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nded Gneis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5초

대홍활석광상 주위의 편마암류의 지화학적 특징과 공존광물의 화학적 평형

  • 이상헌;최기주
    • 암석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8-155
    • /
    • 1994
  • 대홍활석광상의 주위에 넓게 발달하고 있는 화강암질편마암내에는 호상편마암이 잔류되어 있으며 이들은 녹색편암상과 녹염석-앰피볼라이트상에 해당되는 2회에 걸친 광역변성작용과 이에 수반된 화강암화작용에 의하여 규질-알루미나(silico-aluminous) 암석으로부터 형성된 동일기원의 변성암이다. 이들 편마암류의 주구성광물은 화강암질편마암에 다량 산출되는 퍼어사이트를 제외하고는 거의 동일하다. 즉 화강암질편마암내에도 2회에 걸친 광역변성작용에 의해 형성된 광물군집이 잔규되어 있다. 이 암석들의 주구성광물중 흑운모, 백운모 및 녹니석의 화학조성은 암석의 전체화학조성, 기원광물의 화학조성, 그리고 변성 및 변질작용 등의 환경에 의하여 규제되어졌다. 이들중 공존하는 광물들 사이에는 화학적평형이 잘 이루어져 있어 광역변성작용이 대체로 안정된 조건하에서 진행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공존하는 흑운모와 백운모의 화학조성은 처마카이트(tschermakitic)와 펜자이트(phengitic) 치환에 의하여 조절되어졌다. 녹니석은 변질작용이나 화강암화작용에 의하여 주로 흑운모나 백운모로부터 생성되었으며 산상에 관계없이 화학조성은 비슷하다. 변성암류에 발달된 엽리와 절리, 그리고 석영맥의 방향성을 등적투영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절리와 석영맥은 거의 일치하고 있어 열수용액은 주로 절리를 따라 도입된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경기 동부 지역 편마암복합체내의 일축압축강도와 점하중강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Point Load Strength within the Gneiss Complex in Gyunggi Province)

  • 차아름;송준호;최현석;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21-26
    • /
    • 2007
  • 터널이나 지하굴착의 설계와 시공에서 암석의 강도평가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암석의 일축압축강도시험(UCST)를 실시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며 시험개수에도 제한을 받는다. 이 방법을 보완하기 위한 시험법으로 제시된 것이 점하중강도 시험(PLST)이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지역과 암종에 따른 구분없이 점하중강도 지수를 통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강도를 유추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 편마암복합체내 일축압축강도와 점하중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시공현장에서 사용하는 식에 대한 값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경기도 광주시 일대의 지질구조와 변형사 (Geological Structure and Deformation History in the Gwangju area, Gyeonggi-do, Korea)

  • 이희권;김만광
    • 암석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8-115
    • /
    • 2005
  • 경기육괴 중앙부의 광주시 일대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의 경기편마암 복합체는 흑운모호상 편마암 및 석영장석질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질구조 분석결과 연구지역은 적어도 다섯 번의 변형작용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첫 번째 변성작용(M1) 및 변형작용(Dl)중에 퇴적암(층리; S0)이 변성되어 흑운모호상 편마암으로 되었으며, 성분엽리(S1)가 발달되었다. 심성암이 관입 후 두 번째 변성작용(M2) 및 변형작용(D2)이 일어났으며, 이때 심성암이 엽리(S2)가 발달된 석영장석질 편마암으로 변하였다. 세 번째 변형작용(D3) 중에 수십 cm 규모의 밀착습곡 및 등사습곡(F3)이 발달하였으며, 축면방향으로 성분엽리(S3)가 발달하였다. 변위작용에 의해 뿌리 없는 습곡(F3)이 S3 엽리와 평행하게 발달되어 있다. 네 번째 변형작용(D4) 중에 남북방향의 압축력에 의해 약 100m의 축면분리를 가지는 F4 습곡이 동서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다섯 번째 변형작용 중에 동서 방향의 압축력에 의해 축면분리가 약 3km 규모의 남북 방향의 F5 습곡이 발달하였다. F5 습곡의 중심부에서는 F4 습곡에 F5 습곡작용이 중첩되어 F5 습곡의 습곡축면과 평행한 남북방향으로 F4 습곡이 발달되어 있으며 날개 사잇각 및 축면분리가 작아졌다. 반면에 F5 습곡의 서쪽 날개 지역에서는 북동방향으로, 동쪽 날개 지역에서는 북서방향으로 F4 습곡이 회전되었다. 연구지역에 발달되어 있는 엽리의 궤적은 주로 F4 습곡 및 F5 습곡에 의해 지배되어 있다. F4 습곡작용 동안에 취성변형작용에 의해 절리 및 단층이 발달하였으며 F5 습곡의 양쪽 날개부에는 부채꼴 절리가 우세하게 발달하고, 힌지대에는 be-절리가 우세하게 발달하였다 그 이후에 북서 방향의 주향이동 단층이 지질도 규모로 발달하였다. 제4기 동안에 발생한 산사태가 일부 절리 및 엽리의 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약 $15^{\circ}$ 회전시켰다.

