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mboo products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2초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Medicinal Plants and Herbal Formulations

  • Bhatt, Lok-Ranjan;Woo, Shin-Sun;Yu, Byung-Soo;Baek, Seung-Hwa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755-759
    • /
    • 2007
  • In this study, we screened twenty four extracts of eight medicinal plants and three extracts of the commercial product for their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Ethanol and ethyl acetate extracts were found active where as aqueous extracts were little or no active. Extracts of Sophora flavescens, Salvia miltlorrhiza and Glycyrrhiza uralensis showed strong activity againsttested organisms and could be the potential antimicrobial agent. The increase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ormulations might be due to synergic effect.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activity of bamboo salt and herbal products can be enhanced by making appropriate formulations.

Mineral, Nutritional, and Phytochemical Profile, Total Phenolic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hilippine Bamboo "Bolo" Gigantochloa levis (Blanco) Merr. Leaves

  • Tongco, Jovale Vincent V.;Rodriguez, Evelyn B.;Abasolo, Willie P.;Mun, Sung Phil;Razal, Ramon 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60-63
    • /
    • 2016
  • The study is a pioneering effort to determine the mineral, nutritional, and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phenolic content and to determin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igantochloa levis (Blanco) Merr, a native bamboo species (locally known as "bolo") in the Philippines. Proximate analysis showed that air-dried G. levis leaves contain 15.8% ash, 22.6% crude protein, 1.2% crude fat, 29.3% crude fiber, and 19.7% total sugar. Phytochemical tests indicated the presence of diterpenes, triterpenes, saponins, phenols, tannins, and flavonoids in both the ethanolic and aqueous leaf extracts, while phytosterols were only detected in the ethanolic extract. Folin-Ciocalteu assay determined the total phenolic content in gallic acid equivalents (GAE) to be $85.86{\pm}3.71$ and $32.32{\pm}1.01mg\;GAE/100g$ dried sample for the ethanolic and aqueous extracts,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ic content in quercetin equivalents (QE) was $74.44{\pm}3.11$ and $29.43{\pm}0.85mg\;QE/100g$ dried sample for the ethanolic and aqueous extracts, respectively.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different solvent fractions containing varying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 was determined using the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ssay. The ethyl acetate and 1-butanol fraction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ineral analysis via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EDS) of the ash of G. levis leaves showed that Si is the major component, followed by K and Mg. These results point to the potential of G. levis leaves as a source of minerals and bioactive compounds with medicinal value.

담양산 왕대를 이용한 대나무 강화 복합보드의 제조 및 역학적 특성 평가 (I) - 대나무 스트랜드 보드의 물리적 특성 - (Mechanical Properties of Bamboo-reinforced Boards Manufactured with Phyllostachys bambusoides Growing in Damyang District (I) -- Physical Properties of Bamboo Strand Board --)

  • 소원택;박병대
    • 임산에너지
    • /
    • 제22권2호
    • /
    • pp.26-35
    • /
    • 2003
  • Bamboo strand board (BSB) was made with Phyllostachys banbusoides growing in Damyang district.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is BSB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pecific gravity of BSB was 0.63∼0.79. Specific gravity decreased slightly with the thickness and length of BSB. Moisture content of BSB manufactured was 5.8∼6.9%. The absorption ate of BSB (42∼48%)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with the thickness and length of BSB. The thickness swelling rate of BSB was 13.9∼17.0%, relatively higher than any other panel products. Thickness swelling rate increased with the thickness of BSB, showing the strand thickness influenced much more on the rate of thickness swelling of BSB than the length of strand. The 3-point bending strength of BSB was 98∼126kgf/$\textrm{cm}^2$. Bending strength of showed the tendency of increase with the increased length of BSB, but with the decreased thickness. In particular, the length of BSB showed more effect on the increase of bending strength of BSB than the thickness of BSB. The compression strength perpendicular to BSB surface was 411 ∼ 465 kgf/$\textrm{cm}^2$, and the optimal length of strand for the 1mm- and 2mm-thickness of strand was 40mm and 60mm, respectively. Compression strength paralleled to BSD was 160∼221kgf/$\textrm{cm}^2$ and the optimal length of strand for the 2mm-thickness of strand appeared to be 60mm. The present work showed that appearance, physical and mechanical strength of BSB appeared quite positive in terms of board qualities, suggesting that bamboo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production of board materials. In addition, our work showed that the crucial factor for determining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SB was the dimension of strand.

