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13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2초

팽이버섯 (Flammulina velutipes)원형질체(原形質體)의 재생(再生), 환원(還元) 및 영양요구성(營養要求性) 균주선발(菌株選拔) (Protoplast Regeneration, Reversion and Isolation of Auxotrophic Mutants in Flammulina velutipes)

  • 신관철;박종성;유영복;여운형
    • 농업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5-22
    • /
    • 1988
  • 팽이버섯 원형질체(原形質體)의 재생(再生)과 환원(還元)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에 대해 조사(調査)하였으며 영양요구성(營養要求性) 돌연변이(突然變異) 균주(菌株) 선발(選拔)을 실시(實施)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원형질체(原形質體) 재생배지(再生培地)에 첨가(添加)되는 삼투압 조절제(調節劑)로는 0.6M의 sucrose가 가장 우수(優秀)하였고 재생률(再生率)은 0.47~1.32%로 나타났다. 재생용(再生用) 배지(培地)에 몇가지의 영양원(營養源)을 첨가(添加)하였을때 재생률(再生率)의 증가(增加)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yeast extract가 팽이버섯의 원형질체(原形質體) 재생(再生)에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팽이버섯의 원형질체(原形質體) 재생(再生) 형태(形態)는 bud-like cells에서 germ tube가 발달(發達)하는 형태(形態)이었다. 환원(還元)된 균총중(菌叢中)에는 13~18%의 clamp connection을 형성(形成)하지 않는 monokaryon 균주(菌株)들이 발견(發見)되었다. 3. 자외선(U.V.L) 조사시(照射時) 팽이버섯의 포자생존률(胞子生存率)은 180사(砂)에서 16%였고 이때 5계통(系統)의 영양요구성(營養要求性) 균주(菌株)가 선발(選拔)되었다. 이들 중(中) 2균주(菌株)는 nucleic acid requiring strain이었고 3균주(菌株)는 vitamine requiring strain이었다.

  • PDF

주요수종(主要樹種)의 방사선감수성(放射線感受性) 및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Radiosensitivity and Mutation Induction of Tree Species in Korea)

  • 김지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3-79
    • /
    • 1975
  • 나자식물(裸子植物) 4과(科), 12종(種)과 피자식물(被子植物) 12과(科), 18종(種), 6품종(品種), 3계통(系統)의 한국산(韓國産) 경제수종(經濟樹種) 및 관상수종(觀賞樹種)의 종자(種子), 삽목(揷木), 접수(接穗) 및 생체(生體)에 X선(線) 또는 ${\gamma}$선(線)을 급조사(急照射), 반급조사(半急照射) 또는 완조사(緩照射)를 실시하여 수종별(樹種別) 방사선감수성(放射線感受性) 및 변이(變異)의 출현(出現)을 조사(調査)하였다. 공시수종(供試樹種)의 대부분(大部分)은 높은 방사선감수성(放射線感受性)을 보였으며 침엽수(針葉樹)는 LD-50이 1.2 kR~13.2 kR 범위(範圍)로 평균(平均) 5.4 kR의 심(甚)히 높은 감수성(感受性)을 보였고, 활엽수(濶葉樹)는 LD-50이 7.0 kR-18.5 kR범위(範圍)로 평균(平均) 12.7 kR이였으며 수종간(樹種間)의 비교방사선감수성(比較放射線感受性)을 LD-50을 기준으로 분류(分類)하였다(Table 2). 출현(出現)하는 변이중(變異中)에는 반문엽(斑紋葉)이 가장 많았고, 백자(白子), 엽록소결핍(葉綠素缺乏), 기형엽(奇形葉), 기형과(奇形果)등의 출현(出現) 및 약밤나무의 대형엽(大形葉) 아조변이(芽條變異)와 측백나무의 황색엽(黃色葉) 아조변이(芽條變異)가 유기(誘起)되었다.

  • PDF

줄기 절간조직 배양에 의한 교잡종 사시나무의 대량증식 (Multiple Shoot Induction from Ex Vitro and In Vitro Derived Stein Node Culture of Populus alba L.$\times$P.grandidentata Michx.)

