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acea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Comparing the mortality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Coleoptera: Cetoniidae) caused by entomopathogenic bacteria and Serratia marcescens (Enterobacteriales: Enterobacteriaceae)

  • Kwak, Kyu Won;Han, Myung Sae;Nam, Sung Hee;Choi, Ji Young;Lee, Seok Hyun;Kim, Hong Geun;Park, Kwan 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0권2호
    • /
    • pp.40-44
    • /
    • 2015
  • To investigate whether Serratia marcescens (Enterobacteriales: Enterobacteriaceae) isolated from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Coleoptera: Cetoniidae) acts as an opportunistic bacterium in peroral infection, the primary entomopathogenic bacteria Bacillus thuringiensis (Bacillales: Bacillaceae) and Paenibacillus popilliae (Eubacteriales: Bacillaceae) were added to sawdust to perform a bioassay experiment. We found that peroral infection caused by S. marcescens could be fatal beyond a concentration of $4{\times}10^8pfu/mL$ in $2^{nd}$ stage P. b. seulensis larvae and at $6{\times}10^8pfu/mL$ in $3^{rd}$ stage P. b. seulensis larvae. In particular, mortality resulting from a combination of P. popilliae and S. marcescens was markedly increased in $2^{nd}$ stage P. b. seulensis larvae. Therefore, we confirmed that mortality was increased when S. marcescens was infected together with other entomopathogenic bacteria, and that peroral infection itself can be fatal beyond certain concentrations.

Sporulation-associated Products of the Bacillus species

  • 김현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09.1-109
    • /
    • 1975
  • The family Bacillaceae에 속하는 모든 미생물은 endospore를 형성하는 것이 그 특성이며 포자형성은 일련의 생화학적 반응은 물론 형태ㆍ구조적 변화를 수반하는 질서 정연한 원시적인 생물분화의 일종이다. 따라서 포자형성 발아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또 현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산업미생물학도로서 흥미있는 점은 산업적으로 유용한 몇가지 생화학물질이 포자형성 과정과 특별히 관련되어 생산된다는 점이며 이중 몇 가지 효소와 항생물질 그리고 독소에 관하여 간략히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Genomic Analysis of the Moderately Haloalkaliphilic Bacterium Oceanobacillus kimchii Strain X50T with Improved High-Quality Draft Genome Sequences

  • Hyun, Dong-Wook;Whon, Tae Woong;Kim, Joon-Yong;Kim, Pil Soo;Shin, Na-Ri;Kim, Min-Soo;Bae, Jin-W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2호
    • /
    • pp.1971-1976
    • /
    • 2015
  • Oceanobacillus kimchii is a member of the genus Oceanobacillus within the family Bacillaceae. Species of the Oceanobacillus possess moderate haloalkaliphilic features and originate from various alkali or salty environments. The haloalkaliphilic characteristics of Oceanobacillus advocate they may have possible uses in biotechnological and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alkaline enzyme production and biodegrad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draft genome sequence of O. kimchii X50T and its annotation. Furthermore,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of O. kimchii X50T was performed with two previously reported Oceanobacillus genome sequences. The 3,822,411 base-pair genome contains 3,792 protein-coding genes and 80 RNA genes with an average G+C content of 35.18 mol%. The strain carried 67 and 13 predicted genes annotated with transport system and osmoregulation, respectively, which support the tolerance phenotype of the strain in high-alkali and high-salt environments.

Cultivable Microbial Diversity in Domestic Bentonites and Their Hydrolytic Enzyme Production