  • PDF

Influence of a Novel Mold Inhibitor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Water Repellency of Bamboo Fiber-based Composites

  • Qi, Yue;Huang, Yu-Xiang;Ma, Hong-Xia;Yu, Wen-Ji;Kim, Nam-Hun;Zhang, Ya-Hu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336-343
    • /
    • 2019
  • Effects of a novel mold inhibitor specifically for bamboo, on the properties of composite products have been confirmed in this study. The mechanical and dimensional stability properties of bamboo fiber-based composites (BFBCs) from different bamboo species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Burmanica Gamble possessed the highest values of modulus of elasticity (MOE) of 33.2 GPa, modulus of rupture (MOR) of 286.9 MPa, compressive strength of 182.6 MPa and shear strength of 24.0 MPa. By contrast, Phyllostochys heterocycla among all of species showed the lowest MOE of 16.3 GPa, MOR of 170.3 MPa and compressive strength of 128.9 MPa were the lowest among all of species. Moreover, there is a remarkable variation in the swelling and water absorption between the samples with 4 h and 28 h water immersion treatment, especially Phyllostachys iridenscens. Overal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CIT (Tebuconazole and 3(2H)-isothiazolon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with the control condition, and it would be utilized as an antimould of BFBCs manufacturing.

한국산 대나무의 항돌연변이 효과 및 대나무 코팅쌀의 간 독성 억제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and Inhibitory Effect of Hepatic Toxicity of Bamboo Extracts Coated Rice)

  • 이민자;김은영;정근옥;박건영;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79-1285
    • /
    • 2004
  • 대나무 열수 추출물의 독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을 Ames test를 통해 평가하고 이 중 맹종죽 열수 추출물을 쌀에 코팅한 맹종죽 코팅쌀의 간 독성 억제효과를 고콜레스테롤을 섭취한 NZW계 토끼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왕대, 솜대, 맹종죽, 오죽 추출물의 독성 및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 대나무 추출물을 0.25∼5.0 mg/plate 농도로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 처리하였을 때 독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대나무 추출물은 S9 mix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필요로 하지 않는 돌연변이원에 대해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나무 추출물이 MNNG 투여에 의한 돌연변이 생성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왕대, 솜대 및 맹종죽 추출물을 2.0 mg/plate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96%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다. 한편, 맹종죽 코팅쌀을 고콜레스테롤 섭취 토끼에게 16주간 급식한 결과 맹종죽 코팅쌀은 토끼의 체중감소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식이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소 증가하였고 식이효율은 HC군에 비해 HR+MR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토끼 조직의 무게에 있어서도 간 무게의 경우 HC군에 비해 HC+MR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심장, 신장, 비장 및 폐 조직의 무게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장에서의 GOT 및 GPT 농도를 관찰한 결과 맹종죽 코팅쌀이 두 효소의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여 간 보호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로써, 대나무 추출물은 독성이 없고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며 맹종죽 코팅쌀은 동물의 성장에 있어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대나무 줄기와 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Bamboo Culms and Leaves)

