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16F10 cell line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2초

말똥성게 분획물에 의한 항 발암 및 항산화 효과 (The Anticarcinogenic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Hemicentrotus pulacherrimus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 신미옥;배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07-614
    • /
    • 2009
  • 본 연구는 말똥성게에 대한 항 발암 효과와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말똥성게 분획물의 항 발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핵산, 메탄올, 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분획별로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와 암 예방 지표인 QR 유도 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종의 모든 암세포주 HepG2, MCF-7, HT29 및 B16-F10에서 농도 의존적인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모두 HPMH층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HepG2에서 측정한 QR 유도 활성 효과는 HPMB층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또한 항산화 효과 중 ROS 제거활성 측정결과에서는 HPMH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3.00 ${\mu}g/ml$에서 50%의 ROS 제거활성 효과를 나타내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trolox와 비교하였을 때 거의 유사한 제거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ONOO^-$ 제거활성 역시 HPMH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ositive control과 비교하였을 때 penicillamine의 $IC_{50}$값인 5.51 ${\mu}g/ml$ 보다는 낮았으나 15.14 ${\mu}g/ml$$IC_{50}$값을 나타내어 다른 분획층에 비해서는 높은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질산염 제거활성 측정 결과에서도 HPMH층이 가장 높은 제거활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pH가 낮을수록, 시료농도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제거활성 효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항 발암효과 중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는 HPMH층이 가장 높았고 QR 유도 활성 효과는 HPMB층에서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 효과는 ROS, ONOO- 및 아질산염 제거활성에서 모두 HPMH층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HPMH층과 HPMB층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지며 말똥성게를 이용하여 항암관련 기능성 식품과 식품 저장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식품첨가제나 보존제등의 개발가능성과 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ynthesis and Evaluation of Coumaroyl Dipeptide Amide as Potential Whitening Agents

  • Lee, Hye-Suk;Shin, Kyong-Hoon;Ryu, Geun-Seog;Cho, In-Shik;Kim, Jae-Il;Lee, Jae-Ho;Kim, Han-Yo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10호
    • /
    • pp.3017-3021
    • /
    • 2013
  • Coumaroyl dipeptide amide, Coumaric acid-LG-$NH_2$, was prepared successfully using the solid-phase method, and its efficacy as a skin whitening agent was studied. Coumaric acid-LG-$NH_2$ was prepared with Rink-amide resin, and 96.354% of purity was obtained. Using MTT assay and LDH release assay, we found that it exhibited very low cytotoxicity. And, we found that Coumaric acid-LG-$NH_2$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dose-dependently and showed superio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o well-known whitening agent, arbutin. $IC_{50}$ value of Coumaric acid-LG-$NH_2$ was 182.4 ${\mu}M$, and $IC_{50}$ value of arbutin was 384.6 ${\mu}M$. Also, in measurement of melanin contents using B16F1 melanoma cell lines, Coumaric acid-LG-$NH_2$ reduced melanin production induced by ${\alpha}$-MSH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howed superior melanin inhibitory activity to p-coumaric acid or arbutin. In addition, Coumaric acid-LG-$NH_2$ reduced MC1R mRNA expression level. Thus, we concluded that MC1R pathway is the significant pathway of Coumaric acid-LG-$NH_2$, and Coumaric acid-LG-$NH_2$ has great potential to be used as novel whitening agents.

우뭇가사리 분획물의 항균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The Antimicrobial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Gelidium amansii L. Fractions on Cancer Cell Lines)

  • 신혜정;강대연;신미옥;배송자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3-119
    • /
    • 2007
  • 본 실험은 홍조 해조류의 하나인 우뭇가사리를 추출,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항균효과와 암세포 성장억제 및 QR 유도활성 효과 등의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우뭇가사리의 각 분획물 GAMM, GAMH, GAMB 및 GAMA층을 단백질 식품 부패 원인균인 Serratia marcescens, Proteus mirabilis의 2종과 감염형 세균성 식중독 원인균인 Salmonella enteritidis, 부패균인 Bacillus subtilis, 식중독 원인균인 Starpylococcus aureus 등 총 5 가지 균종에 처리하여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GAMM층에서 높은 가장 높은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4종의 인체 암세포주 HT-29, HepG2, MCF-7 및 B16F-10 세포주에 대한 암세포 증식 억제 실험을 한 결과 사용한 4종의 모든 암세포주에서 methanol 분획층인 GAMM에서 낮은 농도의 시료첨가에도 불구하고 괄목할 만한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사용한 4가지 암세포주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HepG2를 이용한 암예 방지표인 quinone reductase 효소 유도 활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분획물 첨가농도를 10, 20, 30 및 $40{\mu}g/mL$로 첨가하였을 때 GAMM의 첨가농도 $20{\mu}g/mL$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높은 QR유도효과를 나타내었고 최종농도 $40{\mu}g/mL$에서는 2.5배의 암예방 QR 유도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녹차 폴리페놀을 첨가한 화장품의 암 세포증식억제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 of Irradiated Green Tea Polyphenol Addition in Cosmetic Composition)