  • Seo, Dong-Ho;Cho, Eui-Sang;Hwang, Chi Young;Yoon, Deok Jun;Chun, Jeonghye;Jang, Yujin;Nam, Young-Do;Park, So-Lim;Lim, Seong-Il;Kim, Jae-Hwan;Seo, Myung-J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25-131
    • /
    • 2019
  • We have isolated and identified 72 bacterial strains from four bentonite samples collected at the mining areas located in Gyeongsangbuk-do, Republic of Korea, and measured their hydrolytic enzyme (${\alpha}$-amylase, protease, and cellulase) activities to identify the isolates with industrial-use potential. Most of the isolates belonged to the Bacillaceae, with minor portions being from the Paenibacillaceae, Micrococcaceae, and Bacillales Family XII at the family level. Of the strains isolated, 33 had extracellular ${\alpha}$-amylase activity, 30 strains produced cellulase, and 35 strains produced protease. Strain MBLB1268, having the highest ${\alpha}$-amylase activity, was identified as Bacillus siamensis ($0.38{\pm}0.06U/ml$). Bacillus tequilensis MBLB1223, isolated from Byi33-b, showed the highest cellulase activity ($0.26{\pm} 0.04U/ml$), whereas Bacillus wiedmannii MBLB1197, isolated from Zdb130-b, exhibited the highest protease activity ($54.99{\pm}0.78U/ml$). These findings show that diverse bacteria of the Bacillaceae family adhere to and exist in bentonite and are potential sources of industrially useful hydrolytic enzymes.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옥돔(Branchiostegus japonicus)의 장내미생물 군집의 다양성 조사 (Research on the Diversity of Intestinal Microbial Communities of Red tilefish (Branchiostegus japonicus) by 16S rDNA Sequence Analysis)

  • 김민선;이승종;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61-368
    • /
    • 2018
  • 본 연구는 제주연안에서 채집한 옥돔(Branchiostegus japonicus)의 장내기관으로부터 장내미생물의 분리하여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1차로 1.5% BHIA, MA, TSA 및 R2A agar 배지상 순수분리한 결과, 1.5% BHIA에서 가장 많은 colony개수를 나타냈다. 호기성, 혐기배양은 평균 $1.7{\times}10^6CFU/g^{-1}$, $1.1{\times}10^5CFU/g^{-1}$로 나타났으며 총 147개의 순수 colony가 분리되었다. 16S rDNA염기서열 분석결과 58속 74종으로 나타났으며 기본균주와 95-100%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크게 5문(Phylum)으로 나뉘었으며, 주요 계통군으로 Proteobacteria 문이 50%로 Moraxellaceae, Rhodobacteraceae, Shewanellae, Halomondaceae, Enterobacteriaceae, Vibrionaceae, Hahellaceae, Pseudomonadaceae, Erythrobacteraceae 총 9과 35속 35종으로 우점도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Actinobacteria문은 24%, Microbacteriaceae, Intrasporangiaceae, Dietziaceae, Dermabacteraceae, Dermacoccaceae, Nocardiodaceae, Brevibacteriaceae, Propionobacteriacea 총 8과 11속 17종, Frimicutes문은 16%, Bacillaceae, Staphylcoccaceae, Planococcaceae, Streptococcaceae, Paenibacillaceae, Clostridiaceae 총 6과 8속 17종, bacteroidetes문은 6%, Cyclobacteriaceae, Flavobacteriaceae 총 2과 3속 4종을, Deinococcus-thermus문은 4%로 Deinococcaceae 단일 1과 1속 1종으로 나타났다.

토양으로부터 카탈라제 생산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talase-producing Bacteria from Soil)

  • 한경아;이종일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08-514
    • /
    • 2009
  • 국내 토양 미생물로부터 효과적인 카탈라제 생산 미생물을 이용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벌교 토양 시료로부터 카탈라제 생산량이 높은 균주 (BKBChE-1, BKBChE-2, BKBChE-3)를 분리, 생화학 실험과 전자현미경을 통한 균주의 형태 관찰및 16S rDNA 유전자 서열분석 등을 통해 미생물을 동정하여 각각의 균주는 99% 이상의 상동성으로 Bacillaceae bacterium BKBChE-1, Bacillus sp. BKBChE-2, Bacillus flexus BKBChE-3로 명명하였다. 선별된 세 가지 균을 배양하여 얻은 카탈라제 효소의 온도와 pH 변화가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양에서 분리한 세 가지 균주가 생산한 카탈라제 효소는 $6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도 약 50% 가량의 활성을 유지, pH 7.0 이상의 알칼리 조건에서 pH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pH 13.0의 강한 염기 조건에서 약 20% 가량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4^{\circ}C$에서의 장기 저장 안정성 실험에서는 Bacillus flexus BKBChE-3이 생산한 카탈라제를 제외한 나머지 두 가지 미생물이 생산한 카탈라제 활성 실험의 경우 20일이 지난 후에도 40% 이상의 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조사하였다. 상기 결과는 세 가지 미생물이 생산한 카탈라제가 생산량의 측면에서 Costa 등 [21]이 바실러스로부터 얻은 카탈라제 활성의 결과와 비교하여 높은 카탈라제 활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Yang 등 [9]이 곰팡이로부터 얻은 카탈라제의 pH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알칼리 조건에서도 안정하여 그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들 결과를 근거로 고온의 호알칼리 과산화수소 제거 공정에서 분리한 미생물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Octopus vulgaris의 장관으로부터 분리한 단백질 분해효소 생성 균주와 생성된 효소의 특성 (Protease Properties of Protease-Pro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the Digestive Tract of Octopus vulgaris)

