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eal Distribution Ratios of the Constituent Rocks with the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in the Chungbug-Chungnam-Daejeon Areas

충북-충남-대전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및 암종별 분포율

  • Yun, Hyun-Soo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Lee, Jin-Young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Yang, Dong-Yoon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Hong, Sei-Sun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윤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In order to use the geologic information data such as industrialization of rock resources, site enlargement and development planning, distributive ratios of rock types and geologic ages were obtained by the ArcGIS 9.2 program, and digital geologic and geographic maps of 1:250,000 scale, in the Chungbug, Chungnam and Daejeon areas, respectively. In the Chungbug area, 64 rock kinds are developed and their geologic ages can be classified into 8 large groups. In the geologic ages, the ratio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Jurassic, Precambrian, Age-unknown, Cretaceous, Quaternary, Cambro-Ordovician and Carboniferous-Triassic ages, all of which comprise most ratios of 98.48% in the area. In the rock types, the ratios show the decreasing order of Jurassic Daebo granite, Precambrian banded gneiss of Gyeonggi metamorphic complex, Cretaceous biotite granite, Quaternary alluvium, Great limestone group, Lower phyllite zone and Meta-sandy rock zone of age-unknown Ogcheon group, Triassic Cheongsan granite, Precambrian granitic gneiss of Gyeonggi gneiss complex, Pebble bearing phyllite zone of age-unknown Ogcheon group and biotite gneiss of Sobaegsan metamorphic complex, all of which comprise the prevailing ratio of 84.27% in the area. In the Chungnam area, 35 rock types are developed and their geologic ages can be classified into 6 large groups. In the geologic ages, the ratio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Precambrian, Jurassic and Quaternary ages, which occupy the prevailing ratio of 87.55% in the area. In the rock types, the ratios show the decreasing order of Jurassic Daebo granite, Precambrian banded gneiss of Gyeonggi metamorphic complex, Quaternary alluvium, Precambrian granite and granitic gneiss of Gyeonggi gneiss complex, Cretaceous acidic dykes, Lower phyllite zone and Pebble bearing phyllite zone of age-unknown Ogcheon group and Quaternary reclaimed land, which occupy the ratios of 74.28% in the area. In the Daejeon area, 11 rock types are developed and their geologic ages can be classified into 5 large groups. In the ages, the ratio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Jurassic, Age-unknown and Quaternary, which occupy most ratios of 93.40% in the area. In the rock types, the ratios show the decreasing order of Jurassic Daebo granite, Quaternary alluvium and Lower phyllite zone and Pebble bearing phyllite zone of age-unknown Ogcheon group, which occupy the prevailing ratios of 91.09% in the area.

암석자원의 산업화, 각종 부지확장과 개발 계획 시에 지질정보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충북, 충남과 대전지역에서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분포율을 ArcGIS 9.2, 1 대 250,000 수치지질도 및 수치지형도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충북지역은 모두 64개의 구성암류가 발달하며 8개의 지질시대로 대분될 수 있다. 시대별로는 쥬라기, 선캠브리아기, 시대미상, 백악기, 제4기, 캠브로-오도비스기, 석탄기-삼첩기 등의 순으로 분포율이 감소하며, 이들이 도합 98.48%를 가져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구성암류는 대보화강암, 경기편마암복합체내 호상편마암, 백악기의 흑운모화강암, 충적층, 대석회암층군, 옥천층군내 하부 천매암대와 변성사질암대 청산화강암, 경기편마암복합체내 화강암질 편마암, 옥천층군내 함력 천매암대 그리 소백산편마암복합체내 흑운모편마암의 순으로 그 분포율이 감소한다. 이들 암류는 도합 84.27%의 우세한 분포율을 차지한다. 충남지역은 모두 35개의 구성암류가 발달하며 6개의 지질시대로 대분될 수 있다. 시대별로는 선캠브리아기, 쥬라기와 제4기 등의 순으로 그 분포율이 감소하며, 이들이 도합 87.55%의 우세한 값을 차지한다. 구성암류는 대보화강암, 경기편마암복합체내 호상편마암, 충적층, 경기편마암복합체내 화강편마암과 화강암질 편마암, 산성암맥류, 옥천층군의 하부천매암대 그리고 매립지의 순으로 그 분포율이 감소하며, 이들이 도합 74.28%를 차지한다. 대전지역은 모두 11개의 구성암류가 발달하며 5개의 지질시대로 대분될 수 있다. 시대별로는 쥬라기, 시대미상, 제4기 등의 순으로 그 분포율이 감소하며, 이들은 도합 93.40%를 이루어 대부분을 차지한다. 구성암류는 대보화강암, 충적층, 옥천층군의 하부천매암대와 함력친매암대, 산성암맥류의 순으로 감소하며, 이들이 도합 91.09%에 해당하여 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진, 좌용주, 이찬희, 도진영, 조일원, 2006, 감은사지삼 층석탑(서탑) 강화처리제 선정 및 신석 제작용 석재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18p
  2. 김사덕, 김순관, 김창석, 홍정기, 강대일, 이명희, 1999, 석 조문화재 에폭시수지 개발 시험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 20, 139-155
  3. 엄두성, 김사덕, 홍정기, 강대일, 이명희, 1999, 석조문화재 발수경화제 시험연구(I).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 20, 155-173
  4. 이상헌, 1996, 감은사지 삼층석탑(동탑)과 나원리 5층 석탑 의 암석과 풍화현상의 특징에 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5, 41-68
  5.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최석원, 김만갑, 2004, 감은사지 서 탑의 풍화훼손도 진단 및 석재의 산지추정. 자원환경지질, 37, 569-583
  6. 좌용주, 김건기, 고석백, 김종선, 2006, 감은사지삼층석탑(서 탑)에 사용된 석재 공급지에 대한 연구. 암석학회지, 15,128-138
  7. Peltier, L., 1950, The geographic cycle in periglacial regions as it is related to climatic geomorphology. Ann. Assoc. Amer. Geog., 40, 214-236 https://doi.org/10.1080/00045605009352070
  8. Yamada, T., Aoki, H., Takahashi, M. and Matsukura, Y., 2005, Effect of rock properties on rates of salt weathering: A laboratory experiment.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46, 72-78 https://doi.org/10.5110/jjseg.4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