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X

검색결과 1,172건 처리시간 0.024초

운동강도의 차이가 60주령된 흰쥐의 Soleus와 EDL에서 Bcl-2, Bax, caspase-3와 DNA 절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Bcl-2, Bax, Caspase-3 Protein Level and DNA Fragmentation in Soleus and EDL Muscle on 60 wk SD Rats)

  • 이지영;김용안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72-577
    • /
    • 2010
  • 본 연구에서 60 주령된 쥐를 대상으로 8 주간 트레드밀 운동강도와 근섬유 유형에 따른 apoptosis 관련 인자를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노후된 쥐의 apoptosis 관련 인자는 운동강도와 근육유형에 따라 차이가 났다. EDL이 Soleus보다 apoptosis인자의 변화가 운동강도에 의해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또한 casepase-3의 발현은 고강도 운동에서 나타났으나 DNA 절편화는 나타나지 않았기에 실질적인 apoptosis는 발생되지 않았다. 이는 노후된 개체의 운동 수행방법으로 고강도 운동은 적합하지 않으며, 고강도 운동상태를 지속할 경우 근섬유의 apoptosis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추후 실험에서는 운동시간과 빈도에 의한 apoptosis의 time-course impact 관찰과 외재적 경로(caspase independent apoptosis)에서의 apoptosis 관련 단백질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노화에 의한 근손실의 원인 규명이 요구된다.

생쥐 신생자 난소내 생식 세표에서 세포 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on Germ Cells in Neonatal Mouse Ovary)

  • 조동제;박철홍;양현원;박주현;윤정미;김세광;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8권1호
    • /
    • pp.27-33
    • /
    • 2004
  • 생쥐 신생자 시기에 생식 세포의 사멸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 사멸을 보이는 생식 세포에서 세포 사멸 관련 단백질인 caspase-3, caspase-activated DNase(CAD), Bax 및 Fasnas ligand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활성화된 caspase-3와 CAD의 면역화학적 염색 결과 일차 및 이차 난포내 TUNEL 양성을 보이는 세포 사멸 난자에서 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CAD 또한 TUNEL 양성을 보이는 세포 사멸 난자에서 염색되었다. 활성화된 caspase-3와 CAB에 양성을 보이는 대부분의 난자들은 폐쇄의 형태학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세포질 내 공포가 관찰되었다. Bax는 세포질 내 공포가 존재하는 세포 사멸된 난자에서 염색되었다. Fas ligand 또한 TUNEL 양성을 보이는 난자에서 염색되었다. 이러한 TUNEL 양성을 보이는 생식 세포에서 활성화된 caspase-3와 CAD가 염색된 결과는 생쥐 난포 발달 초기 단계에 caspase-3와 CAD가 생식 세포의 세포사멸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TUNEL 양성을 보이는 난자에서 Bax와 Fas ligand가 발현된 결과는 이러한 단백질이 난자의 세포 사멸을 조절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C12 세포에서 알코올 유발성 세포 사멸에 대한 Rg3 풍부 고려 홍삼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Rg3-enriched Korean Red Ginseng on alcohol-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 최나은;류진협;이동하;조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21-528
    • /
    • 2017
  • 과도한 음주는 치매 및 알츠하이머 병과 같은 여러 신경계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인 진행 중이다. 또한, 홍삼은 신경 세포의 생존, 세포 자멸사의 억제 및 신경 세포의 신경 재생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Rg3 풍부 고려홍삼 추출액(KRG)이 알코올 유발성 신경독성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PC12 세포의 세포 사멸을 억제 할 수 있는지, 그리고 KRG가 caspase 매개 경로와 관련된 몇 가지 인자들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 우리는 PC12 세포에서의 세포 생존율과 세포 사멸율은 EZ-Cytox 세포 생존율 측정 kit와 유세포 분석기로 측정하였고, 세포 자멸 관련 단백질(Bcl-2, Bax, caspase-3)의 발현 정도를 Western blot기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결과의 유의성을 ANOVA 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KRG는 Bcl-2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Bid와 Bax 및 caspase-3 발현을 저해하였고, 이를 통해 알코올로 유도된 PC12 세포의 세포 사멸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KRG에 의해 유도된 Bcl-2 발현의 증가와 Bid 및 Bax 발현의 하향 조절이 caspase-3 발현을 하향 조절하고, 결국 미토콘드리아 세포 사멸 경로를 억제한다는 것을 결론내릴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 후, KRG가 신경 보호제 후보로서 개발할 가치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뇌허혈 유발 후 전침자극이 전뇌세포사 중 Bax와 Caspase-3 발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lectro-Acupuncture(EA) Stimulation after Global Ischemia(GI) on Changes in Bax and Caspase-3 Expression among Forebrain Apoptosis)

