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by boomer program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5초

사회공헌 일자리를 통한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 후 사회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Social Participation after Retirement of Baby Boomers through Social Contribution Jobs)

  • 김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205-216
    • /
    • 2022
  •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 후 사회공헌 일자리 통한 사회 참여 경험을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면접을 통한 자료 분석 결과 퇴직 후 사회공헌 일자리에 참여한 베이비붐 세대들은 일하고 싶은 강한 욕구를 나타냈고 일자리 참여로 인해 보람과 자기 계발의 기회가 주어졌으며 이로 인해 가족들도 일자리 참여를 긍정적으로 여겼다. 또한 자조 모임과 커뮤니티를 통해 프로그램을 위한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의 관심사를 나누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일자리로서는 보수가 너무 적고 매년 면접을 다시 봐야 하는 불안정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 사회공헌 일자리의 미래 방향성에 대해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기술과 전문성을 좀 더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의 필요성과 퇴직 후 소득보장으로서의 가교 일자리 정책과 더불어 제도개선 및 규제개혁을 통한 시장성과 공공성을 지닌 산업의 육성과 지원으로 퇴직 베이비붐 세대의 인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이 강조되었다.

Q 방법론을 활용한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주관성 연구 (The Subjectiveness of Decent Jobs using Q Methodology)

  • 장하연;이영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620-629
    • /
    • 2019
  • 현재 취업을 준비하는 세대와 베이비부머 세대, 에코세대 간에는 직업의식과 일자리에 대한 인식이 매우 다를 것으로 예측된다. 평생직장보다는 평생직업을 중시하는 것으로 인지되고 있는 현 세대의 일자리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은 향후 직업연구와 일자리 정책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노동시장으로 이행을 준비하고 있는 졸업 예정자인 대학 4학년생의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살펴보고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방법으로는 Q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문헌연구와 면담을 통해 291개의 Q 진술문을 도출하고 연구대상자와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총 47개 Q 표본을 구축하였다. 또한, P 표본으로 선정된 대학 4학년생 총 31명을 대상으로 Q 표본을 Q 분류표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프로그램으로는 Ken-Q Analysis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대학 4학년생의 인식유형은 '흥미 지향형', '균형 추구형', '조직 지향형', '권력 추구형', '발전 지향형'의 총 5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이 다양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동시장 진입에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언을 제시하였다.

경력지향성이 창·재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areer Orientation on the Entrepreneurial·Reemployment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s)

  • 강경란;박철우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통합학술대회
    • /
    • pp.15-35
    • /
    • 2017
  • 본 연구는 주된 일자리에서 은퇴했거나 은퇴를 앞둔 베이비붐 세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은퇴 이후 창 재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2010년 이후 베이비붐 세대의 대규모 퇴직이 시작되고 있으나 경제적 노후준비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대규모 은퇴는 노동시장의 불안정과 사회복지비용 지출증가 등 사회 경제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다. 퇴직 후 30년 이상의 새로운 커리어를 시도할 수 있는 준비를 하도록 개인의 인식변화와 제도적인 지원이 구체화 되어야 한다. 따라서 잠재적 은퇴자인 베이비부머 직장인들이 재직하는 기간 동안에 개인의 경력지향에 맞는 교육, 훈련, 재취업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지원받고, 네트워크나 신뢰 등 사회적자본을 강화하여, 은퇴 후 상대적으로 폭 넓은 창 재취업의 기회를 얻고, 퇴직 후에도 노동시장에 오랜 기간 머물도록 함으로써 경제적 안정과 공적연금 등 사회적 비용증가에 대한 해결책이 될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필리핀 베이비부머 교민의 성공적 노후준비 (The Successful Preparation for the Old Age research of Philippines Baby Boomer overseas Korean)

  • 박현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302-312
    • /
    • 2013
  • 본 연구는 필리핀 교민 중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필리핀 마닐라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을 대상으로 2011년 6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배포된 총 150부 중 105부를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해외 교민들의 노후 준비 실태 파악을 통해 해외 교민의 노후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들은 경제적 노후준비 수준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신체적 노후준비, 정서적 노후준비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후를 위해서 정서적 준비가 경제적, 신체적 준비에 비해 중요도 및 예측에 있어서 상대적인 영향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외 교민의 노후에 대한 사회 복지적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정서적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고령자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기본전제 (Suggestions for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Levels of Korean Older Adults: A Public Health Perspective)

  • 홍승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3권4호
    • /
    • pp.362-365
    • /
    • 2010
  • 2010 is the year when the Korean baby boomer generation faces retirement. With the need for affective strategies to keep this population healthy, the government has placed much effort to increase the regular physical activity (PA) level of older adults. Yet the prevalence of active seniors is still relatively low. This paper reviews the recent government strategies and efforts to enhance the physical activity levels of older adults and the PA programs provided in the community settings by major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problems of the current approaches are shown, and based on a review, the author provides five suggestions for promoting the PA level of older adults as follows. First, specific physical activity goals and objectives for older adults should be included in the National Health Plan 2020. Second, the recommendations for PA for seniors, which include a proper intensity, duration and frequency of exercise, should be provided. Third, the role of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should be rearranged for the proper dissemination of government provided community-based exercise programs. Fourth, a standard quality-control system should be provided, and finally, an evidence-based exercise program, which should be specifically created for the older Korean population, should be developed. Physical activity offers opportunities for people to extend the years of their active independent life and reduce functional limitations. To maximize the effects of government efforts to promote PA for seniors, we feel the comments provided in this paper should be closely examined.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이 가정폭력에 미치는 영향 :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f Family Conflict on Family Violence among the Baby Boomer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blem-drinking and Self-esteem)

