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erception Pattern about Social Participation of Baby Boomer Generation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에 관한 인식유형 분석

  • 김현정 (정화예술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8.07.31
  • Accepted : 2018.09.12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ubjective perception pattern of social participation by using Q-methodology. Sixty-seven Q-samples were extracted from the Q-population which was constructed, along with analyzing previous research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15. A total of 50 babyboomers, male and female 25 each, participated in Q-sorting, and the data of 50 subjects was finally analysed using QUANL program and found that three factor structures(6 types) were appropriate accounted for 34.06% of the total variance. These six types were different in social participation spontaneity, motivation, preferring activities and constraint factors; 'an ordinary commoner' type and 'the doyen' type (factor 1), 'a social activist' type and 'a kicked out salaried worker'(factor 2), 'still-youth' type and 'now-senior' type(factor 3).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discussed theoretically and suggested some significant social welfare implications.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에 관한 다양한 인식을 확인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베이비붐 세대 당사자, 노인, 관련 분야 전문가, 일반성인 등 15명에 대한 심층면접과 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Q모집단을 구축하였고, 최종적으로 67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Q분류에는 베이비붐 세대에 속하는 남녀 각 25명씩 50명이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용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3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총 6개의 유형으로 분석되어 전체변량의 34.06%를 설명하였다. 해석결과 사회참여 자발성, 동기요인, 선호하는 사회참여활동, 사회참여의 제약요인 등이 6개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요인 1은 삶의 영역이 가족 중심인 '소시민'과 조직이나 사회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기를 원하는 '원로', 요인 2은 공동체의 대의명분을 중요시 여기는 '사회운동가'와 생존이나 생계가 중요한 '밀려난 월급쟁이', 요인 3은 노화를 거부하는 '노익장'형과 노화를 수용하는 '이제는 노년'형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론적 논의와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