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kfill material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5초

굴착잔토를 재활용한 지중전력구조물 급결성 유동화 뒷채움재의 최적배합비 (Optimal Mixture Contents of Accelerated Flowable Backfill Materials Using Surplus Soil for Underground Power Utilities)

  • 천선호;정상섬;이대수;조화경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지반공학 공동 학술발표회
    • /
    • pp.395-404
    • /
    • 2005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flowable backfill and search for the optimal mixture contents of it use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power utilities. flowable backfill is known as soil-cement slurry, void fill, and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CLSM). The benefits of CLSM include reduced equipment costs, faster construction, re-excavation in the future, and the ability to place material in confined spaces such as narrow parts nearly impossible for compaction or perimeter of underground power cables. The flowable slurry mixture made with 9 types of soil and 6 types of accelerated mixtures in the laboratory were evaluated for bleeding, flowability, heat resistance,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o meet the aim values of this study.

  • PDF

개착식 터널의 라이닝에 작용하는 토압경감대책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duction method of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cut-and-cover tunnel lining)

  • 김상윤;임종철;박이근;페르디난드 이 바우티스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952-957
    • /
    • 2004
  • Cut and Cover Method is generally used in shallow tunnels and tunnel entrances with thin soil cover. In this type of cons0truction, backfilling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process. In this process even though the backfill material is thoroughly compacted, compaction and self-weight due to vehicular vibration and pressure exerted by the soil cause the backfill material to undergo self-compression which leads to settlement. The settlement of the backfill material subjects the tunnel lining under excessive earth pressure which cause cracking and deformation. In the model test performed installation of geotextile on the sides and top of the tunnel was able to reduce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tunnel lining.

  • PDF

역 T 형 옹벽에 작용하는 연직토압분포 (Vertical Earth Pressure Distribution on Cantilever Retaining Wall)

  • 유남재;이명욱
    • 산업기술연구
    • /
    • 제16권
    • /
    • pp.181-189
    • /
    • 1996
  • Centrifuge model tests of cantilever retaining wall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vertical stress distribution due to selfweight of backfill material.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to find the effect of arching action on vertical stress distribution by changing the roughness of rigid boundary slope and the distance between retaining wall and boudary slope. A reduced scale model of cantilever retaining wall was made with concrete and Jumunjin Standary Sand with 80 % of relative density was used as foundation and backfill material. Centrifuge tests were performed by increasing g-level up to 40 g with measuring vertical stress induced by selfweight of backfill material. Test results on vertical stress distribution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results of Silo theory.

  • PDF

지중송전관로 되메움재의 종류에 따른 열 소산 효과의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among Effect of Thermal Dissipation of Backfill Materials for Underground Power Cables)

  • 김유성;박영준;조대성;김재홍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83-92
    • /
    • 2013
  • 지중송전관로를 통한 송전용량 증대를 위해서는 송전 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소산시킬 수 있도록 습윤 시 $50^{\circ}C$-cm/Watt, 건조 시 $100^{\circ}C$-cm/Watt 이하의 열 저항률을 갖는 재료를 되메움재로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는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 소산 되메움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개발된 열 소산 되메움재의 열 소산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회선의 단면을 현장에 설치하고 개발된 열 소산 되메움재와 강모래, 현장토에 대하여 열을 직접 가하고 일정한 지점에서 온도를 측정함으로서 현장시험을 수행하였고, 시험결과와 유한요소해석과의 비교를 통해 열 소산효과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열원과 가까운 지점에서는 개발된 열 소산 되메움재가 강모래와 현장토에 비해 열평형상태에 빨리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평형에 도달하는 온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열 소산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지점에서도 개발된 되메움재가 다른 재료보다 온도가 높아 열 소산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함수비의 변화에도 열 소산효과가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시험을 통한 이중보온관 되메움 대체재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lternative Backfill Material for Pre-insulated Pipe through the Laboratory Tests)

  • 최봉혁;김진만;유한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9호
    • /
    • pp.5-1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자연모래 2종(세사, 왕사)과 부순모래, 자갈 2종(10mm, 20mm)을 대상으로 실내시험을 통하여 입도 분포 특성, 마찰특성 및 토압특성 등 되메움 재료 별 이중보온관의 거동 특성을 평가하고, 합리적인 되메움 대체재료 제시를 위하여 기존 이중보온관 되메움재인 중사와 비교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부순모래는 5종의 되메움 대체재료 별 평가결과 이중보온관에 미치는 공학적 특성 및 재료의 수급 측면에 있어 기존 중사를 이용하는 이중보온관 되메움재의 대체재료로 가장 합리적인 재료로 평가되었다.