  • 류청;;;양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86-1494
    • /
    • 2013
  • Octopus vulgaris의 장관으로부터 단백질 가수분해력과 활성을 측정함으로서 높은 단백질분해효소 생성능을 가진 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균이 생성한 단백질분해효소는 황산암모늄침전, cellulose CM-52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DEAE-Sephadex A50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의 3단계를 통해 정제하였다. 장관으로부터 분리한 균중 가장 높은 단백질분해효소 생성능을 가진 균은 Bacillus sp. QDV-3로 나타났으며 이균을 분리한 후 표현형 분석, 생화학적 특성, 16S rRNA 유전자염기서열분석을 통해 Bacteria역, Firmicutes문, Bacilli강, Bacillales목, Bacillaceae과, Bacillus속으로 Bacillus flexus와 99.2%의 유사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균이 생성한 단백질 분해효소를 QDV-E로 지정하였으며 61.6 kDa의 분자량을 나타내었다. 이 효소는 pH 9.0~9.5에서 활성을 나타내었고 최적온도는 $40^{\circ}C$였으며 $50^{\circ}C$에서는 60분간 96% 이상의 활성을 보유하였다. Phenyl methyl sulfonyl fluoride (PMSF)에 의하여 활성이 억제 되었으므로 세린 알칼리성 단백 분해 효소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금속이온인 $Mn^{2+}$$Mg^{2+}$에 의하여 효소활성 상승효과를 보였으며 $Ba^{2+}$, $Zn^{2+}$, 그리고 $Cu^{2+}$에 의하여 활성이 억제되었다.

Chitinase생산 저영양세균의 분리 및 계통분류학적 특성 (Isolation and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Chitinase Producing Oligotrophic Bacteria)

  • 김수진;김민영;구본성;윤상홍;여윤수;박인철;김윤지;이종화;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93-299
    • /
    • 2005
  • 인삼근권토양으로부터 분리된 총640 저영양세균 중 유일한 탄소원으로 colloidal chitin을 첨가한 배지에서 투명환을 나타낸 8균주를 선발하였다. 대부분의 균주가 chitin의 형광성 유사체인 4-methylumbelliferyl D-N,N'-diacetylchitobioside (MUF-diNAG)을 분해하였고, CR-42균주의 경우 4-methylumbelliferyl-D-glucosaminide (MUF-NAG)를 분해하였다. 이들 chitinase 생산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계통학적 위치를 확인한 결과 5개의 주요한 계통군: proteobacteria $\gamma-subdivision$ (3균주), proteobacteria $\beta-subdivision$ (1 균주), Actinobacteriaceae (1 균주), Bacillaceae (1 균주) 그리고 Bacteriodetes (2 균주)로 분류되었다. 이들 분리균주 중 WR164와 CR18 균주는 16S rDNA염기서열의 유사도가 미배양 및 미동정 등록균주와 $97\%$ 미만으로 나타나 신규미생물로 제안할 수 있는 균주로 예상되었다. 한편 CR2와 CR75 chitinase 생산균주는 인삼 탄저 병원균인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생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오분자기(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내 미생물 군집 조사 및 인체유해 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모니터링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in 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 Through 16S rRNA Sequencing and Antibacterial Monitoring of Harmful Strains)