  • Sung Ho SON;Richard B. HALL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1-135
    • /
    • 1995
  • 잡종 사기나무의 기내 대량증식을 목적으로 줄기절간 유래의 기내 및 기외시료를 이용하여 다경줄기 유도에 관여하는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기외시료의 측아를 제거한 다음 20에서 30$\mu$M 의 zeatin이 함유된 WPM 배지에 6주간 배양하였을때 각각 11개와 13개의 다경줄기가 유도되었다. 그러나 기외시료의 측아가 붙어있는 상태에서 기내배양하여 2주후에 측아를 제거하고 동일 배지에 배양하였을 경우에는 BA가 1.0에서 2.0 $\mu$M 함유된 배지에서도 13개와 15개의 다경줄기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특히 이때 생산된 줄기의 상태는 아주 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내줄기를 사용하였을때는 20 $\mu$M의 zeatin을 처리하였을때 가장 많은 줄기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생산된 조직배양묘는 일정기간 순화를 시킨 후 온실이나 포지에 식재가 가능하였다.

  • PDF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른 무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s and Sprouting Period)

  • 한진희;문혜경;정신교;강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67-177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무순을 발아시기별로 70% 에탄올, 80% 메탄올, 75% 아세톤, 물 등 용매종류에 따라 추출한 후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 공여능, TBARS, 산화안정도 측정, 과산화물가 등 항산화특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 4일째에서 에탄올추출물이 296.51 mg/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메탄올추출물이 219.39 mg/g으로 많았다. 발아 8일째에서는 에탄올추출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메탄올추출물과 아세톤추출물은 각각 197.72 mg/g, 200.45 mg/g으로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발아 4일째에 물추출물이 86.67%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아세톤추출물에서 77.23%로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발아 8일째 라디칼 소거능은 아세톤추출물이 89.18%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올추출물이 70.14%로 가장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또 발아 12일째의 라디칼 소거능은 4일째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TBARS를 통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측정에서 발아 4일째 무순추출물의 TBARS값은 70% 에탄올추출물이 71.4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발아 8일째가 되면서 TBARS값이 상승하여 메탄올추출물이 78.99%로 높은 값을 보였고, 아세톤 추출물의 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발아 12일이 되면서 TBARS값은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발아 4일째와 유사한 경향의 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에 의한 산화안정도 측정에서 발아 4일째의 산화유도기간은 메탄올추출물이 6.07시간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항산화지표는 1.16의 수준을 보였다. 발아 8일째의 산화유도기간은 발아 4일째 산화유도기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메탄올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아세톤추출물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유의차가 없었으나 물추출물의 산화유도기간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발아 12일이 되면서 전반적인 산화유도기간이 5.25~5.91시간으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메탄올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추출물은 발아 4일째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항산화지표 또한 1.00~1.13의 수준을 나타냈다. 과산화물가 측정에서 무순추출물의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아 4일째 저장기간 0일에서 각 추출물들이 3.02~4.21 meq/kg oil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 60일에서 물추출물이 43.83 meq/kg oil과 메탄올추출물에서 45.42 meq/kg oil을 나타내어 두 추출물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 황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발아 8일째와 발아 12일째의 무순추출물에서도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과산화물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무순추출물은 총 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활성도 높게 나타나 천연항산화제와 같은 식품첨가물 및 식품보존제 등 기능성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differentiation of Dedifferentiated Chondrocytes on Chitosan Membranes and Involvement of PKCα and P38 MAP Kinase