  • 최정현;민경옥;김순희;김동일;이상빈;안호정;김지성;최완석;김보경;송치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69
    • /
    • 2010
  • Objectives: The study aims to look into how the application of EA(Electro-acupuncture) in the initial step of ischemic brain injury affects the changes in Bax and Caspase-3 expression among forebrain apoptosis. Methods: It caused GI by using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and conducted the test by dividing into the no applied EA group after 6 hours and 12 hours, the LI 4 EA group that applied EA to LI4, and GV 20 EA group that was applied to GV 20. After tha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comparing Bax and Caspase-3 expression, which were apoptosis-related factors, with its application time throug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fter extracting brain of each group. Results: According to each group's Bax expression by the application time, the order of expression increase after 6 hours is shown to be the no applied EA group, LI 4 group, and GV 20 group. The stimulation after 12 hours was most lowly expressed in the GV 20 group, and the no applied EA group and LI 4 group showed similar level. Conclusions: EA stimulation in the initial step after ischemia seems to affect positively Bax and Caspase-3 expression that are index of forebrain apoptosis.

씀바귀 추출물이 인체유방암세포의 활성 산소 및 Bcl-2 Family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xeris dentata Extract on Radical Oxygen Species and Bcl-2 Family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 김희정;강금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39-747
    • /
    • 2014
  • 본 연구는 인체유방암세포인 MDA-MB-231세포를 이용하여 IDE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화학적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IDE를 각각 0, 20, 30 및 $40{\mu}g/mL$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증식 억제, 막투과성, 세포내 ROS 분석 및 세포사멸 단계의 특성을 FACS 분석하고, RT-PCR에 의한 사멸관련 유전자 중 Bax/Bcl-2 ratio 분석을 통하여 IDE의 항암작용의 조절작용을 밝히고자 하였다. MTT의 세포 증식 억제는 첨가된 IDE의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와 동시에, trypan blue에 대한 염색성과 DCF-DA 형광 분석의 결과는 각각, 막투과성과 세포내 ROS 농도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됨을 보였다(p<0.05). 이와 같은 IDE 농도에 따른 세포화학적 변화 중에서 세포의 초기사멸에서 후기사멸 과정으로 급격한 사멸단계의 변화가 특히, IDE 농도 30과 $40{\mu}g/mL$에서 일어났다. RT-PCR 분석에 의한 Bax/Bcl-2 ratio도 IDE 농도 30과 $40{\mu}g/mL$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p<0.05). 이와 같은 세포화학적 결과와 RT-PCR 결과를 종합해 볼 때, IDE의 유방암세포(MDA-MB-231)에 대한 세포사멸작용은 막 투과성의 증가와 ROS 증가를 통하여 세포에 점진적인 손상을 일으키며, 이는 세포의 생화학적 변화도 초래하여 세포 증식 억제를 감소시켜, 결국 세포내의 사멸관련 유전자 지표인 Bax/Bcl-2 ratio를 크게 변화시키는 일련의 세포사멸을 점진적으로 유도시켜 항유방암의 효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사물탕가미방(四物湯加味方)의 항암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ti-cancer Effects of Samultang-Gami on HeLa, HepG2, AGS Cells)

