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F-7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4초

$(TMTSF)_2BF_4$의 압력-온도 상태도 연구 (Pressure-Temperature Phase Diagram of $(TMTSF)_2BF_4$)

  • 조연정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14권1호
    • /
    • pp.24-29
    • /
    • 2012
  • $(TMTSF)_2BF_4$ containing non-centrosymmetric anions is well known to exhibit a metal insulator transition around 37 K by ordering of the anions with a $q_2$=(1/2, 1/2, 1/2) wave vector. We established pressure-temperature phase diagram of the $(TMTSF)_2BF_4$ compound and showed that it can belong to the general phase diagram of the $(TMTSF)_2X$ family. Application of hydrostatic pressure decreases the anion ordering transition temperature and the superconducting state is finally stabilized below 3.77 K under 7.7 kbar. Magnetoresistance measurement on the $(TMTSF)_2BF_4$ under 7.8 kbar is performed but neither the field-induced spin-density-wave state nor the rapid oscillation is observed up to 9 T.

Lewis Acid Catalysis of Coumarin and 5,7-Dimethoxycoumarin Photodimerization

  • Shim, Sang-Chul;Kim, Eun-Il;Lee, Ki-Tae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8권3호
    • /
    • pp.140-144
    • /
    • 1987
  • The effect of Lewis acids on spectroscopic properties and photodimerization of coumarin and 5,7-dimethoxycoumarin was investigated. Quantum yields of coumarin photodimerization increase in the presence of $BF_3{\cdot}OEt_2$ but those of 5,7-dimethoxycoumarin decrease. The spectroscopic properties of the coumarin-$BF_3{\cdot}OEt_2$ and 5,7-dimethoxycoumarin-$BF_3{\cdot}OEt_2$ complexes were studied by UV, IR, $^1H$ NMR and fluorescence spectroscopy.

흑밀가루로 제조한 상화병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Sanghwabyung(traditional leavened bread)made with Black-wheat Flour)

  • 이순영;고성희;최원석;한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83-390
    • /
    • 2012
  • In order to reproduce Sanghwabyung that people in the past made and ate at Yuduil (June 6th by lunar calendar) among our traditional rice cakes, this study manufactured Sanghwabyung with black wheat flour by adding the wheat bran and Nuruk powder as leavening source, according to the old cook book "Gyuhapchongseo" and analyz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lack wheat contents showed the gradual increase significantly (p < 0.001).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as $6.72{\times}10^7$ CFU/mL just after preparation, and the number of yeast was $5.59{\times}10^7 $ CFU/mL.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increased after 24 h to $8.48{\times}10^7$ CFU/mL and $5.40{\times}10^7$ CFU/mL. Hard-ness was the lowest in WF30%, compared with the C and the highest in BF100% and WF100%. The more the added portion increased in WF30% and BF30%, the more the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01). The cohesiveness was the highest in WF30%, compared with C and BF30%, the lowest. It was shown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 and WF and BF sample groups (p < 0.01). Springiness was the highest in WF10% and WF50%, compared with that in C and BF100%, which were the lowest. Springiness decreased significantly (p < 0.001) ad-ded portion increased between WF30% and BF30%. Gumminess was the highest in BF100% and WF100%, whereas that of WF20% was the lowest (p < 0.001). Chew-iness was the highest in BF100% and WF100% (p < 0.001).

가잠 가수분해물에 의한 학습력 개선 및 두뇌의 혈류변화와 글루코스 사용정도의 긍정적 변화 (Association between Cerebral Blood Flow and Cognitive Improvement Effect by B. mori Extracted Component)

  • 이상형;김용식;김성수;강용구;이무열;이광길;여주홍;이원복;김대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77-79
    • /
    • 2004
  • 최근 잠상산물 추출물인 BF-7이 기억력과 학습력 개선에 크게 유용하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연 이 BF-7이 일반적인 학생들의 학습력 및 인지력 개선을 유도하는지 여부를 재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3주 동안의 BF-7 복용(매일 400mg)으로, 평균 IQ 10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이의 의학적 검증을 위하여, SPECT를 이용하여 두뇌의 인지기능과 학습력 등을 담당하는 부위의 혈류량 개선을 살펴봄으로써 이런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parahippocampal gyrus 와 medial temporal area부위 즉 학습 관련한 두뇌부위의 혈류량과 글루코오스 사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BF-7의 복용은 효과적으로 두뇌의 활성을 유도하여, 인지기능과 기억력, 학습력 증진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Matrigel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소 체외수정란의 발달 (Development of In vitro Fertilized Bovine Embryos in Medium Supplemented with Matrigel)

