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ketball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8초

프로스포츠 산업 조직 구성원의 역량에 따른 관리자의 역할: 미국프로농구(NBA)와 한국프로농구(KBL)의 감독과 선수단 전력 수준에 관한 실증연구 분석 (The Effects of Manager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NBA and KBL Teams: The Moderating Role of Player Capabilities)

  • 정태성;김필수;이상현;이상범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6호
    • /
    • pp.195-208
    • /
    • 2022
  • 벤처기업 CEO의 본질적인 역량과 역할은 관리자로서 조직의 자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하는가에 달려있으며, 자원의 효율적 운영은 조직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CEO의 역량, 벤처기업 자원의 효율적 운영, 조직성과, 구성원의 역량 간에 어떤 관계가 존재하는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프로스포츠 산업 조직 구성원의 역량에 따른 관리자의 감독역할에 대해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의 이론과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을 프로스포츠 산업에 접목하여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벤처기업 CEO와 프로스포츠 감독의 역할이 조직구조와 성과 메커니즘의 측면에서 매우 흡사하며 조직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성과를 도출하는 측면에서 모두 기업가(entrepreneur)적 특성을 반드시 내재해야 한다고 본다. 프로스포츠팀 관리자로서의 감독역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의 자원 효율성의 매개효과와 조직 구성원 역량에 대한 조절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미국프로농구(NBA) 30개 구단과 한국프로농구(KBL) 10개 구단의 9개 시즌(2013~2014시즌 - 2021~2022시즌)의 감독과 팀 데이터의 실증분석 실행에 있어 프로세스 매크로 58 모형을 적용하여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미국프로농구와 한국프로농구 데이터 모두에서 (1) 프로농구팀의 자원 효율성은 감독의 역량과 승률 간의 정(+)의 관계를 매개하고, (2) 조직 구성원의 역량은 농구팀의 자원 효율성을 통한 감독역량이 승률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조절(p<.05)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적 객관적이면서도 정확하게 조직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프로스포츠 데이터를 활용하여 프로스포츠 산업에서 벤처기업의 CEO와 유사한 기업가적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감독 및 조직 구성원의 역량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한편, 스포츠산업 분야와 경영학 연구를 융합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포지션별 농구용 휠체어가 추진동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ree basketball wheelchairs on propulsion movement)

  • 임비오;유연주;서정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5-227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 휠체어 농구 선수 8명을 대상으로 추진 및 방향전환 동작의 소요시간 측정 및 운동학적 분석을 통하여 포지션별 농구용 휠체어가 추진동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포지션별(포드, 센타, 가드) 휠체어의 한 주기(핸드림 접촉에서 다음 핸드림 접촉까지)를 2차원 DLT 방식을 이용하여 구하고자 하는 변인을 산출하였다. 가드용 휠체어는 직선 구간 및 방향전환 구간 모두에서 가장 빠르게 나타났으며, 센타용 휠체어는 방향전환 구간에서 제일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 속도가 가장 빠른 가드용 휠체어는 손이 TDC(Top Dead Center)에 더 가깝게 접촉하며, 더 오랫동안 핸드림에 힘을 가해서 추진하며, 분당 추진빈도는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센타용 휠체어는 손이 TDC에서 가장 멀리 접촉하며, 가장 짧은 범위에서 핸드림에 힘을 가해서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드용 휠체어는 핸드림 접촉시 팔꿈치를 가장 많이 굽히고 몸통을 가장 많이 세우며, 센타용 휠체어는 핸드림 접촉시 팔꿈치를 가장 많이 펴고 몸통을 많이 굽히며 핸드림 이지시 가드용 휠체어에 비해 팔꿈치를 많이 펴는 것으로 나타났다. 휠체어 추진시 좌석의 높이가 가장 낮은 가드용 휠체어는 포드용 및 센타용 휠체어보다 팔꿈치 및 몸통각의 범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몸통 최대 각속도에서 가드용 휠체어는 다른 휠체어와 비교해서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지역주민의 학교시설 이용현황에 관한 기초적 연구 -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ffer present condition of School Facilities for Local Residents - Focused on Suseong Gu in Daegu City -)

  • 서희숙;이상홍
    • 교육시설
    • /
    • 제13권3호
    • /
    • pp.6-16
    • /
    • 2006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on offer present condition of School Facilities for Local Residents in Daegu City. This study made progress within the scope of twenty-four public schools excepting one private school and five schools refused request. but opening present condition of the equipment was stopping in negative opening more than thing that is seen in present condition(to be a hall, a computer, swimming pool, physical education market, clearinghouse, art thread, library, language study thread) of two locals that show in old research. As result that diagnose this research, The school facilities open every schools excepting three schools could not open on account of establishment of sprinkler, residents protest about noise, small playground. The opening equipment was limited the playground, hall, basketball court, Badminton court, parking lot, classroom, library. And The use present condition was used by parking, walk, jogging and light exercise, basketball, badminton, state examination, sports meeting, books inspection, early stage soccer. When local residents require equipment use, it is not negative attitude in school but have active carriage. and Must consider plan that raise practical use degree so that can use school equipment.

홈팀의 이점을 고려한 KBL 2006-2007 시즌 경기력 평가 (The Rating of Korean Basketball League Teams in 2006-2007 Season: Taking Account of Home-Court Advantage)

  • 이승천;변종석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5권5호
    • /
    • pp.687-695
    • /
    • 2008
  • 홈/원정 방식으로 치러지는 스포츠 리그에서 일반적으로 홈팀의 승률이 50%가 넘는 현상에 대해 Courneya와 Carron (1992)은 홈팀의 이점(home advantage)이라는 용어로 설명하고 있다. 오늘날 스포츠 경기에서 홈팀의 이점은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드려지고 있어 팀의 경기력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홈팀의 이점을 고려한 선형모형과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KBL 2006-2007 시즌에서 각 팀의 경기력을 평가하였다.

