균주로서의 활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대한 한국형 유산균의 안정성 (Stability Traits of Probiotics Isolated from Korean on Spices and Propolis)

  • 이도경;박재은;김경태;도명진;정명준;이과수;김진응;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6-222
    • /
    • 2014
  •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 미생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이들의 생존율은 항생제, 노화, 스트레스와 식이 등과 같은 요인들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식단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마늘, 생강, 파, 양파, 청양고추, 홍고추)와 프로폴리스가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주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한국형 유산균주들은 모든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심지어 일부 한국형 유산균주(Bifidobacterium lacti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Streptococcu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 또는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대부분의 외래종 유산균주는 다양한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감소 하였으며, 일부 외래종 유산균주(L. helveticus, 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에 의해 증식률이 크게 감소 하였다. 마찬가지로 각 향신료와 프로폴리스가 한국형 유산균주만 사용하여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과 외래종 유산균주가 사용된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모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마늘, 양파, 파, 프로폴리스에 의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은 대체적으로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에 저항성을 가지는 생존력이 강한 균주로 판단되며, 한국인의 장에 적합한 유산균으로 사료된다.

비피도박테리움 CBT BG7, BR3, BL3의 진세노사이드 전환능 (Bioconversion of Ginsenosides by Bifidobacterium CBT BG7, BR3 and BL3)

  • 최지원;권창;김종원;정명준;윤종현;임상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95-40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와 홍삼을 발효하여 저분자 진세노사이드인 compound K (CK)로 생물전환되는지를 확인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 19종의 유전체 분석결과, 진세노사이드 Rb1에서 CK로 전환에 관련된 β-glucosidase는 19종 모든 균주에서 확인되었고, α-arabinofuranosidase 유전자는 3종의 균주, β-xylosidase는 6종 균주, α-rhamnosidase는 8종의 균주에서 확인되었다. 이 중 B. longum CBT BG7는 Rb1으로부터 CK까지 전환시켜, CK 함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B. breve CBT BR3와 B. lactis CBT BL3은 Rb1을 Rd로 전환시켰다. 균체를 파쇄 또는 미파쇄하여 진세노사이드 전환 반응을 비교했을 때 미파쇄물이 F2와 CK로의 높은 전환량과 수율을 보였다. CBT BG7 + BL3와 BG7 + BR3 혼합균주는 CBT BG7 단독보다 진세노사이드 F2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CBT BG7과 α-amylase 효소를 함께 반응하였을 때에 F2 함량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인 CBT BG7, BR3, BL3와 홍삼을 함께 섭취할 경우, 건강에 도움을 주는 생리활성물질인 CK의 생산을 확인하였다. 추후 부탄올 등 다양한 추출용매를 활용하여 생물전환 효율 및 CK로의 전환율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Efficacy of the Probiotic Probiotical Confirmed in Acute Gastroenteritis

  • Kluijfhout, Sandra;Trieu, Thanh-Van;Vandenplas, Yv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3권5호
    • /
    • pp.464-471
    • /
    • 2020
  • Purpose: Some probiotic strains reduce the duration of acute diarrhea. Because of strain and product specificity, each product needs to be supported by clinical data.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efficacy of the synbiotic food supplement Probiotical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acidophilus, Bifidobacterium lactis, Bifidobacterium infantis, fructo-oligosaccharides) in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of likely infectious origin.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number of children with normal stool consistency during the treatment duration. Methods: A total of 46 children (aged 3.6 months to 12 years) with acute gastroenteritis that started less than 48 hours prior to their visit at a hospital-based emergency department were included in this prospective,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All children were treated with oral rehydration solution and placebo (n=20) or the test product (n=26). Results: Significantly more children had a normal stool consistency on days 1 and 2 in the probiotic group: 5 children (20%) on day 1 in the probiotic group compared with none in the placebo group (p=0.046). On day 2, 11 children in the probiotic group (46%) and 3 (16%) in the placebo group (p=0.024) had a normal stool consistency. The mean duration of diarrhea was shorter in the probiotic group compared with that in the placebo group (3.04±1.36 vs. 4.20±1.34 days) (p=0.018). Conclusion: The test product was shown to normalize stool consistency significantly more rapidly than the placebo. These data confirm the findings from a previous study in a larger group of children performed in a primary healthcare setting.

Effects of Fermented Milk with Mixed Strains as a Probiotic on the Inhibition of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 Kim, Byoung-Kook;Choi, In Suk;Kim, Jihee;Han, Sung Hee;Suh, Hyung Joo;Hwang, Jae-Kw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06-916
    • /
    • 2017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ingle bacterium and a mixture of bacteria as probiotics in loperamide-treated animal models, loperamide (3 mg/kg) was administered to SD rats to induce constipation. The individual lactic acid bacterial doses, Enterococcus faecium (EF), Lactobacillus acidophilus (LA), Streptococcus thermophilus (ST), Bifidobacterium bifidum (BB), Bifidobacterium lactis (BL), Pediococcus pentosaceus (PP), and a mixture of the bacteria were orally administered to loperamide-induced constipated rats at a concentration of $10^8CFU/kg$ for 14 days. The weights and water contents of their stool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PP, CKDB (mixture of 5 strains except PP), and CKDBP (CKDB+PP) groups than in the normal (constipation not induced) and the control (constipation-induced) groups (p<0.05). The intestinal transit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probiotic-treated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was the highest in the CKDBP group (p<0.05). The mucosal length and mucus secre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probiotic-treated-groups, as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CKDBP group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according to immunohistochemistry (IHC) staining and total short chain fatty acid content analysis (p<0.05). Lastly, PP, CKDB, and CKDBP showed relatively higher Lactobacillus sp. ratios of 61.94%, 60.31% and 51.94%,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based on metagenomic analysis.

흰 쥐에서 복합 유산균과 다시마가 항비만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ture Lactic Acid Bacteria and Sea Tangle on Anti-obesity and Gut Microflora in Rats)

  • 유다윤;김정아;김인성;이철영;김성찬;이상석;최인순;조광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21-142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과 다시마가 항비만과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8주령의 수컷 흰쥐를 1 cage 당 3 마리씩 4반복하여 처리군 당 12마리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구 기초사료에 고지방사료 처리구는 10% lard를 첨가하고, 여기에 5% 유산균($5{\times}10^8cfu$,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johnsonii, Bifidobacterium longum, Bifidobacterium lactis) 첨가구, 5% 유산균과 10% 다시마를 혼합 첨가한 처리구로 구분하였다. 고지방사료 처리군에 비해 유산균 처리군과 다시마와 유산균 혼합 처리군은 체중과 일당 증체량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장내미생물을 pyrosequncing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고지방사료 처리군에 비해 유산균 처리군과 다시마와 유산균 혼합 처리군은 Firmicutes 비율이 감소하고, Bacteroidetes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Firmicutes/Bacteroidetes (F/B) 비율은 감소하였다. 또한 이 두 처리군은 Firmicutes 문에 속하는 비만 관련 미생물 Roseburia, Mollicute, Erysipelotrichi, Oscillibacter가 감소하였고, 반면에 Bacteroidetes 문에 속하는 항비만 관련 미생물 Prevotella, Alistipes, Bacteroides는 증가하였다. 분변 내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SCFA) 은 다시마와 유산균을 섭취한 처리군에서 butyric acid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시마와 유산균의 혼합 처리는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며 장내 미생물 변화를 유도하고 장내 대사 물질인 butyric acid의 함량을 높이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