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9.205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Social Participation after Retirement of Baby Boomers through Social Contribution Jobs  

Kim, Eun-Kyung (국민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of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social contribution jobs after retirement, using content analysis. The baby boomers who participated in social contribution jobs after retirement showed a strong desire to work, and were provided with rewarding and self-development, which resulted in family members viewing job participation positively. In addition, through self-help groups and communities, they shared information for the program and formed a social relationship. However, they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instability and discontinuity of the job with low salary, with job interview repeated every year. As for the future direction, it is necessary that jobs utilize the skills and expertise of the baby boomers, the bridging jobs as an income guarantee after retirement, and the promotion of industries with marketability and publicness through institutional and regulatory reform. It is emphasized that the human resources of the retired baby boomers should be actively utilized with the governmental support.
Keywords
Baby Boomer Generation; Retirement of Baby Boomers; Social Contribution Jobs; Social Participation; Qualitative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K. Charmaz,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ousand Oaks, London: SAGE Publication, 2006.
2 S. Elo and H. Kynga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2, No.1, pp.107-115, 2008.   DOI
3 https://50plus.or.kr/detail.do?id=10549378
4 https://www.50plus.or.kr/content-JBIntro1.do
5 I. H. Ku and C. O. Kim, "Decomposition analyses of the trend in poverty among older adults: The case of South Korea,"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Vol.75, No.3, pp.684-693, 2020.
6 이창근, 권정현 외, 베이비붐 세대 특성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 한국개발연구원 논문지, 최종판, pp.1-132, 2017.
7 D. J. Ekerdt, "Frontiers of research on work and retirement,"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65B, No.1, pp.69-80, 2010.   DOI
8 S. Musich, T. McDonald, and L. S. Chapman, "Health promotion strategies for the "boomer" generation: Wellness for the mature worker,"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3, No.3, pp.1-9, 2009.   DOI
9 최옥금,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 과정에 관한 연구: 생애 주된 일자리와 가교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논문지, 제31권, 제5호, pp.15-31, 2011.
10 탕윤, 허형조, 이재원, "활동적 고령화 정책을 위한 두 가지 길 : 신중년 사회공헌활동사업과 노인일자리 사업," 사회과학연구 논문지, 제34권, 제2호, pp.121-155, 2022.
11 송부용, 김영순, 베이비부머의 재취업유형 분석과 일자리 대책: 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남발전연구원, pp.46-71, 2013.
12 K. T. Gobeski and T. A. Beehr, "How retirees work: Predictors of different types of bridge employ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0, No.3, pp.401-425, 2009.   DOI
13 G. B. Mermin, R. W. Johnson, and D. P. Murphy, "Why do boomers plan to work longer?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62, No.5, pp.286-294, 2007.
14 M. Freedman, "The social-purpose encore career: Baby boomers, civic engagement, and the next stage of work. gener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n Aging, Vol.30, No.4, pp.43-46, 2006.
15 L. V. Davis, Role theory and social work treatment, Social Work Treat\-ment, New York: The Free Press, pp.581-600, 1996.
16 김현정,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에 관한 인식유형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논문지, 제49권, 제3호, pp.115-145, 2018.
17 방하남, "베이비붐세대: 그들은누구인가?," 월간 노동리뷰, 제2권, pp.5-9, 2011.
18 이창근, 권정현, 김지운, 최동욱, 김성지, 정유경, 홍주원, "베이비붐 세대 특성 분석을 위한 빅 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KDI, 최종본, pp.1-132, 2017.
19 임정연, 이영민, "순차분석을 활용한 베이비 붐 세대의 직업이동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46-159, 2015.   DOI
20 박무일, 노인고용 정책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1 김은정, 최성기, "진지한 여가 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원봉사활동 참여 베이비붐세대를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학회 논문지, 제18권, 제6호, pp.22-40, 2016.
22 이혜인, "베이비 붐 세대 퇴직 후 생활 설계를 위한 커뮤니티 댄스 기획 사례 연구," 한국문화예술 교육학회 논문지, 제11권, pp.53-70. 2014.
23 안성조, 이주현,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실태와 재취업 인식분석," 한국균형발전 연구 논문지, 제4권, 제3호, pp.41-60, 2014.
24 김의영, "고령화 사회의 퇴직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인적자원 프로그램 개발: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 학보, 제28권, 제1호, pp.115-136, 2014.
25 Y. S. Lincoln and E. Guba,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5.
26 정은경, 하정화, 한경혜, "베이비 부머의 고용불안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통제감의 조절.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보건사회 연구원 논문지, 제35권, 제3호, pp.355-385, 2015.
27 김지훈, 강길선,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질에 미치는 종단적 요인: 베이비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세대간 비교분석," 한국가족복지학회 논문지, 제22권, 제4호, pp.605-626, 2017.
28 최슬기, "한국사회의 인구변화와 사회문제: 인구변동요인과 인구수/ 인구구조를 중심으로," 비판사회 학회논문지, 제106호, pp.14-40, 2015.
29 M. A. Mulvaney, "Study of public park and recreation professionals' career bridge employment intentions," The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Vol.37, No.1, pp.20-39, 2019.
30 김진, 김수영, 장례인구 특별 추계: 2017-2067, 통계청, 2019.
31 Y. Kim, K. Kim, K. Boerner, and G. Han, "Aging Together: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Family Experiences Among Korean Baby Boomer Couples," The Gerontologist, Vol.58, No.6, pp.1044-1053, 2017.
32 박시내, 심규호, "베이붐 세대의 현황 및 은퇴효과 분석," 통계청 2010년 상반기 연구보고서, 제1권, pp.166-305, 2010.
33 김수원, 김보라, "베이이붐 세대의 퇴직전문인력 사회공헌일자리 활용을 위한 정책방향," 직업과 고용 서비스 연구학회 논문지, 제8권, 제2호, pp.33-57, 2013.
34 나수영, 한경혜, "가교 일자리에서의 근로가 베이비부머의 결혼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 노년학회 논문지, 제36권, 제3호, pp.541-562, 2016.
35 김수영, 장수지, 이재정, 문경주, "베이비붐세대의 재취업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 노인 복지학회 논문지, 제67권, pp.107-132, 2015.
36 H. van Solinge, M. Damman, and D. Hershey, "Adaptation or exploration? understanding older workers' plans for post-retirement paid and volunteer work," Work, Aging and Retirement, Vol.7, No.2, pp.129-142, 2021.   DOI
37 D. K. Ibrahim and N. W. Wahat, "A new pathway towards retirement preparation: Integration of holistic life planning,"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Education and Research, Vol.5, No.1, pp.154-160, 2015.   DOI
38 최문경, 이명진, "자영업, 선택인가 한국과 미국," 한국사회학회 논문지, 제39권, 제1호, pp.21-51, 2005.
39 김경희, 정혜정, "베이비부머 은퇴 남성의 내러티브 정체성 탐구: 고학력 중산층 은퇴자를 중심으로," 한국 가족 치료학회 논문지, 제25권, 제4호, pp.839-862, 2017
40 선태무, 최은수, "베이이붐 세대의 은퇴에 대비한 평생교육정책 분석과 정책개발 탐색," 평생교육 . HRD 연구회 논문지, 제8권, 제1호, pp.83-105,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