  • 정재중;구선영;구선영;성정석;김동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8-55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anti-cancer effects of Samultang-Gami which was composed of Rehmanniae Radix(RR), Angelicae Gigantis Radix(AGR), Cnidii Rhizoma(CR), Paeoniae Radix(PR), Cortex Moutan Radicis(CMR), Hedyotis Diffusa(HD) and Caesalpinia Sappan on HeLa, HepG2 and AGS cells. Methods: Various cancer cell lines including HeLa, HepG2 and AGS cells, were u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were measured by MTT assay using cancer cell lines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70% ethanol extract of Samultang-Gami. Expression of cell cycle arrest mediators including Bax, Bcl-2, p53 and DARP-1 proteins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1. Samultang-Gami decreased the viability of HeLa and HepG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2. AGR, CMR, PR and HD decreased the viability of HeLa, HepG2 and AGS cells. 3. We could observe that the decreased Bax and Bcl-2 expression level and the increased PARP-1 expression level by Samultang-Gami extracts treated in HeLa cells. 4. We could observe that the decreased Bcl-2 expression level and the increased Bax, p53 and PARP-1 expression level by RR extracts treated in HeLa cells. and also could observe that the reduction of the protein level of Bcl-2, p53 and PARP-1 and the increase of the protein level of Bax by PR in HeLa cells. 5. We could observe that the increased p53 expression level, the decreased PARP-1's that and the unchanged Bax and Bcl-2's that by Samultang-Gami extracts treated in HepG2 cells. 6. We could observe that the reduced Bcl-2 expression level by each of RR extracts and PR extracts in HepG2 cells. 7. The treatment of Samultang-Gami in AGS cells didn't have any effect on the expression level of Bax, Bcl-2, p53 and PARP-1. 8. We could observe that the increased p53 and PARP-1 expression level by each of CR, RR and PR extracts in AGS cells. Conclusion: Taken together, we suggest that Samultang-Gami exhibits cytotoxic effects on HeLa, HepG2 and AGS cells, causing apoptosis. The results showed that Samultang-Gami may do so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specific target molecules that promote efficient apoptotic cell death in a dose-dependent manner.

인간의 정상 자궁내막조직에서의 BCL-2와 BAX 단백질의 발현 (BCL-2 and BAX Expression in Normal Human Endometrium)

  • 홍순옥;이병석;양우익;이지성;차동현;조용선;김정연;박기현;조동제;송찬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7권3호
    • /
    • pp.245-251
    • /
    • 2000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BCL-2, BAX proteins and DNA fragmented cells in the normal human endometrium during at each menstrual cycle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apoptosis regulates cyclic endometrial change. Methods: Normal endometrial tissues were obtained from 40 patients, $32{\sim}45$ year of age, all with regular menstrual cycle, who were undergoing abdominal hysterectomy for myoma of uterus or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for the period from 1992 through 1997.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us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 of BCL-2 and BAX protein with paraffin-embedded tissues. Results: BCL-2 was expressed on the glandular epithelial cells and stromal cells during the proliferative phase. The intensity of BCL-2 was increased predominantly on the basal layer than the functional layer in late proliferative phase. However, BCL-2 immunoreactivity was decreased in the secretory phase. BAX was expressed predominantly during the secretory phase. The intesity was increased in late secretory phase rather than early secretory phase. DNA fragmented cells were detected in a few cells at each phase. However, it was increased during the late secretory phase. Conclusion: Apoptosis-related genes, BCL-2 and BAX, may play a role in the regulation of cyclic endometrial change.

  • PDF

핵치환과 체외수정에 유래된 소의 배반포에서의 Apoptosis (Apoptosis in the Bovine Blastocyst following Nnclear Transfer and In Vitro Fertilization)