근접시공에 대한 수로터널 지반조사 및 안정성 분석 (Site Investigation and stability analysis for water tunnel being neighboring construction)

  • 전제성;김기영;이상덕;김두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지반공학 공동 학술발표회
    • /
    • pp.550-555
    • /
    • 2005
  • In vicinity of Seoul, there has been water service tunnel that classified into 1st grade facility by special act for the safety control of public structures and with providing capacity equals to $1,543{\times}10^3$(ton/day) and inner pressure equals to $2.5-3.5kg/cm^2$. In this research, site investigation and stability analysis for water tunnel caused by new construction of road tunnel were carried out. the ground near water tunnel were zoned into spatial area having similar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estimating geotechnical properties for each area. The site for analysis consists of banded biotite gneiss, biotite schist and granite gneiss with spatial non-homogeneity, and for that reason weathering and fault zone were distributed with large scale. It's important thing to consider spatial ground zone and their geotechnical properties properly into stability analysis at design and construction stage. Also, using results of site investigation, stability of existing tunnel have been analyzed for Hydraulic Fracture/Jacking and deformation in detail.

  • PDF

기반암에 따른 토양가스 222Rn농도의 분포에 관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Soil-Gas 222Rn Concentrations Depending on Different Bedrock Geology)

  • 제현국;강치구;전효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31권5호
    • /
    • pp.415-424
    • /
    • 1998
  • In order to investigate soil-gas $^{222}Rn$ concentrations, Kwanak Campus (Seoul National University), Boeun (Choong-buk) and Gapyung (Kyonggi) area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depending on their base rock types. Radon risk indices of these study areas decrease in the order of Gapyung>Kwanak Campus>Boeun areas, and in the order of rock type as banded gneiss>granite gneiss>granite>black slate-shale>mica schist>shale-lirnestone>phyllite-schist. Radon emanating trends with water content and grain size of soils were assessed by modified Morse 3 min. method. Radon emanation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water content in soils which is lower than 6~16 wt.%, and decreases in the range of higher than 6-16 wt. %. It shows that Rn emanation increases with the decrease of soil grain size. Radioactivity analysis of radionuclides of 238U series in some soil samples shows that radioactive disequilibrium state between $^{226}Ra$ and $^{238}U$ exists owing to different geochemical behavior of each radionuclide, an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adioactive isotope geochemical approach for soil-gas $^{222}Rn$ study.

  • PDF

충북-충남-대전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및 암종별 분포율 (Areal Distribution Ratios of the Constituent Rocks with the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in the Chungbug-Chungnam-Daejeon Areas)

