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bliotherapy program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의 적용과 평가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Biblio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s)

  • 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3-245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치료를 적용, 평가하여 독서치료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2006년 2학기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도서관학 특강' 교과목을 수강한 39명 대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는 이들 중 사례 5명의 학생들에게 보고서 형식의 '자기평가'를 내용분석한 질적 평가와 자아정체감 측정을 통한 양적 평가 모두를 실시하였다.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성과는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1) 이 프로그램은 독서치료의 원리인 동일시, 카타르시스, 통찰이 일어나 독서치료가 내면의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정립에 독서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주부를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for Housewives)

  • 김수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5-134
    • /
    • 2006
  • 이 연구에서 주부들의 마음상함을 돌보고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공공도서관 기반 발달적 독서치료를 계획하여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은 두 가지를 개발하여 운영하였다. 하나는 일반과정 프로그램으로 독서치료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는 대상에게 적용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일반과정 수료자중 자신의 상처를 주도적으로 치유하려는 참여자들을 위해 계획한 심화과정 프로그램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이에 대한 성과와 개선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독서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Bibliotherapy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Public Library)

  • 박금희;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3-368
    • /
    • 2006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다룰 수 있는 독서치료의 위기상황 범주를 개발하고. 그 중에서 어린이들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독서치료의 효과에 대한 검증을 통해 독서치료가 공공도서관 서비스로 구현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연구를 통해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러한 독서치료가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역기능 가정 자녀를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Study on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 Sons and Daughters of the Dysfunctional Family)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05-431
    • /
    • 2009
  • 이 연구는 역기능 가정에서 성장한 자녀들의 독서치료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역기능 가정 자녀인 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독서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역기능 가정의 자녀들은 1) 상처에 대한 인식, 2) 공감과 동일시, 3) 통찰과 자기 및 타인에 대한 이해, 4) 상처극복에 대한 의지 및 상처극복을 위한 해답의 발견, 5) 자기변화와 성장, 상처치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매우 역동적인 사고와 감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역기능 가정 자녀들의 상처대처와 극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주부를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실제 - 주부의 마음상함 상황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actice of Bibliotherapy Program for Housewives - The Focus to Analyze the Situation of Wounded Emotion of Housewives -)

  • 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69-307
    • /
    • 2005
  • 이 연구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공공도서관에서 주부를 대상으로 실행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를 밝히고 있다. 하나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과정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참여자들이 말하는 주부의 마음상함의 상황에 대한 분류와 이에 대한 분석이다. 주부들의 마음상함은 크게 여섯 가지 상황으로 나누어진다.

  • PDF

독서치료를 통한 대학생의 행복지수 제고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Bibliotherapy on the Happiness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 이승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7-30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행복지수를 제고할 수 있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중요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를 통하여 행복지수를 제고할 수 있다. 세부적 요소별로 살펴보면 삶의 만족도 제고의 효과가 가장 확실하고, 긍정적 감정의 제고 측면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며, 부정적 감정을 감소시키기는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의 국내 문헌에서 많이 다루어진 독서치료 메커니즘 즉 동일시, 카타르시스, 통찰을 통한 치유 효과 외에도 행복해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스킬 즉 명상, 기도, 현재에 집중하기, 그리고 기타 마음관리 기법의 학습 및 실시를 통하여 치유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셋째, 독서능력이 뛰어난 대학생을 대상으로 독서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치유서를 선택함에 있어 참여자의 자율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노인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Bibliotherapy Program to Reduce Stress of the Elderly)

  • 조은주;장혜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59-281
    • /
    • 2010
  • 독서치료가 노인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모집하여 집단대면프로그램과 개별통신프로그램 두 가지 유형의 독서치료를 진행하였다. 독서 치료 이전과 이후에 실시한 스트레스인지테스트와 스트레스반응테스트를 통해 효과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총 16개 기관에서 121명이 프로그램을 이수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는 집단대면프로그램과 개별통신프로그램 모두 스트레스 감소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별통신프로그램 보다 집단대면프로그램에서 효과가 더 크다. 성별, 연령, 학력 등 개인적 배경에 따른 독서치료 효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사전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독서치료의 효과의 차이는 스트레스인지 부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증 결과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스트레스 감소 효과가 큰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초하여,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 전략과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도서관 서비스 확대를 위한 독서치료의 과제 (The Task of Bibliotherapy for the Expansion of Library Service)

  • 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41-26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서비스 확대를 위한 독서치료의 과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도서관계에서 차지하는 독서치료의 위치를 살펴보고, 2000년 이후 한국의 도서관에서 이루어진 독서치료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여 도서관 서비스로서 독서치료의 확대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방안으로는 네가지 문제, 즉 독서치료 용어의 문제, 독서치료에 대한 사서의 인식과 수용, 독서치료 교육과 훈련 과제와 도서관의 독서치료 서비스 확대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독서치료 변인에 비추어 본 독서치료 연구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blem and on the Development Plan of Bibliotherapy based on the Factors that Affect Bibliotherapy - Focusing on the Bibliotherapy of Aimed at Improving Self Esteem -)

  • 최영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01-22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학위 논문 15편의 독서치료 연구가 지니는 문제점을 파악한 후, 발전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현행 독서치료 연구에서 독서치료가 지닌 문제점을 변인 5가지 측면에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담자의 전문성과 역할의 부재이다. 둘째, 독서치료의 내담자 변인으로 내담자에 대한 문제 상황이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반영되지 않았다. 셋째,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으로 독서치료에 대한 내담자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지시키지 못하고 있다. 넷째, 독서치료 자료가 텍스트 자료에 국한되어 다양한 매체활용이 부족하다. 다섯째, 연구방법적인 측면에서 내담자의 독서치료 효과를 측정하는 검사지에 대한 타당성이 부족하다. 독서치료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토대로 몇 가지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독서치료 상담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재 개발 및 연수가 필요하다. 둘째, 독서치료 자료로 적합한 다양한 매체에 대한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독서치료 효과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발달적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 - 시범학교의 사례연구 -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Bibliotherapy in School : In the Case of the Model School)

  • 권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39-164
    • /
    • 2007
  • 본 논문은 대구광역시 교육청이 독서치료 시범학교로 지정한 중학교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참여 학생은 77명이며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두 개의 프로그램에 분리 배치되었으며 각각 15회 실시되었다. 두 프로그램은 각 문제 영역에서 매우 긍정적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얻었으며, 독서치료 목표와 독서자료에 따라 뚜렷한 효과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독서치료는 내재화 문제, 여학생에게 더 큰 효과가 있었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발달적 독서치료는 향후 자가 독서치료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독서교육과 연계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