  • Kim, . E.H;D.W. Han;K.S. Chung;Lee, H.T.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3-182
    • /
    • 2002
  • 포유동물의 체외수정란 치적발달조건을 수립하기 위하여 난자의 성숙, 수정 및 배양시 형태학적인 관찰만으로는 불충분하여 각 세포내 구성물 및 핵상 등의 변화를 조사하여 개별 수정란의 품질평가를 통하여 수정란 발달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체외생산된 수정란이 발달율 및 착상율이 현저히 감소되는 원인을 조사한 결과 이러한 수정란에서 할구의 파편화가 보다 더 진행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에 본 실험의 목적은 체외수정과 핵치환 유래 소 배반포에서 세포사멸 기전으로 알려진 apoptosis 조절 유전자로써 Bcl-2와 Bax 유전자의 전사체 발현량을 비교 조사함으로써 착상전 수정란 발달과정에서의 역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Apoptosis의 분석은 TUNEL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체외수정과 핵치환유래 배반포에서 Bcl-2와 Bax 유전자의 발현량은 RT-PCR로 확인하였다. 핵치환유래 배반포에 있어 TUNEL 표식으로 확인된 비율은 체외수정 된 배반포보다 유의하게 높다 (P<0.001). 체외수정된 배반포의 Bcl-2의 발현량은 핵치환유래 배반포보다 높다. 반대로 체외수정된 배반포의 Bax 발현량은 핵치환 유래 소 배반포보다 낮았다 (P<0.05). 이러한 결과는 체외수정보다 핵치환 유래 소의 배반포에서 좀더 많은 파편화를 초래함을 보여준다. 또한, 핵치환 유래 수정란의 발달 정지의 증가는 apoptosis와 같은 핵의 파편화로써 야기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Effects of a Selective COX-2 Inhibitor Celecoxib and Soy-Isoflavones on Molecular Markers Related to Apoptosis, and COX-2 and Mapkinase Expression in Estrogen-Fed Rats

  • Kim, Tae-Kyung;Park, Ock Jin
    • Nutritional Sciences
    • /
    • 제8권1호
    • /
    • pp.16-22
    • /
    • 2005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yclooxygenase-2 (COX-2) inhibitor celecoxib or soy-isoflavones in the presence of estrogen on apoptosis related gene expression, COX-2 and mapkinase in 48-week old female rats. Expressions of bel-2 and bax proteins, which are known to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apoptosis, were investigated in mammary glands and heart tissues. The elevated expression of bel-2 expression was observed in mammary glands of celecoxib supplemented rats as well as soy-isoflavones. The mammary glands bel-2/bax ratio was found to be higher in celecoxib or soy-isoflavones supplemented rats. However, in heart tissues, expression of bel-2 and bax was in the order of control, celecoxib and soy-isoflavones. The up-regulation of COX-2 was observed in celecoxib or soy-isoflavones in mammary glands. 'The similar trend was not displayed with the mapkinase expression. In heart tissues, the down-regulation of COX-2 as well as mapkinase was observed in celecoxib or soy-isoflavones supplemented rats. Soy-isoflavones and celecoxib both had a similar regulatory pattern of bel-2, bax and COX-2 in mammary glands, and in heart tissues, only COX-2 exhibited a similar down-regulatory properly.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in estrogen sufficient state, celecoxib and soy-isoflavones might not exhibit proapoptotic potential or COX-2 inhibition in normal mammary glands.

Induction of cancer cell-specific death via MMP2 promoterdependent Bax expression

  • Seo, Eun-Jeong;Kim, Se-Woon;Jho, Eek-hoon
    • BMB Reports
    • /
    • 제42권4호
    • /
    • pp.217-222
    • /
    • 2009
  • Controlled gene expression in specific cells is a valuable tool for gene therapy. We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the lentivirus-mediated Tet-On inducible system could be applied to cancer gene therapy. In order to select the genes that induce cancer cell death, we compared the ability of the known pro-apoptotreic genes, Bax and tBid, and a cell cycle inhibitor, p21cip1/waf1, and determined that Bax was the most effective. For the cancer cell-specific expression of $rtTA2^S$-M2, we tested the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promoter and determined that it is highly expressed in cancer cell lines, including SNU475 cells. The co-transduction of two lentiviruses that contain sequences for TRE-Bax and $rtTA2^S$-M2, the expression of which is controlled by the MMP-2 promoter, resulted in the specific cell death of SNU475, whereas other cells with low MMP-2 expression did not evidence significant cell death. Our data indicate that the lentivirus-mediated Tet-On system using the cancer-specific promoter is applicable for cancer gene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