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홍활석광상 주위의 편마암류의 지화학적 특징과 공존광물의 화학적 평형

  • 이상헌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 최기주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Published : 1994.09.01

Abstract

Granitic gneiss containing biotite banded gneiss relict around the Daeheung talc deposit are widely distributed which were formed by regional metamorphism of both epidote-amphibolite and iater greenschist facies and granitization. They were derived from same silico-aluminous rocks of sedimentary origin. The mineral assemblages, which are common in the biotite banded gneiss, formed during regional metamorphisms, are survived in the granitic gneiss. The mineral assemblages of the latter greenschist facies may be formed retrogressively from the first epidote-amphibolite facies.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biotite, muscovite, and chlorite, the important constituents of the gneisses, were controlled by the bulk compositi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original mineral, and environment of the regional metamorphisms and granitization. The chemical equilibrium between coexisting'minerals, especially biotite and muscovite, is relatively well established, which was controlled mainly by tschermakitic and phengitic substitutions. Cholrite was formed mainly from either biotite or muscovite by retrogressive alteration or granitization, and have nearly similar chemical compositions regardless of the occurrences. The orientation trend of the foliation, joint and quartz vein developed in the gneisses was analyzed by equal area projection which the latter two show nearly identical trend in the strike and dip. This may suggest that the hydrothermal solution was introduced along joint during wet granitization.

대홍활석광상의 주위에 넓게 발달하고 있는 화강암질편마암내에는 호상편마암이 잔류되어 있으며 이들은 녹색편암상과 녹염석-앰피볼라이트상에 해당되는 2회에 걸친 광역변성작용과 이에 수반된 화강암화작용에 의하여 규질-알루미나(silico-aluminous) 암석으로부터 형성된 동일기원의 변성암이다. 이들 편마암류의 주구성광물은 화강암질편마암에 다량 산출되는 퍼어사이트를 제외하고는 거의 동일하다. 즉 화강암질편마암내에도 2회에 걸친 광역변성작용에 의해 형성된 광물군집이 잔규되어 있다. 이 암석들의 주구성광물중 흑운모, 백운모 및 녹니석의 화학조성은 암석의 전체화학조성, 기원광물의 화학조성, 그리고 변성 및 변질작용 등의 환경에 의하여 규제되어졌다. 이들중 공존하는 광물들 사이에는 화학적평형이 잘 이루어져 있어 광역변성작용이 대체로 안정된 조건하에서 진행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공존하는 흑운모와 백운모의 화학조성은 처마카이트(tschermakitic)와 펜자이트(phengitic) 치환에 의하여 조절되어졌다. 녹니석은 변질작용이나 화강암화작용에 의하여 주로 흑운모나 백운모로부터 생성되었으며 산상에 관계없이 화학조성은 비슷하다. 변성암류에 발달된 엽리와 절리, 그리고 석영맥의 방향성을 등적투영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절리와 석영맥은 거의 일치하고 있어 열수용액은 주로 절리를 따라 도입된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