  • Lee, Yoon Ae;Kang, Shin-Sung;Baek, Suk-Hwan;Jung, Jae-Chang;Jin, Eun Jung;Tak, Eun Nam;Sonn, Jong Ky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1호
    • /
    • pp.9-15
    • /
    • 2007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tosan on the redifferentiation of dedifferentiated chondrocytes, we used chondrocytes obtained from a micromass culture system. Micromass cultures of chick wing bud mesenchymal cells yielded differentiated chondrocytes, but these dedifferentiated during serial monolayer subculture. When the dedifferentiated chondrocytes were cultured on chitosan membranes they regained the phenotype of differentiated chondrocytes. Expression of protein kinase $C{\alpha}$ ($PKC{\alpha}$) increased during chondrogenesis, decreased during dedifferentiation, and increased again during redifferentiation. Treatment of the cultures with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inhibited redifferentiation and down-regulated $PKC{\alpha}$.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 increased during redifferentiation, and its inhibition suppressed redifferentiation. These findings establish a culture system for producing chondrocytes, point to a new role of chitosan in the redifferentiation of dedifferentiated chondrocytes, and show that $PKC{\alpha}$ and p38 MAP kinase activities are required for chondrocyte redifferentiation in this model system.

경부 피하조직내에 발생한 기관지성 낭종 (Cervical Bronchogenic Cyst)

  • 김석주;정웅윤;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7-250
    • /
    • 1997
  • Bronchogenic cysts are thought to be uncommon developmental anomalies. They develop from small buds or diverticuli that separate from the foregut in the formation of the tracheo-bronchial tree. They are nearly always located near the tracheal bifurcation; However, these lesions can occur anywhere along the tracheo-bronchial tree. We experienced a case of cervical bronchogenic cyst presenting sorely as an anterior neck mass in a 26-year-old woman. The neck ultrasonography showed as $1.4{\times}1.1cm$ sized hypoechoic lesion with a well-defined margin on the isthmic portion of the thyroid gland. Excision of the mass was carried out. The mass was superfical to the strap muscle and was contained within the subcutaneous tissue in the midline without any connection to the trachea. Grossly, the mass was an oval-shaped cystic lesion which measured 1.5 cm in the greatest diameter. The cyst was filled with thick, yellow, jelly-like material and the inner surface was smooth and glistening. Microscopically, the cyst showed a lining of ciliated columnar epithelium, beneath which was a loose areolar stroma containing plaques of mucous glands and mature cartilage. We thought this cervical bronchogenic cyst appeared to represent an expression of complete aberrent accessory lung bud detachment from the primitive foregut.

  • PDF

Protein Kinase $C\alpha$ Is Involved in the Cell Condensation During Chondrogenesis in Vitro

  • Lim, Young-Bin;Kang, Shin-Sung;Lee, young-Sup;Sonn, Jong-Ky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4호
    • /
    • pp.361-366
    • /
    • 200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 of protein kinase C (PKC) in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we examined the localization of PKC isoforms in a limb bud micromass culture system. PKC$\alpha$ is specifically localized in the regions which would become cartilage nodules, while PKC$\lambda/l$ and $\zeta$ display widespread distribution in the whole culture. Distribution of PKC$\alpha$ change along with promotion or inhibition of chondrogenesis by lysophosphatidylcholine or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On the other hand, localization of PKC$\lambda/l$ or $\zeta$ a was not changed by the modulation of chondrogenesis. Peanut agglutinin binding protein which is associated with cell aggregation during chondrogenesis was present in the cell condensation regions and its expression in those regions was influenced by PKC activity. Expression of fibronectin and N-cadherin in the cell condensing area were also affected by modulation of PKC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involvement of PKC$\alpha$ in the cell condensation, possibly through regulating expression of fibronectin and N-cadherin.

  • PDF

포도 캠벨얼리 품종의 2차지를 이용한 과실생산 (Berry Production Using Secondary Shoots in 'Campbell Early' Grapevines)