  • 김민선;이승종;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77-1488
    • /
    • 2018
  • 본 연구는 제주 연안에서 채집한 오분자기(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를 구성하는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근육, 장, 생식소 각 부위별로 조사하였다. 배지로 1차 순수 분리한 결과 근육은 MA, 장 1% BHIA, 생식소 1% TSA에서 각각 최대 군락 계수가 나타났다. 16S rRNA sequence로 표준 균주와 비교 유사도 분석 결과 총 190개의 순수 colony가 분리되었다. NBLAST program 분석 결과 크게 5문 25과 39속 71종으로 나타났다. 표준 균주와 상동성은 91-100%를 나타냈다. 오분자기 내 미생물 군집은 크게 Pr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48%, Actinobacteria 32.5%, Firmicutes 16.9%, Bacteroide 1.3%, Deinococcus-thermus 1.3%로 나타났다. 근육, 장, 생식소 모든 부위에서 Moraxellaceae과 Psychrobacter cibarius가 우점하였다. 근육, 장, 생식소 모든 부위에서 Alteromonadaceae, Enterobacteriaceae, Pasturellaceae, Moraxellaceae, Rhodobacteraceae, Geminicoccaceae, Dietziaceae, Intrasporangiaceae, Microbacteriaceae, Micrococcaceae, Micromonosporaceae, Streptomycetaceae, Aerococcaceae, Bacillaceae, Paenibacillaceae, Planococcaceae, Staphylcoccaceae가 공통적으로 분리되었으며, 장에서 Flavobacteriaceae, Corynebacteriaceae, Yesiniaceae, Vibrionaceae, Hahellaceae, Pseudomonadaceae가 추가 분리되었다. 분리 균주로부터 인체 유해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모니터링 결과 Sterptomyces albus (96%)가 4균주 모두 항균활성을 보였고 Agrococcus baldri (99%), Psychrobacter nivimaris (99%)가 E. coli, E. aerogen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그 외 상동성이 낮은 일부 균주가 분리되어 신균주 실험을 비롯한 항균활성물질 정제 등 추가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은 오분자기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과 유전학적 자원을 확보하는데 의의를 두며, 응용 미생물의 개발 가능성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제주연안 소라(Turbo cornutus) 장내세균 다양성 조사 (Analysis of Intestinal Microbial Communities of Topshell (Turbo cornutus) fromCoast of Jeju Island, Korea by 16S rDNA Sequence Analysis)

  • 김민선;한송헌;최정화;허문수;고준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721-728
    • /
    • 2022
  • 본 논문은 제주연안에서 채집한 소라(Turbo cornutus)의 장내세균을 분리하고 군집의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표준배지를 사용하여 순수 정체 배양 결과 MA agar에서 가장 많은 군집을 나타났다. 일반 배양 CFU값은 평균 1.8×105, 혐기 배양 CFU값은 평균 0.4×10으로 보다 적게 나타났다. 기존 표준균주와 16S rDNA sequence 유사도 비교 분석 결과 크게 4문 12과 26속 67종으로 분류되었다. 표준균주와의 상동성 범위는 93-100%로 나타났다. 소라장내세균 군집은 크게 Proteobacteria 39% (α-proteobacteria; Phyllobacteriaceae (1), Rhodobacteraceae (8) / γ-proteobacteria; Alteromonadaecae (1), Shewanellaceae (4), Vibrionaceae(12))로 가장 우점하였고, Firmicutes 34% (Bacillaceae (21), Paenibacillaceae (2)), Actinobacteria 21% (Cellulomonadaceae (1), Mycobacteriaceae (6), Nocardiaceae (4), Streptomycetacea (3)), Bacteroidetes 6% (Flavobacteriaceae (4))로 각각 나타났다. Bacillus sp., Vibrio sp.이 가장 우점 하였으며, 그 외 대부분의 분리 균주는 해양 유래 관련 균주로 나타났다. 이전 보고된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해양동물 장내세균군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분리된 일부 균주가 단당류(Cellulose), 다당류(alginate, agar)분해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부분이 해조류 유래 세균으로 소라의 섭이가 장내세균군과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probiotics 기능을 갖고 있는 일부 균주도 분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