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uticia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9초

미용종사자의 재교육 실태조사 및 문제점 (Re-Education Situation and Problem Point of Beauty Artist)

  • 장영혜;유태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31-236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more systemic and desirable improvement method of retraining program was researched for cultivation of field beauticians through acknowledgement of the environmental change and phenomenon of beauty shops by time and through recognition of current retraining situation. 1) In terms of acknowledgement of the necessity for beautician retraining, the item on the necessity for beautician retraining showed beauticians' high requirement for retraining. 2) The main problem of reeducation was that reeducation curricular of each organization have not been programed. 3) Presence education was the main thing to be completed for reeducation program improvement. We also could know that the improvement and complement of work environment, the education extension besides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rapid acquisition of information as improvement were recognized importantly.

미용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요인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Deciding Factor for Beautician Students)

  • 안경민;조희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951-2956
    • /
    • 2011
  •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요인과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서울시 소재의 대학교에서 미용을 전공하는 대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 결과 전공만족에 따른 자기효능감에서는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에서 p<.05수준의 유의한 결과가 나왔고 과제난이도에서 p<.01의 높은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으며 진로결정요인에서는 직업정보 수집에서 p<.05의 수준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고 목표설정과 진로계획 수립, 자기평가에서는 p<.001의 매우 높은 수준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요인의 하위 변수간 상관관계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자기효능감 변인의 자신감에서 문제해결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고 진로결정요인의 하위변인들과 다른 변인들간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이상의 결론에서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요인은 상호간 매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요인간에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미용사의 소화장애 관련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eautician's Dyspepsia)

  • 김은숙;김영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1-134
    • /
    • 2006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general properties of beauticians an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their experiences of indigestion and relevant factors and thus to provide basic data to prevent obstacles to beautician's health. Methods: A self-administered survey on 257 female beauticians in Daegu from March 15 to May 30, 2005 was conducted. Cross-link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indigestion in relation to the general properties of beautician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relationship between indigestion and relevant factor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effects of relevant factors on indigestion. Result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for indigestion by general properties and beauty-related proper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p<0.01), age(p<0.05) and marriage status(p<0.05) among general properti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holiday(p<0.05), beauty culture career(p<0.01),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duty(p<0.001) among beauty-related properties. As for indigestion by eating habit and health-related proper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regular eating(p<0.001) and regular living habit(p<0.001), and eating speed(p<0.01). 2. Factors relevant to the eating habit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digestion were regular eating habit, taking well-balanced nutrition, and taking salty food. Among them, the regular eating habit was shown to be the most relevant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0.253(p<0.01). The general and beauty-related factors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digestion were beauty culture career, number of holiday, and regular living habit. And regular living habit was shown to be the most relevant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0.260(p<0.001). 3. Results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relevant factors having significant effects on indigestion were gender, beauty culture career, satisfaction on duty, eating speed, regular eating habit and regular living habit. And satisfaction on duty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indiges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effectively used to develop a practical management strategy to prevent $beauticia{\acute{n}}s$ indigestion, and to promote $beauticia{\acute{n}}s$ health, and ultimately to improve the $beauticia{\acute{n}}s$ quality of life.

미용실 재방문과 미용 서비스 품질과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Revisiting of Beauty Shop and Quality of Beauty Service)

  • 지정훈;최근희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1-23
    • /
    • 2005
  • This never-ending changes and everlasting challenges under the industrial circumstances induce us to compete against survival or selection. We accordingly need to take steps in order to survive excessive competitions by the various differentiated strategies in Beauty and Cosmetology mark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for making the best use of this actual proof which enables the effective customer management and managerial things of beauty shop through theoretical contemplation in all aspects of managerial beauty shop and the reason why the customers give the second visit(revisit) or choosing the shop again(coming agai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surveying 200 re-visited customers at the same beauty shop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or a whole year by questionnaire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revisiting of the same beauty shop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ter surveying, we coded these questionnaires finding out its distribution(range) by SPSS statistical package with Frequency Analysis in response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lso performed ANOVA and Regression. In brief, there is big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hich explains the second visiting(revisit) originates in technical fact; hair protection. Most women have paid great attention to their hair protection while men mostly have ignored. However, men attached themselves to the hairdressers' appearances and the distance from their house to the beauty shop which did not mean a lot to women. Beside s, there were many differentiation in accordance with marital status, age, education and their business. With this study, we easily generalize the fact that customers revisit a beauty shop not because of beauty shop facilities but because of human interests.?Beautician's service has certain specialties which show the interaction between customer and beautician in the field. Now we can come to this conclusion that we need to endeavor to develop the service spirit and employees' welfare. Their attitudes towards job satisfaction go well with customer ' s satisfaction in this way.

  • PDF

네일 시술기법에 따른 네일 미용인이 지각하는 직무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The perception of a nail beautician according to the nail treatment technique Job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 박장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01-307
    • /
    • 2022
  • 현대인의 네일숍 방문과 시술 빈도 증가에 따른 지나친 업무강도와 네일숍 방문고객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는 네일 미용인의 직무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네일 미용인의 네일 시술기법을 통한 직무 효능감과 직무 만족도를 상승시킬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안 마련 필요성에 따라 네일 케어, 젤 매니큐어, 프렌치 스컬프쳐, 네일 그라데이션 등의 네일기법 시술 시 지각하게 되는 직무 효능감과 직무 만족도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네일 그라데이션기법이 네일 미용인의 직무 효능감을 가장 높게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젤 매니큐어기법을 시술할수록 네일 미용인의 직무 만족도가 증가하는데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네일기법 간 복합적인 응용이 가능해지고 네일 미용인의 직무 심리 양상에 대한 좌표를 제시함과 동시에 직무환경 개선과 새로운 네일 시술기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작용하리라 사료한다.