현장시험을 통한 이중보온관 되메움 대체재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lternative Backfill Material for Pre-insulated Pipe through the Field Tests)

  • 최봉혁;김진만;유한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1C호
    • /
    • pp.1-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이중보온관의 다짐시공 중 안정성 평가 및 되메움 대체재료 제시를 위하여 현장시험을 수행하였다. 현장시험 시 사용된 되메움 재료는 기존 되메움 재료인 중사와 되메움 대체재료 평가를 위한 자연모래 2종(세사, 왕사)과 부순모래, 자갈 2종(10mm, 20mm)을 사용하였다. 현장시험은 되메움재료 별 이중보온관 토압 및 변형, 외관손상 등의 거동 특성 평가를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부순모래는 5종의 되메움 대체재료 별 평가결과 이중보온관에 미치는 공학적 특성 및 재료의 수급 측면에 있어 기존 중사를 이용하는 이중보온관 되메움재의 대체재료로 가장 합리적인 재료로 평가되었다.

개착식 터널에서 파형강판 라이닝의 동적 거동 특성 (The Seismic Behavior of Corrugated Steel Plate Lining in Cut-and-Cover Tunnel)

  • 김정호;김낙영;이용준;이승호;정형식
    • 한국터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터널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3-247
    • /
    • 2005
  • Most tunnel lining material which has been used in the domestic is a concrete. But many problems as the construction period, the cost, and the crack occurrence for the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were happened in the concrete lining. For this reason, many research institutes like the Korea Highway Corporation recognize the necessity of an alternate material development and grow on the interest for that. So in this study, the seismic behaviour characteristics for the application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Lining in cut-and-cover tunnel are evaluated as several conditions for the backfill height, the cutting slope, and the relative density of backfill soil are changed. The compressive stress which is calculated in the Corrugated Steel Plate Lining by the seismic load is decreased as the backfill height increases and the cut slope grows gentle. Also, the moment shows the tendency of de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backfill height. But in the case of the relative density of the backfill soil is small, the moment increase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backfill height and affects the dynamic behaviour characteristic.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ative density of the backfill soil is also the important point. As the result in analyzing the seismic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reinforcement spacing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the variation in the compressive force is hardly happened, but the moment and the shear force increase on the reinforcement spacing being narrow.

  • PDF

구조물 뒷채움재로서의 석탄회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ycling of Coal Ash as Structural Backfill materials)

  • 여유현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4-7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ycle coal ash as structural backfill materials from electric power plants. Two million tons of coal ash are produced annually. The laboratory test was executed for the basic compatibility as substitution for structural backfill materials and the optimal mixture ratio(fly ash : bottom ash) was decided. In addition the model test was performed using medium scale earth pressure model with small size earth pressure cells model box data logger and some other apparatuses. Mixed coal ash and excellent backfill materials(coheisonless soil SW) were compared in the view of lateral earth pressure variation depending on wall displacement. The reduction of earth pressure when coal ash was used as a bockfill material was monitored comparing to that of cohesionless soil. the cost and environmental pollutants by treating coal ash can be reduced through developing the recycling technology.

  • PDF

CLSM으로 되메움된 지하 인프라 매설물의 근접 굴착에 따른 거동특성 분석 (Analysis 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Facility Backfilled with Clsm According to Adjacent Excavation)

  • 유승경;유남재;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01-10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근접 굴착에 의한 지하 인프라 매설물의 변위 발생에 미치는 되메움 재료 종류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련의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에서는 기존 매설물 주변의 되메움 재료를 일반 토사(주문진 표준사)와 CLSM으로 적용하였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굴착면과 되메움부의 이격거리에 따른 굴착 단계별 매설물의 변위를 분석하였다. 매설물 주변의 되메움 재료로 토사를 적용한 경우, 굴착으로 인한 배면의 토사가 붕괴한 후 안식각을 이루며 사면 안정화가 이루어 지는 과정이 굴착 단계마다 반복되었다. 그리고 토사의 붕괴선이 매설물 설치 위치를 지나게 되는 굴착 단계에서 매설물의 변위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되메움 재료로 CLSM을 적용한 경우, 굴착면과의 이격 거리와 관계없이 되메움 심도까지 굴착이 진행되어도 모형지반의 수평 및 연직 변위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하 매설물 설치 후의 되메움 재료를 선택함에 있어서 CLSM과 같은 비교적 강성이 큰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근접 굴착으로 인해 발생되는 횡토압에 대한 저항과 원지반의 붕괴 억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동성 채움재 타설로 굴착부를 충진한 매립관의 변형특성 연구 (The Study of Deformation Characteristics into Landfill and Underground Pipe using CLSM)

  • 남승혁;채휘영;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9호
    • /
    • pp.27-33
    • /
    • 2011
  • 기존 지하 매설관 시공법의 경우 관의 하단부 다짐이 어렵고, 다짐효율이 좋지 않아 지하 매설물의 안정성을 저감시키고 이로 인한 파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유동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 매설관 시공 시 뒤채움재의 종류에 따른 매설관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하 매설관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고, 동일한 조건에서 뒤채움재의 종류에 따른 관의 주요 부분의 변위, 지표침하, 수직토압을 비교 검토하여 지하 매설관의 변형특성을 예측하였다. 수치해석을 시행한 결과 뒤채움재로 유동성 채움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모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지표침하 및 관변형량이 작아지고 수직토압 또한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