  • 김지훈;김경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448-461
    • /
    • 2016
  • 본 연구는 9차년도 한국복지패널에서 추출한 가족갈등을 경험한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가족갈등대처전략이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어떻게 가정폭력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AMOS 21.0 버전을 적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실시한 후,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Sobel(1982) 검증 중 Baron & Kenney(1996)에 의해 활용된 Aroian Test 검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은 문제음주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은 가정폭력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중재된 문제음주는 가정폭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다섯째, 강화된 자아존중감은 가정폭력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 근거로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을 극복하고 가정폭력을 축소 예방하기 위한 실천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이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서 고려할 점을 논의하였다.

경력지향성이 창·재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areer Orientation on the Entrepreneurial·Reemployment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s)

  • 강경란;박철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5호
    • /
    • pp.177-189
    • /
    • 2017
  • 본 연구는 주된 일자리에서 은퇴했거나 은퇴를 앞둔 베이비붐 세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은퇴 이후 창 재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2010년 이후 베이비붐 세대의 대규모 퇴직이 시작되고 있으나 경제적 노후준비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대규모 은퇴는 노동시장의 불안정과 사회복지비용 지출증가 등 사회 경제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다. 퇴직 후 30년 이상의 새로운 커리어를 시도할 수 있는 준비를 하도록 개인의 인식변화와 제도적인 지원이 구체화 되어야 한다. 연구결과, 경력지향성과 사회적자본간의 영향관계에서 관리지향성은 사회적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자율지향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지향성과 창 재취업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관리지향성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재취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자율지향성은 창업의도와 재취업의도 둘 다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자본은 창 재취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경력지향성과 창 재취업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잠재적 은퇴자인 베이비부머 직장인들이 재직하는 기간 동안에 개인의 경력지향에 맞는 교육, 훈련, 재취업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지원받고, 네트워크나 신뢰 등 사회적자본을 강화하여, 은퇴 후 상대적으로 폭넓은 창 재취업의 기회를 얻고, 퇴직 후에도 노동시장에 오랜 기간 머물도록 함으로써 경제적 안정과 공적연금 등 사회적 비용증가에 대한 해결책이 될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천안지역 공단 근로자를 중심으로- (Effects of the Personality Traits of Baby Boomers on the Preparation Behaviors for the Old Age -Focused on the Cheon-An Industrial Complex's Workers-)

  • 유인순;최수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45-262
    • /
    • 2012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성격특성 및 노후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격5요인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로 천안시 공단지역 근로자 3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및 t-test, ANOVA,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성격특성과 노후준비행동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 중 외향성과 개방성, 그리고 성실성은 신체적 노후준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 불안정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호감성은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사회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실성과 개방성, 외향성이 정(+)의 영향을 미쳤고, 정서적 불안정성과 호감성은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 불안정성, 외향성, 개방성, 성실성이 영향을 미치고 호감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에 관한 인식유형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 Pattern about Social Participation of Baby Boomer Generation)

  • 김현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3호
    • /
    • pp.115-145
    • /
    • 2018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에 관한 다양한 인식을 확인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베이비붐 세대 당사자, 노인, 관련 분야 전문가, 일반성인 등 15명에 대한 심층면접과 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Q모집단을 구축하였고, 최종적으로 67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Q분류에는 베이비붐 세대에 속하는 남녀 각 25명씩 50명이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용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3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총 6개의 유형으로 분석되어 전체변량의 34.06%를 설명하였다. 해석결과 사회참여 자발성, 동기요인, 선호하는 사회참여활동, 사회참여의 제약요인 등이 6개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요인 1은 삶의 영역이 가족 중심인 '소시민'과 조직이나 사회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기를 원하는 '원로', 요인 2은 공동체의 대의명분을 중요시 여기는 '사회운동가'와 생존이나 생계가 중요한 '밀려난 월급쟁이', 요인 3은 노화를 거부하는 '노익장'형과 노화를 수용하는 '이제는 노년'형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론적 논의와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공동주택 경로당의 건축적 특성과 커뮤니티 거점공간으로서의 활용방안 연구 (Analysis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o Utilize Senior Centers as an Community Anchor Space in Apartment Complex)

  • 은난순;박혜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37-50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ce planning of the Senior Center which was supplied recently in apartment complex, to activate the spaces suitable for the changes and needs of the elderly and to explore the complex functions as a community space where intergenerational exchanges are possible. In other words, we sought implications for the physical plan of the district as a community base space and searched for improvement plan.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five large private sectors of construction, and 10 of them were built after 2010 in an urban area(Seoul). Literature review, data analysis, field survey and interview were used for the research method. Results: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meet the demands of various elderly people in the space planning, program and operation mode at the current level. In particular, the Baby Boomer generation as an active silver generation will not use the Senior Center.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propose some of the following about the Senior Center in apartment complex.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term "the Senior Center" as defined in Article 55-2 of the "Regulations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etc.". Second, the criteria for setting up the elderly complex space should be presented specifically. Third, it is necessary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in operation and management. Final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residents' organization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Implication: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laws, it will be possible for various generations to have opportunities to interact by activating the existing community spaces for seniors. It will als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ommunity of apartment complex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