헤어미용인의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Job Performance upon the Hair beautician's Job Satisfaction)

  • 방희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585-8595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지역 헤어미용실 근무자 500명을 대상으로 SPSS18.0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Varimax 직각회전방법을 이용한 요인분석,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한 Cronbach's ${\alpha}$계수를 이용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후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분산분석 결과 직무만족, 직무성과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종/직위, 총 경력, 근무 년 수, 일일근무시간, 월 소득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헤어미용인의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성과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직무만족은 구성원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직무를 통해 자신의 욕구 수준이 충족되어 직무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취동기와 임금, 승진, 보상 등 직무의 욕구를 가질때 헤어미용인들은 더욱 능동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따라서 헤어미용인의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만족에 주안점을 가질 수 있도록 경영자나 관리자는 프로그램 개발을 지속적으로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포스터 디지털세대를 위한 미용교육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Beauty Educational Method for Post Digital Generation)

  • 윤은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701-710
    • /
    • 2013
  • 포스터 디지털세대를 주도할 전문 미용인 양성을 목적으로 학습자에게 적합한 미용교육의 효율적인 교육방법을 찾고자 한다. 미용교육의 실태조사를 교육통계자료와 인터넷 사이트인 "대학 알리미" 자료를 중심으로 실시하고(

    참조), 이를 통해 서울 경기권과 대전 충청권 미용관련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대학, 대학원을 연구대상으로 2013년 6월 10일부터 7월 31일까지 KSDC의 온라인 설문조사 통계 분석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교육은 다른 학문과는 다르게 전문대학, 대학원, 4년제 대학교 및 고등학교 순으로 개설되었고, 앞으로 보건계열이나 아트계열에 속하여 성장 가능한 분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계 결과([Fig. 1, 2, 3, 4, 5] 참조)는 선행연구와 유사하지만 남자 학생들의 비율의 상승, 전공의 세분화 및 고등학교의 경우 미용교육의 시작이 학원이 아닌 고등학교의 비율이 높아진 점 등등의 상이점도 찾을 수 있었다. 미용교육기관 선정과 학습자 위주의 실태조사가 된 점 및 구체적인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연구의 미비 점은 추후 수정 보완하고자 한다.

  • 이, 미용사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 선호도 및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Trend Analysis of Barber and Hairdresser Acquisition of National Technology Certificate)

    • 오정선;이숙자;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637-643
      • /
      • 2022
    • 현대사회의 미용은 예술과 과학이 융합적으로 접목된 전문 직종으로서 이, 미용인으로 입문하기 위하여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은 일상적 통관 절차이다. 또한 예비 미용인이 선호하는 이, 미용 국가기술 자격증과 취업 분야에 대한 객관적 자료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에 미래 미용산업에서 성공을 설계하는 뷰티아카데미 수강생들이 선호하는 이, 미용 국가기술 자격증에 대한 인식과 동향을 다각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호하는 국가기술 자격증과 희망하는 취업 분야는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남성, 젊은 연령층, 미혼자, 학생층에서는 개인의 적성과 흥미를 우선순위로 선택한 반면 30대 이상, 기혼자나 이혼자, 자영업자, 회사원, 주부에서는 취업 전망의 선택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 인재의 본질적 성향과 발전 방향에 대한 모색을 도모할 수 있으며, 향후 국가기술 자격증 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연구개발의 방향을 설정하고 뷰티아카데미 시장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한다.

    네일 미용사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 동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nd of Acquiring National Technology Certificate of Nail Beautician)

    • 박장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81-87
      • /
      • 2022
    • 본 연구는 네일 미용사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 전후의 수강생에 대한 실태 및 자격증 취득 동향을 조사하고, 자격증 취득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방안과 수강생 역량에 따른 체계적인 데이터 구축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이다. 광주광역시 거주 네일미용 수강생을 대상으로 네일미용 산업체 경력에 따른 각 변인 간의 네일 미용사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 동향에 대해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 SPSS v 18.0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80.8%), 미혼(70.8%), 20대(47.7%), 초대졸 또는 대졸(26.2%), 학생(42.3%)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네일 미용사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을 위한 성별(性別)에 따른 기간과 비용의 교차분석 결과 Pearson 카이제곱 유의확률(p)이 각각 .416와 .899로 남녀 간 차이가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네일미용 산업체 현장 경력은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 기간, 수강비용, 교육기관, 응시경험(p<.001) 등에서 모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네일미용 마케팅의 발전 도모와 향후 지향해야 할 네일 미용업의 건설적인 비전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체주의의 차연을 응용한 업스타일의 조형성 연구 - 업스타일의 표현기법에 따라서 - (The Study on the Formativity of Up Style Applied Deconstructive Differance - Based on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Up Style -)

    • 양미숙;김성남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5-84
      • /
      • 2007
    • All styles began to coexist by recognizing diversity and changeability instead of an absolute value system of beauty or truth in the general culture field of modern society.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 of deconstructism, which breaks down the boundary between order, balance, style and genre within the texture, is brought out. This characteristic is also having an effect on the field of up style in a hair genre to secure the beauty of incompletion as the beauty of the present time, involving the beauty of ugliness in the boundary of beauty.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new vision by applying deconstuctism to the up style to express as an original and experimental formative art with various expressive methods. In addition, it aims at being perfect for presenting the creativity and artistry through expressive techniques by formative factor of deconstructive up style to find new methods and directions to design concept with main expressive ability of deconstructive up sty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