  • 김동훈;김세웅;이민정;황인선;배성훈;양병철;임기순;성환후;양보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05-81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소 체외수정란의 체외발달에 있어서 Matrigel의 첨가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소 체외수정란은 Ⅰ) SOF+0.8% BSA (SOF-B), Ⅱ) 0.8% Matrigel이 첨가된 SOF+0.8% BSA (SOF-M), 그리고 Ⅲ) SOF+0.8% BSA 배양 후, SOF+10% FBS(SOF-BF)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액 내 Matrigel의 첨가는 배반포 발달율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SOF-B, 26.6%; SOF-M, 28.2%; SOF-BF, 26.2%). 그러나, 부화 배반포의 비율은 Matrigel 첨가에 의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OF-B, 23.7%; SOF-M, 48.7%; SOF-BF, 18.5%) (P<0.05). 배반포의 세포수를 조사한 결과는 각 처리군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SOF-B, 172.7±35.5; SOF-M, 175.1±37.4; SOF-BF, 172.8±38.1), 또한 세포자연사가 유발된 세포수의 비율도 각 처리군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SOF-B, 3.6±3.2%; SOF-M, 4.3±2.6%; SOF-BF, 4.9±4.3%). 본 실험결과는 Matrigel이 소 체외수정란의 부화과정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세포외 기질 복합체인 Matrigel의 첨가는 무혈청 수정란 배양체계에서 보다 생리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활성슬러지 침전성 향상을 위한 활성탄 가중응집제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activated carbon induced ballasted flocculation for improving activated sludge settleability)

  • 김용범;양혜지;최영균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3-162
    • /
    • 2021
  • The effects of activated carbon originated Ballasted Flocculant (BF) on the settleability of activated sludge and the recovery of BF by Hydro-cyclone (HC) were analyzed experimentally. Two kinds of BF (M-I: 125-250 ㎛, M-II: 250-425 ㎛ in dia.) and three kinds of activated sludges with different SS concentration (2,300-7,100 mg/L) were applied for this study. With the dosage variation of BF from 0.14 to 1.3 g-BF/g-SS, we could obtain 24-31% improvement in SV30 (Sludge Volume after 30min sedimentation) for the lowest SS concentration sludge (2,300 mg/L). Whereas the SV30 improvement was much higher as 44-48% for the highest SS concentration sludge (7,100 mg/L). The settling characteristics of the sludge with BF followed Vesilind model the best among three models (Vesilind, Takacs and Cho model). HC could effectively separate BF with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70-90% and over 95% separation efficiency could be obtained when the HC was applied twice.

도라지 분획물의 항산화 및 탈모예방 효과 (Evaluation of Antioxidant Fractions and Hair Loss Prevention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 정민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79-784
    • /
    • 2019
  • 도라지의 탈모예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몇가지 용매를 이용하여 도라지 분획물을 준비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두피혈관을 좁게 하여 모근으로의 영양공급을 방해함으로써 탈모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분획물인 BF와 WF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_{50}$값이 각각 16.2 mg/ml와 121.8 mg/ml로,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 실험결과에서도 BF와 WF 처리시 $IC_{50}$값이 각각 4.9 mg/ml와 39.8 mg/ml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피부세포인 HaCaT cell 증식 실험결과, 24시간 BF와 WF 처리 시 각각 최대 31%($1{\mu}g/ml$)와 18%($1{\mu}g/ml$)로 HaCaT cell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추출물이 피부재생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탈모의 원인중의 하나인 두피의 염증에 대한 분획물의 효능을 확인하고자, RAW264.7 cell을 이용하여 염증반응 생성물인 NO와 $PGE_2$ 생성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BF와 WF 각각 최대 88.5%($0.1{\mu}g/ml$)와 88.0%($50{\mu}g/ml$)까지 NO와 $PGE_2$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낭을 구성하는 모유두세포인 HFDPC cell 증식 실험 결과, 4, 48, 72시간 처리 시 모두 HFDPC cell 증식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 사용된 도라지로부터 추출한 부탄올 분획물과 물 분획물이 탈모예방에 효과적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부탄올 분획물이 탈모예방제품의 유용한 천연재료로써의 가치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올레핀/파라핀 분리를 위한 poly(ethylene oxide)/AgBF4/Al(NO3)3/Ag2O 복합체 분리막 (Poly(ethylene oxide)/AgBF4/Al(NO3)3/Ag2O Composite Membrane for Olefin/Paraffin Separation)