  • 윤현수;이진영;양동윤;홍세선
    • 암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91-205
    • /
    • 2008
  • 암석자원의 산업화, 각종 부지확장과 개발 계획 시에 지질정보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충북, 충남과 대전지역에서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분포율을 ArcGIS 9.2, 1 대 250,000 수치지질도 및 수치지형도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충북지역은 모두 64개의 구성암류가 발달하며 8개의 지질시대로 대분될 수 있다. 시대별로는 쥬라기, 선캠브리아기, 시대미상, 백악기, 제4기, 캠브로-오도비스기, 석탄기-삼첩기 등의 순으로 분포율이 감소하며, 이들이 도합 98.48%를 가져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구성암류는 대보화강암, 경기편마암복합체내 호상편마암, 백악기의 흑운모화강암, 충적층, 대석회암층군, 옥천층군내 하부 천매암대와 변성사질암대 청산화강암, 경기편마암복합체내 화강암질 편마암, 옥천층군내 함력 천매암대 그리 소백산편마암복합체내 흑운모편마암의 순으로 그 분포율이 감소한다. 이들 암류는 도합 84.27%의 우세한 분포율을 차지한다. 충남지역은 모두 35개의 구성암류가 발달하며 6개의 지질시대로 대분될 수 있다. 시대별로는 선캠브리아기, 쥬라기와 제4기 등의 순으로 그 분포율이 감소하며, 이들이 도합 87.55%의 우세한 값을 차지한다. 구성암류는 대보화강암, 경기편마암복합체내 호상편마암, 충적층, 경기편마암복합체내 화강편마암과 화강암질 편마암, 산성암맥류, 옥천층군의 하부천매암대 그리고 매립지의 순으로 그 분포율이 감소하며, 이들이 도합 74.28%를 차지한다. 대전지역은 모두 11개의 구성암류가 발달하며 5개의 지질시대로 대분될 수 있다. 시대별로는 쥬라기, 시대미상, 제4기 등의 순으로 그 분포율이 감소하며, 이들은 도합 93.40%를 이루어 대부분을 차지한다. 구성암류는 대보화강암, 충적층, 옥천층군의 하부천매암대와 함력친매암대, 산성암맥류의 순으로 감소하며, 이들이 도합 91.09%에 해당하여 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구봉광산(九峯鑛山)의 지질(地質)과 광상(鑛床) (Geology and Ore Deposits of Kubong Gold Mine)

  • 전찬규;오민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권3호
    • /
    • pp.169-176
    • /
    • 1970
  • Kubong Gold Mine is located in Kuryongri, Sayang-myun, Chungyang-gun, Choongchung-Namdo.(latitude $36^{\circ}24^{\prime}N$. longitude $126^{\circ}45^{\prime}30^{{\prime}{\prime}}E$) The mine was begun to work soon after the inhabitants of this village had accidently discovered the outcrops in April 1908. It is one of the largest gold mines in Korea which produces 4,500 tons of crude ore a month. The geology in the area consists of granitic gneiss, banded gneiss, augen-gneiss, mica schist, limesilicate of Pre-Cambrian series and sedimentary rocks(sandstones & conglomerates) of Daedong series. Basic dikes intrude the former formations. The country rock of the ore deposit is a group of the metamorphic rocks mentioned above. Gold-silver bearing quartz vein contains small amounts of pyrite, chalcopyrite, arsenopyrite, galena and sphalerite in which gold and silver occur as native state. The vein strikes $N30^{\circ}{\sim}60^{\circ}E$ and dips $20^{\circ}{\sim}50^{\circ}S$ and the average width of the vein is estimated 1 to 1.5m. Average grade of ore is Au:6~8gr/t and Ag:5~6gr/t. The ore shoot continues from the outcrop to the depth of -1760ML with dip of $20{\sim}25^{\circ}$ and strike extension reaches to 400m at the depth of -1440 ML and to more or less 200m at below. Highgrade of ore vein was found at the lowest level of the ore shoot at the time of recent field survey at the end of August 1970. Its average grade was estimated as Au:20gr/t and its width 1~2.5M in average. A series of futher prospecting for other new ore shoot or parallel veins are urgent and crosscut prospecting along the horizontal level is strongly recommended.