  • 백종원;정숙현;문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73-1078
    • /
    • 2002
  • 국산 대나무(맹종죽, 왕대, 솜대, 조릿대, 오죽) 7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천연 보존제로서의 특성 및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주요 식중독균 10종으로 시험하였는데, 모든 대나무 줄기 추출물은 각 균주에 대해 항균력을 보였으나, 잎 추출물은 줄기 추출물에 비해 약한 항균성을 보이거나 균주에 따라서는 전혀 항균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특히, Staphylococcus aureus와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하여 모든 추출물이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왕대줄기 추출물의 MIC(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는 이들 균주에 대해 각각 $10\;{\mu}L/disc,\;20\;{\mu}L/disc$ 이상의 농도에서 억제되었다. 왕대 줄기 추출물의 생육저해효과는 Staphylococcus aureus와 Streptococcus mutans의 성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들 균의 성장은 0.5% 농도일 때 억제되었고 1%일 때 완전히 억제되었다. $60,\;80,\;100^{\circ}C$에서 60분,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한 후 이들 균주에 대해 생육 저해환을 측정한 결과 상기의 모든 열처리에 의해서도 무열처리군과 비교하여 볼 때 항균력의 차이가 없어 열에 매우 안정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왕대줄기 70% 에탄올 추출물은 향후 천연보존제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나무 분말의 함량 및 입자 크기에 따른 바이오복합재의 물성 평가 (Properties Evaluation of Bio-Composite by Content and Particle Size of Bamboo Flour)

  • 이세나;이병호;김현중;김수민;엄영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310-319
    • /
    • 2009
  • 대표적인 친환경 소재인 바이오복합재(bio-composite)의 제조를 위해 기질 고분자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butylene succinate (PBS)를 그리고 충전제(filler)로는 대나무 분말(bamboo flour, BF)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F의 함량 및 입자 크기가 바이오복합재의 기계적 점탄성적 특성 및 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는데 천연충전제인 BF의 첨가에 따라 인장강도는 감소하였지만 점탄성적 및 열적 특성은 고분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또한, 소수성을 나타내는 PBS와 친수성인 BF 사이의 낮은 계면 결합이 바이오복합재의 물성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대나무숯 액상코팅제의 제조 및 특성 (Formulation of Liquid Coating Agent using Bamboo Charcoal and its Characteristics)

  • 박상범;이희영;이상민;박종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113-120
    • /
    • 2008
  • 본 연구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화학물질을 저감하고,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건축마감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대나무숯분말, 편백추출수 및 바인더를 원료로 이용하여 실내 건축마감재용 액상코팅제를 제조하였다. 편백추출수의 함유량에 따른 액상코팅제의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탈취율, 원적외선방사율, 음이온방출량, 항균성 및 실제 소요량을 조사하였다. 액상코팅제의 포름알데히드 탈취율은 60.0~98.6%, 암모니아 탈취율은 76.7~86.2%였다. 편백추출수의 혼합량이 증가함에 따라 탈취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액상코팅제의 원적외선방사율은 91.7%, 음이온 방출량은 77개/cc 였으며, 세균감소율은 99.4%로 항균력이 우수하였으나, 편백추출수의 혼합량 증가에 따른 이들 값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액상코팅제의 소요량은 스프레이건을 사용할 경우 $0.66kg/m^2$, 붓칠의 경우 $0.94kg/m^2$로 스프레이건을 이용할 경우가 더 효율적이었다.

다양한 첨가제에 의한 청국장 불쾌취 및 Bacillus cereus 증식의 억제 (Effect of various additives on reduction of unpleasant odor and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growth in cheonggukjang)

  • 정수현;박송이;정은선;김용석;문성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69-573
    • /
    • 2016
  • 청국장의 불쾌취를 줄이고 B. cereus 증식을 억제하는데 다양한 첨가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관능검사는 불쾌취와 맛에 대하여 각각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무첨가 청국장의 불쾌취 강도가 가장 높다고 평가되었으며, 소금 첨가구, 목초액 소금 첨가구, 고추씨기름 첨가구, 죽염 첨가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맛의 선호도는 고추씨기름 첨가 청국장이 다른 첨가구들보다 높았다. 각 첨가제들의 B. cereus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죽염이 다른 3개 첨가제에 비하여 그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관능검사 결과 및 B. cereus 증식 억제 효과가 좋게 나타난 죽염 첨가 청국장과 무첨가 청국장의 냄새 성분을 추출, 농축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죽염 첨가 청국장에서 오렌지 유사 향인 1-ethoxy-1-methoxy-ethane이 무첨가구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죽염을 청국장에 첨가하는 것은 차폐에 의한 청국장의 불쾌취 감소뿐만 아니라 B. cereus 증식 억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