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n bug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집합페로몬 성분의 조성과 배합비율별 유인력 (Composition of the Aggregation Pheromone Components of Korean Bean Bug and Attractiveness of Different Blends)

  • 허혜순;윤지은;;;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1-147
    • /
    • 2008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teroptera: Alydidae) 수컷 성충은 (E)-2-hexenyl (Z)-3-hexenoate (E2HZ3H), (E)-2-hexenyl (E)-2-hexenoate (E2HE2H) 및 tetradecyl isobutyrate(TI)의 세 성분으로 조성되는 집합페로몬을 분비하고, 그 페로몬에 동종의 암수 성충과 약충을 유인되며, 난기생봉인 Ooencyrtus nezarae (Hymenoptera: Encyrtidae)는 이 페로몬을 기주탐색에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진주와 익산, 일본의 Tsuhba와 Kumamoto지역에서 채집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 성분의 조성비를 조사하고, 각 성분의 배합비율별 유인력을 진주와 Kumamoto에서 조사하였다. 진주와 익산계통의 집합페로몬 조성 비율(E2HZ3H:E2HE2H:TI)은 각각 1:1.4:0.2, 1:0.8:0.2였으며, Tsuhba와 Kumamoto계통은 각각 1:2.8:0.2, 1:1.5:0.1이었다. 야외 유인력 검정에서, 1:1:1 (E2HZ3H:E2HE2H:TI=16.7:16.7:16.7mg/고무격막) 또는 1:1:0.5 (E2HZ3H:E2HE2H:TI=20:20:10mg/고무격막)로 배합한 페로몬이 1:5:1 (E2HZ3H:E2HE2H:TI = 7.1:35.7:7.1mg/고무격막)로 배합한 것보다 유인력이 높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소장과 난소발육 (Seasonal Occurrence and Ovarian Development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 허혜순;허완;배순도;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99-205
    • /
    • 2005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을 이용하여 경남지방의 대학교 캠퍼스와 콩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연중 발생소장과 난소발육을 조사하였다. 대학 캠퍼스에서 들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년간 3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제1세대 성충은 7월 상순${\sim}$8월 상순까지, 제2세대 성충은 8월 중순${\sim}$9월 하순까지 발생하였다. 제3세대 성충은 10월 상순${\sim}$11월 중순에 발생하는데 난소내에 난이 없는 상태로 성충휴면에 들어가 이듬해 3월 하순부터 활동을 재개하였다. 월동 후 암컷성충의 난소에서 성숙란이 처음으로 관찰되는 시기는 5월 전반기였다. 콩포장(5월 23일 파종)에서는 8월 상순${\sim}$9월 중순, 10월 중순${\sim}$11월 중순의 2회의 뚜렷한 유살시기가 있었다. 이 두 시기는 대학 캠퍼스에서의 제2, 3세대의 유살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콩 및 녹두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Thunberg)](노린재목: 호리허리노린재과)의 산란선호성 (Oviposition Preference of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on Soybean and Mungbean Plants)

  • 정진교;서보윤;문중경;박종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79-383
    • /
    • 2008
  • 콩과 녹두을 대상으로 한 두과작물에 대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산란선호성을 검정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식물체 상부와 잎의 뒷면에 주로 산란하였으며, 포장 내에서는 가장자리와 안쪽에 관계없이 균등한 산란비율을 나타냈고, 산란된 잎의 대부분에서는 한 잎에 한 개의 알이 관찰되었다. 또 콩의 개화전과 개화 후에 산란비율에 차이가 없었다. 한편 여러 유전자원에 대한 산란선호성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곤충병원세균(Xenorhabdus nematophila) 유래물질의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장내세균 증식억제 및 살충효과 (Antibiotic and Insecticidal Activities of Metabolites Derived From an Entomopathogenic Bacterium, Xenorhabdus nematophila, Against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 서삼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1-259
    • /
    • 2010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의 장내세균이 분리되었다. 형태학적 분석과 생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세균이 Staphylococcus succinus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동정되었다.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이러한 동정 결과를 뒷받침했다. 페니실린G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성충에게 경구투여 하였을 때 장내세균 밀도 감소와 치사 효과를 유발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곤충병원세균(Xenorhabdus nematophila)의 세 가지 대사물질(benzylideneacetone, proline-tyrosine, and acetylated phenylalanine-glycine-valine)을 처리하였을 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장내세균의 밀도감소와 치사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장내세균이 Staphylococcus sp.이며, 곤충병원세균 대사물질의 항균 활성이 장내세균과 궁극적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생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 트랩에 의한 가로줄노린재의 유인과 발생양상 (Attraction and Seasonal Occurrence of Piezodorus hybneri monitored with Aggregation Pheromone Traps of Riptortus clavatus)