  • 최인명;박희승;조명동;이창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78-382
    • /
    • 2000
  • 포도 '캠벨얼리'에 있어서 2차지에 결실되도록 하기 위해서 만개후 13일부터 10일 간격으로 신초의 기부로부터 3, 6, 9마디의 눈을 각각 남기고 하계절단 처리를 한 결과, 액아 발아는 7~8일, 발아 후 개화까지는 19~25일 소요되었다. 하계 절단처리시기별 2차지의 화수수는 만개 후 13일 절단처리가 2.8개, 만개 후 23일 및 33일 절단처리가 3.2개로 차이가 없었다. 1차지의 기부에서 3번째 마디의 눈에서 발달한 2차지의 화수수 2.0~2.4개, 화수장 9.3~10.4cm 정도로 발달이 미약했으나, 6번째와 9번째 마디의 눈에서 발생한 2차지의 화수수 3.1~3.8, 화수장 12~14.9cm였고, 특히 6번째 마디의 눈에서 발생한 2차지에서 화수발달이 가장 충실하였다. 만개 후 13일에 절단 처리한 6, 9번째 눈에서 발생된 2차지의 수확기 과실형태 및 특성은 1차지의 과실과 차이가 없었으며, 나머지 만개 후 23일이나 33일 처리는 2차지의 과실 형태는 양호하였으나 성숙기간이 짧아 품질이 낮았다. 따라서 2차지의 과실 결실을 위한 하계 전정의 적기는 만개후 13일이고, 절단하는 마디의 위치는 1차지의 기부로부터 6번째 마디임이 구명되었다.

  • PDF

순상전 춘기말벌채고조의 발아상태와 충해 발생 관계 (Study of germination for none seasonal pruning mulberry farm and their insective diseases)

  • 도경화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13-21
    • /
    • 1963
  • (1) 춘추겸용 순상전에 있어서는 74.3%의 발아율이었고 미개엽의 발아율은 25.7%이었다. (2) 춘잠사육후 하기에 벌채를 하지 않고 고조로 잔치한 것이 있어서 발아하는 상태는 액아에서 발아성장한 것이 74.88%이고 춘기미개엽중에서 발아성장한 것이 25.12%의 비율이었다. (3) 신아가 착생하는 방위는 남북애에 있어서 정북향이 가장 적고 서남, 서북면에 착생이 가장 많았다. (4) 순상전에 있어서 하벌을 하지 않고 고조를 잔치하였을 때에는 해충의 서식처로 된다. (5) 저지대에 재배된 노상 순상전에 있어서는 다습하고 일조시간이 짧으면 상충의 발생이 심하다. (6) 추잠기 수엽기수엽량에 있어서는 지조를 벌채하지 않는 고조에서는 발아성장하는 기간이 길어서 하벌한 후 성장한 것에 비하여 수엽량이 많았다. (7) 근예정지 순상전으로서 하기에 채벌하지 않으면 비배관리나 기 익년에 지장을 가져오기 때문에 식재거리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8) 노상과 같은 품종은 교목식으로 재배는 부적당하며 또 적당한 재배거리를 밀식정도로 하는 것은 양책이라 할 수 없다. (9) 재배상 품종계통별에 있어서는 엽수형인 백상계가 일정한 지조에 대한 착생아수도 많았고 그 발아비율도 많았다.

  • PDF

소포자 배양에 의한 반수체 식물유도 효율이 높은 국내 유채 품종 선발 (Comparison of Frequency Embryogenesis through Microspore Culture of Domestic Cultivars in Brassica napus L.)

  • 박윤정;김광수;장영석;김철우;방진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37-241
    • /
    • 2006
  • 국내육성 유채품종 간 반수체식물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화아로부터 분리된 소포자를 13%의 sucrose, $0.05mg/{\ell}$ BA 와 $0.5mg/{\ell}$ 의 NAA가 첨가된 NLN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반수체 배의 생산에는 유전형이 중요한 요인이였으며, 탐라유채가 가장 높은 반수체 배 생산능을 보여 화아당 176개의 반수체 배가 발생하였으나, 한라유채와 영산유채는 배 생산은 물론 세포분열도 관찰되지 않았다. 발생한 반수체 배를 NLN배지에서 현탁배양하여 Multilobe abnormal embryos를 형성시켰으며, 계속하여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MS고체 배지에 치상 배양하여 반수체식물체를 유도 하였다. 재생된 반수체 식물체는 성공적으로 순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