트레이닝 기간 중 사군자탕 섭취가 Ammonia와 IGF-I 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gungaTang Ingestion on Ammonia and IGF-I During Training Period)

  • 민범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223-229
    • /
    • 2005
  • 강한 체력과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농구경기는 휴식시간중 보다 빠른 피로회복과 큰 신장이 경기의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수들이 도핑의 위험성이 없고 우수한 효과의 ergogenic aids를 알아보고자 하계훈련기간중 사군자탕의 섭취가 피로 유발물질인 ammonia 농도의 변화와 성장에 관련 있는 IGF-I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고교 농구선수에게 6주간 사군자탕을 섭취시킨 결과 ammonia는 섭취기간에 따른 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섭취 기간에 따른 안정시 IGF-I의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p<.01)를 나타내 사군자탕이 경기 중 피로회복과 선수들의 성장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각적 자극 속도에 대한 농구패스 유형이 예측 타이밍 수행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 (The Convergence Effects of Visual Stimulus Velocity and Basketball Pass Types on Anticipation Timing Performance)

  • 홍승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325-332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리시버의 움직임을 모사한 불빛자극의 이동속도와 농구 패스 유형에 따라 예측 타이밍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실험을 위해 10명의 대학생에게 세 가지 이동속도를 무선으로 제시한 후 불빛자극이 목표지점에 도착하는 시점과 일치되게 체스트 패스와 바운드 패스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실험과제는 패스 유형별로 각 속도조건 당 4회씩 수행하여 총 24회가 무선으로 제시되었으며, 매 시행마다 항상오차, 절대오차 그리고 가변오차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시간오차는 가속조건일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체스트패스가 바운드패스에 비해 타이밍의 정확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 자극의 이동속도와 농구패스의 유형이 패스의 예측 타이밍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8주간의 경쟁운동 프로그램이 게임과몰입 청소년의 기초체력과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 8-Week Competitive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Game-addicted Adolescent)

  • 최승준
    • PNF and Movement
    • /
    • 제15권3호
    • /
    • pp.281-29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n 8-week competitive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psychological variables, and video-game playtime in game-addicted adolescents. Methods: All subjects were screened by a game behavior diagnosis scale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7 game-addicted, male adolescents ($16{\pm}2$ yrs of age)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subjects were informed of the study's purpose, procedures, and risks, and a consent form was obtained from each subject. The 8-week soccer and basketball exercise program included twice-weekly sessions of 120 minutes per session. All data were presented as $mean{\pm}SE$, and the variables were analyzed with a paired t-test. Results: Following the 8-week intervention,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grip strengt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pproximately 17 and 7%, respectively [p<0.05]).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flexibility, vertical jump, and zigzag-run, all variables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Anxiety levels changed from a mild anxiety state to a normal state, and depression levels also altered from moderate to a normal state. The video-game playtime was reduced about 20% during weekends and vacation periods. Conclusion: Given these combined results, 8 weeks of regular participation in competitive exercise (soccer/basketball) may contribute to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fitness, psychological variables, and video-game playtime in computer-game addicted adolescents.

군부대에서 신체활동시 병사의 상해 유형과 원인 비교 분석 (Comparison of Pattern and Cause of Activity Injury in Military Service)

  • 조병준;김학수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7-146
    • /
    • 2005
  • This research focused on studying the phenomena of activity injuries occurred in military service, the object of which is soldiering soldiers in army. I made a inquiry paper including 6 items such as injury frequency, athletic event when you are injured, injury pattern, injury part in body and injury time according to military classes, and distributed it to elected 421 soldiers, the number of which is the total number of injured soldiers having time for physical activities in a year(last 2002 yea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Injury frequency was according to private middle classes, private second classes, private last classes, private first classes. Second, Athletic event when you are injured was according to soccer, basketball, running and Martial Art(Taekwondo). 1) An abrasion was the most injury pattern when playing soccer. 2) A sprain was the most injury pattern when playing basketball. Third, Most causes of injuries dued to his / her carelessness, which is his / her excessive greed to win. Fourth, The most injury pattern was a skin abrasion. Fifth, The most injury part in body was a leg. Sixth, There was the most injury in summer. Wednesday on week, especially afternoon when you have time for physical to improve your battle-power.

  • PDF

인공환경 분포방식에 의한 공간크기 인지 변화에 대한 연구 - 대학 캠퍼스 내 공간의 실제크기와 인지크기의 차이를 중심으로 - (Distortion of Spatial Size Perception by the Pattern of Object Distribution - Focused on the Floor-area Estimation of the Spaces in the Campus by Students -)

  • 서경욱
    • KIEAE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75-80
    • /
    • 2014
  • An attempt has been made to prove the so-called 'feature accumulation theory'. It is the theory describing that people tend to feel the same space with more identifiable objects much larger than that with fewer objects. Applying this theory to our cognition of spatial size, this paper made an experiment. Students were asked that if the lecture room they are sitting becomes a module (module 1), then how large are the questioned spaces in the campus. The result was striking. Through the mental image processing, they answered that the library and the architecture building looks much smaller than they actually are, and more surprisingly the basketball field much more smaller than it really is. This experiment shows that there is a strong tendency by which people regard the space much larger when there are more occupiable or behavior-causing elements in the space. In the case of basketball field, since there is nothing that can be occupied, this open space is seen as a small space for the subjects. This line of cognitive perception can be applied to the practice of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With the same size of given space, we can make it feel more rich and lar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