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R Model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6초

딥러닝 기반 가시광 통신 시스템의 성능 향상 기법 (Performance Enhancement Technique of Visible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Deep-Learning)

  • 서성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1-55
    • /
    • 2021
  • 본 논문은 스마트 빌딩을 위한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딥러닝 기반의 간섭 제거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채널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예측하여 제거하는 기술로서 수신단에서 딥러닝에 의해 학습된 잡음들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딥러닝 기술의 잡음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의 잡음 형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활용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간섭 제거 기법이 적용된 시스템 모델의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제안하는 시스템이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신호의 품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시스템 모델은 가시광 통신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도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에러 분포의 비대칭성을 활용한 대용량 3D NAND 플래시 메모리의 신뢰성 최적화 기법 (Reliability Optimization Technique for High-Density 3D NAND Flash Memory Using Asymmetric BER Distribution)

  • 김명석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1-40
    • /
    • 2023
  • Recent advances in flash technologies, such as 3D processing and multileveling schemes, have successfully increased the flash capacity. Unfortunately, these technology advances significantly degrade flash's reliability due to a smaller cell geometry and a finer-grained cell state control.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symmetric BER-aware reliability optimization technique (aBARO), new flash optimization that improves the flash reliability. To this end, we first reveal that bit errors of 3D NAND flash memory are highly skewed among flash cell states. The proposed aBARO exploits the unique per-state error model in flash cell states by selecting the most error-prone flash states and by forming narrow threshold voltage distributions (for the selected states only). Furthermore, aBARO is applied only when the program time (tPROG) gets shorter when a flash cell becomes aging, thereby keeping the program latency of storage systems unchanged. Our experimental results with real 3D MLC and TLC flash devices show that aBARO can effectively improve flash reliability by mitigating a significant number of bit errors. In addition, aBARO can also reduce the read latency by 40%, on average, by suppressing the read retries.

페이딩 환경의 W-CDMA에서 채널부호화 방식의 성능평가 (The performance estimation of Channel coding schemes in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with fading channel)

  • 이종목;심용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165-168
    • /
    • 2000
  • The bit error rate(BER)of the data passed through 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system with turbo-codes structure is presented. The performance of turbo-codes under W-CDMA system is estimated for various users and iteration numbers of decoding. The channel model is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AWGN) and Rayleigh fading channel. When iteration number increases, bit error probability of turbo-codes decreases. and when the number of users increase, bit error probability of turbo-codes increases.

  • PDF

페이딩 채널에서 OFDM에 적용 가능한 TCM방식 비교분석 (A Comparisons of TCM schemes for OFDM in fading channel)

  • 조기원;박범대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82
    • /
    • 1999
  • In this paper, it was studied that the performance of OFDM transmission scheme was improved in fading channel by applying TCM, which has advantages of error correction and bandwidth efficiency. Simulation was carried out for two TCM models with different code efficient length. By mapping two models to square 16QAM, the model with the code efficient length of 2 achieved 3㏈ better than the other for the BER of 10$^{-3}$ . In conclusion, if we want to achieve a better performance with TCM in OFDM applications, we should select a TCM with langer code efficient length.

  • PDF

광 SCM 전송방식에서 MZ 변조기를 통과한 DS-CDMA 신호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DS-CDMA Signal through MZ Modulator in optical SCM Signal Transmission)

  • 김회준;임명섭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77-80
    • /
    • 2001
  • In this paper, it is analyzed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n the transmission performance of the optical SCM transmission in the CDMA RF signal relay system. Using Mach-Zehnder modulator, optical signal is regenerated into CDMA RF signal. Transfer function model of mach-Zehnder modulator is approximated to the third power of the input signal using Taylor series. BER results are analyzed under the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and multi-path fading environment.

  • PDF

WBAN 환경에서 채널 추정 기반의 공용 채널 간섭 제거 기술 (A Study for Co-channel Interference Cancelation Algorithm with Channel Estimation for WBAN System Application)

  • 최원석;김정곤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6C호
    • /
    • pp.476-482
    • /
    • 2012
  • 본 논문은 2.4GHz 대역을 사용하는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환경에서 동일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 간섭 제거 기술에 대해서 분석 하고 서로 비교, 평가 하였다. ML (Maximum Likelihood), OC (Optimal Combining) 그리고 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 방식이 후보 기술로 고려되었으며, 수신 성능과 구현 복잡도 사이의 trade-off 관점에서 서로 비교 하였다. IEEE 802.15.6 에서 제시 하는 채널 모델 및 간섭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성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 ML과 OC 알고리즘 등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ML과 OC의 경우 원하는 신호의 채널 정보뿐만 아니라 간섭채널의 정보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채널을 추정하기 위한 구현 복잡도 및 추정 에러에 민감한 단점을 가지고 있게 된다. 한편, 실제 채널 추정을 수행 하여 성능 비교를 한 경우에는 MMSE와의 성능 격차가 많이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저전력 및 소형화가 필요한 WBAN 환경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성능과 복잡도 사이의 trade off를 고려한 간섭 제거 기술의 선택 및 연구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마토에서 칼슘수송체와 칼슘결합단백질 공동발현에 의한 칼슘결핍유사증상의 완화 (Restriction of Ca2+ deficiency-like symptoms by co-expressing a Ca2+ transporter and a Ca2+-binding protein in tomato)