  • 허완;허혜순;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65-270
    • /
    • 2005
  • 톱다리개미허리노린계의 집합페로몬을 이용하여 적절한 기주가 없는 경상대학교 캠퍼스(경남 진주시)와 기주인 콩이 재배되고 있는 포장에서 가로줄노린재의 발생양상을 비교하였다. 콩포장에서는 개화기 이전(6월 28일)부터 꾸준히 유인되었으며, 10월 11일 이후에 유인수가 급증하였다. 그러나 대학 캠퍼스에서는 3월 21일부터 10월 5일까지 전혀 유인되지 않다가 10월 11일 이후부터 유인수가 급증하였다. 가로줄노린재의 암수가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밀도로 콩 포장에서 유인된다는 것은 이 해충이 기주인 콩을 찾아 적극적으로 이동한 결과로 생각된다. 콩 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10월 이후에 유인되는 성충은 월동처를 찾아 이동하는 성충으로 판단되었다. 콩 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총 유인된 암수의 수는 차이가 없었다. 가로줄노린재는 콩 포장에서 6월부터 11월 하순까지 트랩에 유인되었기 때문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은 가로줄노린재의 비휴면성충과 휴면성충 모두에 유인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집합페로몬의 세 성분인 (E)-2-hexenyl (Z)-3-hexenoate, (E)-2-hexenyl (E)-2-hexenoate, 및 myristyl isobutyrate를 16.7+16.7+16.7 mg 또는 7+36+7 mg으로 배합했을 때, 가로줄노린재의 유인수는 무처리나 생충트랩보다 많았고, 두 배합성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두류품종의 먹이조합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약충발육, 성충 수명 및 산란 (Effects of Food Combinations of Leguminous Seeds on Nymphal Development, Adult Longevity and Oviposition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 배순도;김현주;박정규;정진교;조현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3-127
    • /
    • 2004
  • 두류품종의 먹이조합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약충발육, 성충수명 및 산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약충기간은 20-28일로 장유콩(새알콩), 장유콩+강낭콩 및 장유콩+땅콩의 조합에서 가장 많았으며, 강낭콩에서 가장 길었다. 영기별 발육기간은 1령에서 2.4-2.5일, 2령에서 4.0-5.1일, 3령에서 4.2-6.0일, 4령에서 4.4-6.9일 그리고 5령에서 5.3-7.3일로 영기가 증가할수록 길어졌으며, 1령을 제외한 타령기에서 발육기간은 먹이조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화율은 3.5-65%로 먹이조합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장유콩+땅콩에서 65%로 가장 높았으며, 강낭콩에서 3.5%로 가장 낮았다. 약충사망율은 먹이조합에 관계없이 1령에서 가장 높았다. 성충수명은 5.5-11.2일로 장유콩+땅콩에서 가장 길었으며, 강낭콩+땅콩에서 가장 짧았고, 장유콩, 강낭콩, 땅콩 및 장유콩+강낭콩에서 8.0-8.4일로 먹이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 산란수는 1.0-20.0개로 전체적으로 산란수가 매우 낮았으나, 장유콩+땅콩>장유콩>딴콩>장유콩+강낭콩>강방콩>강낭콩+땅콩의 순으로 많았다. 따라서 두류품종의 종자를 이용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사육은 장유콩+땅콩 조합에서 가장 좋았으며, 다음은 장유콩이였다.

호남지역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의 발생소장, 콩 피해 및 약제방제 효과 (Seasonal Occurrence, Soybean Damage and Control Efficacy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at Soybean Field in Honam Province)

  • 이건휘;백채훈;최만영;오영진;김두호;나승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49-255
    • /
    • 2004
  • 호남지역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소장, 콩 피해 및 약제방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은 콩 파종시기 및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최성기는 5월 하순경 파종은 8월 하순에, 6월 중순경 파종은 9월 중순 이었고, 파종기가 동일하더라도 연차간 기상조건에 따른 중 생육상의 차이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최성기 차이가 있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의한 콩 흡즙 피해 면적을이 증가하면 발아율이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특히, 콩 피해면적율이 $50\%$ 이상 되면 발아율이 $2\%$로 매우 낮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약제방제효과는 콩 생육단계중 $R_4$(착협성기)+ $R_5$(립비대기)+ $R_6$(립비대성기)에 3회 처리시 $91\%$의 방제효과로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