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mall Gobong Wetlands in Goyang City

고양시 고봉산에 발달한 소규모 습지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is study on Gobongdond Wetlands have hydrogeomorpholosic charateristics in the southern-west of Gogongsan. This study area have been dissected and deep weathered. in geology, this area show banded gneiss consisting of alternated felsis and mafic layers. in geomorphology this area have 3 slope that surplyed the surface water and ground water, but have a little water source by surface water. The most of Gobongdong wetland's water sources are aquifer or confined aquifer, so this wetlands have many seepages or discharges. The characteristics of Soil have retained the wetland's water. Deep weathering made the parents soil into clay minerals.(siallitization) This clay minerals have a high water table.

본 연구는 수문지형학적 관점에서 고봉동습지를 연구하였다. 고봉산의 남서쪽에 위치한 습지는 산지의 개석과 심층풍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곳이다. 지질적으로는 호상편마암에 속하는 지역이다. 3개 사면으로 부터 지하수 및 지표수를 공급받으며, 습지수원의 대부분은 지하수이다. 습지 지역은 지하수면과 가까이 발달하고 있다. 토양적 조건은 습지 발달에 유리하다. 장석과 운모의 점토광물화로 인하여 습지수의 저류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Mitsch, W. J. & Gosselink, J. G.,1986, Wetland Van Nostrand Reinhold, p.3
  2.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1999/10
  3. 국가지 하수정보센터 (http://www.gims.go.kr)의 groundwater atlas 참조
  4. 과학기술부, 1999, 서울-남천점 지질도폭(1:250,000), 한국자원연구소
  5. 과학기술부, 1999, 서울-남천점 지질도폭(1:250,000), 한국자원연구소, pp.14-18
  6. 문현숙, 2004, 수원 칠보산 습지의 수문지형학적 연구, 동굴학회지 제63호, p.48
  7. Ralph W. Tiner, 1999, Wetland Indicators, Lewis Publishers, pp.272-296
  8. Soki Yamamoto, 1998, 지하수수문학, 김남형 역, 원기술, p.63
  9. 농업기반공사, 2004,, 한국의 지질과 지하수, http://www.gims.go.kr/gims/pds/gs_pds_artic1e/gs_pds _artic1e_2_10_233_1.pdf
  10. D.E.Stephenson & D.B.Hodgson, 1996, Root Zone Moisture Gradients Adjacent to a Cedar Swampt in Southern Ontario, Wetland, pp.79-90
  11. 조선형, 고종안, 2002, 지하수 어떻게 할 것인가, 북스힐, pp. 31-38
  12. Ralph W. Tiner, 1999, Wetland Indicators, Lewis Publishers, pp.129-131
  13. Peter W. Birkeland, 1984, Soils and Geomorp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pp.107-109
  14. Peter W. Birkeland, 1984, Soils and Geomorp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p.78
  15. 윤충경, 권태영, 우선호, 1999, 오수처리용 인공습지내 토양의 잉화학적 특성조사, 농촌계획, 제5권 제2호, p.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