  • 한증술;강호주;김창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549-555
    • /
    • 2010
  • 본 연구는 칼슘 수송체의 하나인 sCAX1과 칼슘결합단백질의 하나인 CRT가 토마토에서 발현했을 때 tip-burn과 배꼽썩음병 (BER)이 토마토의 전 생육기간에 걸쳐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관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하였고, 최종 연구 결과는 CRT 공동발현이 sCAX1 발현에 의해 야기된 병징을 억제시킬 수 있음을 확인시켰다. 양분공급이 불량한 환경하에 놓인 sCAX1 단독 발현 토마토 식물체는 그 근단 조직, 정단 조직 및 과실의 암술부착부위 조직에 토마토 재배 농가포장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칼슘결핍 증상과 일치하는 괴사현상을 나타내었다. sCAX1 형질전환체와 비형질전화체를 각각 대목과 접수로 달리 사용한 교호접목 실험을 통해 sCAX1 발현에 따른 tip-burn 병징이 토양으로부터의 칼슘이온 흡수에 장애를 받아 생긴 결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을 통해 CRT 발현 토마토를 획득한 후 CRT가 sCAX1에 의한 불량한 특성 발현을 제어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양자간 교배조합을 작성하였다. sCAX1과 CRT를 토마토에서 공동발현 시켰을 때 완벽하지는 않지만 양극 조직의 괴사와 BER이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sCAX1 발현에 의해 방해 받은 세포 내 칼슘 이온 관련 어떤 기구는 CRT 공동발현을 통해 복구될 수 있다는 하나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스펙트럼 센싱을 적용한 인지 무선 기반 백스케터 네트워크의 주파수 선택 기법 (Frequency Selection Methods in RF-Powered Backscatter Cognitive Radio Networks with Spectrum Sensing)

  • 홍승관;이선의;김진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98-102
    • /
    • 2017
  • 이 논문에서는 백스케터 통신에 기반한 무선 센서인 보조 사용자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지 무선 기반 백스케터 네트워크를 연구한다. 제안 된 모델에서, 캐리어 이미터를 추가하고 스펙트럼 센싱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이중감쇄를 피하는 것을 고려한다. 기본 채널이 사용 중일 때 보조 사용자는 Hybrid-Access Point(H-AP)와 캐리어 이미터를 통해 채널에서 RF 에너지를 수집 할 수 있다. 채널이 유휴 상태가 되면 보조 사용자는 수확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무선 센서를 작동시키고 스펙트럼 센싱 후, 캐리어 이미터를 통해 백스케터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우리는 다수의 태그가 존재하는 벡스케터 채널을 deterministic과 멀티소스 요소로 수학적 모델링한다. 제안한 통신 환경에서 WiFi 신호를 활용한 벡스케터 통신의 BER 성능을 보인다.

지상파 클라우드 방송 시스템의 성능 분석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for Terrestrial Cloud Transmission Systems)

  • 김정창;박성익;김흥묵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48-25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클라우드 방송 시스템 (cloud transmission system)의 간섭 및 잡음 신호를 모델링하고 수신기의 비트 오율 (bit error rate) 성능을 제시한다. 지상파 클라우드 방송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동일채널간섭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동작해야 하므로 negative SINR (signal-to-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영역에서 동작해야 한다. 지상파 클라우드 방송 시스템의 요구되는 SINR 영역에서 간섭 및 잡음을 가우시안으로 모델링할 수 있으며 모델링된 간섭 및 잡음 모델을 이용하여 비트 오율 성능을 관찰한다. 또한, 최소자승 (least square) 기반의 선형 보간된 채널 추정 값을 평균함으로써 클라우드 방송 시스템에서 향상된 채널 추정 방식을 제안한다. 전산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방송 시스템이 negative SINR 영역에서 동작함을 보여준다.

블루투스 Piconet에서 ACL/SCO 링크의 패킷 성능 시뮬레이션 (Packet Performance Simulation of ACL/SCO Link in Bluetooth Piconet)

  • 김도균;노재성;조성언;조성준;김정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77-83
    • /
    • 2002
  • 무선 접속 방식으로 블루투스의 출현은 즉석에서 전자기기들을 ad-hoc 망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근거리 ad-hoc 무선망을 피코넷이라고 부르며 무허가 2.45 GHz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에서 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ad-hoc 환경에서 블루투스 ACL/SCO(Asynchronous Connection Less/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링크의 패킷 형태에 따른 피코넷의 PER(Packet Error Rate), 패킷수신율, 페이로드 BER (Bit Error Rate)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채널 모델로서 레일리 페이딩의 영향이 고려되었고 불루투스 기저대역 규격에 따라서 시뮬레이션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불루투스 피코넷의 PER과 처리율은 ACL/SCO 링크의 패킷 형태에 민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