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Bibliotherapy in School : In the Case of the Model School

발달적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 - 시범학교의 사례연구 -

  • 권은경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group bibliotherapy in junior high school assigned by Daegu Metropolitan Office or Education as a model school. Seventy seven students haying problem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he two different programs which developed for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respectively. Each bibliotherapy program has been carried out 15 times. The effects of two programs were proved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of each program were differ from the other, owing to the purpose and reading materials. The study skewed bibliotherapy are more effective for students having internalizing Problems and female students. Bibliotherapy also affected student's reading attitude. In order to reach self bibliotherapy, developmental bibliotherapy should be connected to the reading guidance.

본 논문은 대구광역시 교육청이 독서치료 시범학교로 지정한 중학교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참여 학생은 77명이며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두 개의 프로그램에 분리 배치되었으며 각각 15회 실시되었다. 두 프로그램은 각 문제 영역에서 매우 긍정적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얻었으며, 독서치료 목표와 독서자료에 따라 뚜렷한 효과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독서치료는 내재화 문제, 여학생에게 더 큰 효과가 있었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발달적 독서치료는 향후 자가 독서치료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독서교육과 연계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일현. 2006.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남자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2. 반금현. 2001. '집단적 독서 요법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 개념 향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독서교육전공
  3. 손정표. 2003. '신독서지도방법론'. 수정증보판. 태일사
  4. 송승섭. 2004.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적실한 '독서치료'연구와 강의를 위한 사례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1): 122-141
  5. 오경자 등. 2001.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 K-YSR'. 중앙적성연구소
  6. 유정실. 2004.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7. 이연숙. 2005.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대인관계 개선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8. 이영식. 2006. '독서치료 어떻게 할 것인가'. 학지사
  9. 이혜경. 2005. '독서 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10. 한국독서치료학회 편. 2003. '독서치료의 실제'. 학지사
  11.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독서치료연구회 편. 2001. '독서치료'. 학지사
  12. 황금숙. 2005. 국내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6(1): 117- 130
  13. Abdullah, Mardziah Hayati. 2002. 'Bibliotherapy.' [online]. [cited 2006.1.15]
  14. Berry, F. M. 1977. 'Contemporary bibliotherapy: systemizing the field'. In R. J. Rubin (ed.). Bibliotherapy Sourcebook. AZ: Oryx Press. 185-190. 김현희(2001, 18)에서 재인용
  15. Watson, D. C. 1994. The effects of three bibliotherapy techniques on fourth grader's self-esteem, reading achievement, and attitudes toward reading. Ed. D. dis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