  • PDF

옥천대(沃川帶)의 지질(地質) 및 광물자원(鑛物資源)에 관(關)한 연구(硏究) -평창(平昌)~제천간(堤川間)에 분포(分布)하는 옥천대하부(沃川帶下部)와 기반(基盤)의 암상(岩相) 및 화성(火成) 관입체(貫入體)의 암질(岩質)에 대(對)한 연구(硏究)- (Petrologic Study on the Basement and the Lower Part of Ogcheon Zone and Igneous Intrusives in the Pyeongchang-Jecheon Area)

  • 이대성;나기창;김용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4호
    • /
    • pp.381-397
    • /
    • 1985
  • A petrological study has been done in the pyeongchang-Jaecheon area which is a northwestern part of the basement of Ogcheon zone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of the area to the Nogjeon-Yeongchun area which is the antipodal basement of the zone in the petrological and geotectonical view points. The major units of the area are Precambrian granitic gneissic complex, banded gneiss, linea ted leucocratic gneiss and pegmatitic leucogranitic gneiss in the west, elongated exposure of quartz schist (or partly quartzite) and phyllite, named as Jungdaegal-bong Group correlated to the lower sequence of Joseon Group, in the middle, and limestone and calcic dolomite, Iptanri Formation, correlated to the middle of Joseon Group in the east. Igneous plutons are distributed in the areas of gneissic complex and limestone formation as well as in the Eosangcheon and Daedaeri areas in the southeastern out of the area. Present study reveals that the gneissic complex are the products of granitization to metamorphism of amphibolite facies in the order of above mentioned from the metasediments of schists and calcareous rocks. A notable characteristics of the phyllite of Jungdaegal-bong Group is the presence of syntectonically segregated quartz rods in the forms of lens, swirl or boudinage in evenly distributed in the phyllitic to chloritic matrix. Igneous rocks range in composition from gabbro through diorite, granodiorite, to schistosed and porphyritic granites in stock and dike. The orogenic movement of the Ogcheon zone initiated in the middle Proterozoic time, pre-sedimentation of Ogcheon Group and superposed the granitization in Permian, Jurassic Daebo orogeny with granitic batholiths and stocks, and Cretaceous plutonic intrusion.

  • PDF

홍제사 화강암과 주변 변성퇴적암류의 변성작용 (한국 북동부지역의 원생대의 화성활동과 변성작용) (Metamorphism of the Hongjesa granite and the adjacent metasedimentary rocks(Magmatism and metamorphism of the Proterozoic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 Jeongmin Kim;Moonsup Cho;Hyung Shik Kim
    • 암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4-108
    • /
    • 1994
  • 소백산육괴 북동부지역의 변성 진화과정을 밝히는 작업의 일환으로, 선캠브리아 홍제사화강압 및 율리층군과 현동 편마암복합체를 연구하였다. 홍제사 화강암은 650-$700^{\circ}C$$3{\pm}1$ kbar에서 관입하였으며, 310-$568^{\circ}C$ 에서 변질작용을 받았다. 변질과정 중에 흑운모의 녹니석화 작용 뿐만 아니라 사장석의 견운모화 및 소수라이트화 작용이 일어났다. 홍제사 화강암 내의 흑운모는 마가마 고결 이후 이팔면체(dictahedral) 치환과 처마카이트(tschermakite) 치환에 의해 Al, Fe와 Mg 양이 변한다. 이차 백운모는 처마카이트 치환과 삼팔면체(trioctahedral) 치환에 의해 Si와 (Mg+F2) 양이 증가한다. 현동 편마암 복합체의변성 압력, 온도조건은 593-$718^{\circ}C$, 3.6-6.6 kbar이다. 근청석을 포함하는 광물조합을 형성시킨 혼성암화 작용이 현동 편마암복합체 내에서 국부적으로 관찰되다. 호상편마암 내의 흑운모+석류석+사장석+석영의 광물 조합에 대해 깁스(Gibbs)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현동 편마암복합체가복잡한 온도-압력 진화과정을 겪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고양시 고봉산에 발달한 소규모 습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ll Gobong Wetlands in Goyang City)

  • 문현숙
    • 동굴
    • /
    • 제67호
    • /
    • pp.43-51
    • /
    • 2005
  • 본 연구는 수문지형학적 관점에서 고봉동습지를 연구하였다. 고봉산의 남서쪽에 위치한 습지는 산지의 개석과 심층풍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곳이다. 지질적으로는 호상편마암에 속하는 지역이다. 3개 사면으로 부터 지하수 및 지표수를 공급받으며, 습지수원의 대부분은 지하수이다. 습지 지역은 지하수면과 가까이 발달하고 있다. 토양적 조건은 습지 발달에 유리하다. 장석과 운모의 점토광물화로 인하여 습지수의 저류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