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f Deformation Characteristics into Landfill and Underground Pipe using CLSM

유동성 채움재 타설로 굴착부를 충진한 매립관의 변형특성 연구

  • 남승혁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채휘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천병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04.11
  • Accepted : 2011.08.23
  • Published : 2011.09.01

Abstract

In the case of the existing method of underground pipe construction, the difficulty of the bedding compaction of pipe causes reducing the compaction efficiency and the stability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and conclusively damaging the structures. One of the methods to solve these problem is using the flowable fills as a backfill material. Therefore,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is of the underground pipe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behavior of pipe according to backfill mixtures. To estimate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 of the underground pipe, the displacement of the main part of the pipe, ground settlement and vertical earth pressures were measured in different backfill mixtures and maintaining the other conditions constantly. As a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using the flowable fills as the backfill material is better than using sand in reducing the ground settlement, the pipe deformation and the vertical earth pressure aspect.

기존 지하 매설관 시공법의 경우 관의 하단부 다짐이 어렵고, 다짐효율이 좋지 않아 지하 매설물의 안정성을 저감시키고 이로 인한 파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유동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 매설관 시공 시 뒤채움재의 종류에 따른 매설관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하 매설관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고, 동일한 조건에서 뒤채움재의 종류에 따른 관의 주요 부분의 변위, 지표침하, 수직토압을 비교 검토하여 지하 매설관의 변형특성을 예측하였다. 수치해석을 시행한 결과 뒤채움재로 유동성 채움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모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지표침하 및 관변형량이 작아지고 수직토압 또한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재헌(2004), 유동성 채움재를 이용한 지하 매설관의 변형특성 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성대학교, pp. 7-18.
  2. 박재헌, 이관호, 조재윤, 김석남(2004), 현장발생토 CLSM을 이용한 지하 매설관의 변형특성,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Vol. 20, No, 3, pp. 129-139.
  3. 원종필, 신유길(1998), 다량의 플라이애쉬를 함유한 고유동 시멘트 복합체의 물리.역학적 특성, 농자원개발논문집, 건국대학교부설 농업자원개발연구소, Vol. 20, pp. 47-53.
  4. 이관호, 박재헌(2006), 파형강관을 이용한 지하매설물용 뒤채움재 설계 및 시공성 평가,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Vol. 8, No. 2, pp. 63-74.
  5. 조재윤, 이관호, 이인모(2000), 유동특성을 이용한 폐주물사 혼합물의 옹벽 뒷채움재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16, No. 4, pp. 17-30.
  6. 천병식(1998), 지반공학-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구미서관, pp. 285-295.
  7. ACI Committee 229R-94.(1994),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s(CLSM), Concrete Int., Vol. 16, No, 7, pp. 55-64.
  8. Amon, J. A.(1990),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 The Constr. Specifier, December, pp. 98-101.
  9. Bolton, M.D.(1986), The Strength and Diatancy of Sands, Geotechnique, Vol. 36, No.1, pp. 65-78. https://doi.org/10.1680/geot.1986.36.1.65
  10. Marston, A.(1930), The Theory of External Loads on Clossed Conduits, Iowa Engineering Experimental Station, Ames, IA, Bulletin No. 96, pp. 5-8.
  11. Janssen, H.A.(1985), Versuche Uber Getreidruck in Silozeuen, Z. Ver. Deut Ingr. Vol. 39, p. 1045. (partial English Translation in Proceeding of the Institute of Civil Engineers, London, England, p. 553.).
  12. Junardhanam, R., F. Burns and R. D. Peindl.(1992), Mix Design for Flowable Fly-Ash Backfill Material,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4, No. 3, pp. 252-263. https://doi.org/10.1061/(ASCE)0899-1561(1992)4:3(252)
  13. Spangler. M.G.(1948), Underground Conduits - An Appraisal of Modern Research, Transactions of ASCE, Paper No. 2337, Vol. 113, pp. 316-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