  • 정수영;강상욱
    • 멤브레인
    • /
    • 제27권4호
    • /
    • pp.313-318
    • /
    • 2017
  • 올레핀/파라핀 분리를 위해 $Poly(ethylene oxide)(PEO)/AgBF_4/Al(NO_3)_3/Ag_2O$ 복합막이 제조되었으며, $Ag_2O$가 도입되었을 때, 복합체 분리막의 초기성능은 선택도 13.7과 투과도 21.7 GPU로 관찰되었다. $PEO/AgBF_4/Al(NO_3)_3$ 분리막의 성능(선택도 13와 투과도 7.5 GPU)에 비해서 초기성능이 증가한 이유는 $Ag_2O$의 첨가로 인한 Ag ion의 활성도 증가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시간에 따른 성능저하 현상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고분자 matrix인 PEO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PEO 고분자는 $Ag_2O$ 입자를 안정화 시킬 수 없기 때문에 용매가 증발하면서 $Ag_2O$ 입자끼리 뭉치게 되고, $Ag_2O$가 barrier 역할을 하게 돼서 시간이 지나면 투과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 Study on Distributions of Boron Ions Implanted by Using B and BF2 Dual Implantations in Silicon

  • Jung, Won-Chae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1권3호
    • /
    • pp.120-125
    • /
    • 2010
  • For the fabrication of PMOS and integrated semiconductor devices, B, $BF_2$ and dual elements with B and $BF_2$ can be implanted in silicon. 15 keV B ions were implanted in silicon at $7^{\circ}$ wafer tilt and a dose of $3.0{\times}10^{16}\;cm^{-2}$. 67 keV $BF_2$ ions were implanted in silicon at $7^{\circ}$ wafer tilt and a dose of $3.0{\times}10^{15}\;cm^{-2}$. For dual implantations, 67 keV $BF_2$ and 15keV B were carried out with two implantations with dose of $1.5{\times}10^{15}\;cm^{-2}$ instead of $3.0{\times}10^{15}\;cm^{-2}$, respectively. For the electrical activation, the implanted samples were annealed with rapid thermal annealing at $1,050^{\circ}C$ for 30 seconds. The implanted profile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in order to measure profiles. The implanted and annealed results show that concentration profiles for the ${BF_2}^+$ implant are shallower than those for a single $B^+$ and dual ($B^+$ and ${BF_2}^+$) implants in silicon. This effect was caused by the presence of fluorine which traps interstitial silicon and ${BF_2}^+$ implants have lower diffusion effect than a single and dual implantation cases. For the fabricated diodes, current-voltage (I-V) and capacitance-voltage (C-V) were also measured with HP curve tracer and C-V plotter. Electrical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dual implant had the best result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two cases for the turn on voltage characteristics.

학교시설 맞춤형 BF인증을 위한 평가항목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델파이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Items for Customized BF Certification in School Facilities -Focusing on the Delphi survey-)

  • 맹준호;김성중;송병준;김재영;윤평세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2권2호
    • /
    • pp.1-16
    • /
    • 2023
  • 본 연구는 안전하고 접근과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학교시설만의 BF인증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써 평가항목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평가항목 초안을 바탕으로 3회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BF인증지표의 내용분석과 사후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여 학교시설의 BF인증 평가항목의 초안을 제시하였으며,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각 평가항목별 적정성에 대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는 BF 심사, 심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교수, 건축사, 공무원, 인증기관담당자, 장애인단체 등 전문가 및 실무자 그룹으로 구성하여 리쿼드 7단계 척도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현 학교시설 BF평가항목에 대한 각 평가 항목별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평가항목에 반영하였다. 델파이조사 결과, 기존의 8개의 평가항목을 제외한 총 75개의 평가항목을 유지항목으로, 12개의 평가항목에는 개선 검토항목으로 결정되었으며, 동시에 새롭게 제시된 추가검토가 필요한 15개의 항목들에 대해 평가항목으로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