  • 박태순;이진영;박근혜;현석준;이진태;조영제;김영선;안봉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217-223
    • /
    • 2007
  • 화장품에 폴리페놀을 다량 첨가 시 색소가 문제시 될 수 있어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폴리페놀을 첨가한 토너와 에센스에 방사선을 5, 10, 20 kGy로 조사하고, 조사량에 따른 암세포증식 억제능을 검토하였다. 암세포 증식 억제능 측정 결과 모든 세포주(B16F10, G361, A549, HT-29)에 대하여 폴리페놀이 첨가된 토너와 에센스는 500 ppm에서 80% 이상의 증식 억제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human melanoma(G361)에서는 100 ppm에서 80% 이상의 뛰어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방사선 조사량이 증가해도 폴리페놀의 활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방사선 조사량이 증가 할수록 색이 점차적으로 옅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녹차 폴리페놀을 토너와 에센스에 첨가했을 때 암세포증식 억제능이 우수하였으며, 화장품에 첨가 시 나타나는 색소문제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개선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vitro studies of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organic solvent extracts from cultured marine microalgae

  • Samarakoon, Kalpa W.;Ko, Ju-Young;Shah, Md. Mahfuzur Rahman;Lee, Ji-Hyeok;Kang, Min-Cheol;Kwon, O-Nam;Lee, Joon-Baek;Jeon, You-Jin
    • ALGAE
    • /
    • 제28권1호
    • /
    • pp.111-119
    • /
    • 2013
  • Marine microalgae are a promising source of organisms that can be cultured and targeted to isolate the broad spectrum of functional metabolites. In this study, two species of cyanobacteria, Chlorella ovalis Butcher and Nannchloropsis oculata Droop, one species of bacillariophyta, Phaeoductylum tricornutum Bohlin, and one species of Dinophyceae, Amphidinium carterae (Hulburt) were cultured and biomasses used to evaluate the proximate comical compositions. Among the determined proximat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cultured marine microalgae, the highest content of crude proteins and lipids were exhibited in P. tricornutum and A. carterae, respectively. Solvent-solvent partition chromatography was subjected to fractionate each of the cultured species and separated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aqueous fractions.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level (%) and cytotoxicity effect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 264.7 macrophag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N. oculata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s showed significantly the strongest anti-inflammatory activity at $6.25{\mu}g\;mL^{-1}$ concentration. The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 was determined on three different cell lines including HL-60 (a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 line), A549 (a human lung carcinoma cell line), and B16F10 (a mouse melanoma cell line), respectively. Among the extracts, C. ovalis ethyl acetate and A. carterae chloroform fractions suppressed the growth of HL-60 cells significantly at 25 and $50{\mu}g\;mL^{-1}$ concentrations. Thus, the cultured marine microalgae solvent extracts may have potentiality to isolate pharmacologically active metabolites further using advance chromatographic steps. Hence, the cultured marine microalgae can be described as a good candidate for the future therapeutic uses.

참가사리 분획물의 암 예방효과 (Anticarcinogenic Effects of Extracts from Gloiopeltis tenax)

  • 정영화;정복미;신미옥;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95-40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 중 홍조류에 속하는 참가사리를 추출, 분획하여 항발암효과를 측정하였다. 참가사리 분획물을 4종의 암세포주 HT29, HepG2, MCF-7 및 H16-F10에 처리하였을 때 암세포 증식 억제실험을 한 결과 대장암세포주인 HT29의 경우 GTMM층과 GTMB층에서 농도의존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첨가농도 $150{\mu}g/mL$에서 각각 93.64%와 74.14%의 수치를 보였다. 간암세포주인 HepG2의 경우 $150{\mu}g/mL$ 첨가시 GTMM층과 GTMB층이 각각 95.97%, 81.78%의 높은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서는 GTMM층이 $120 {\mu}g/mL$$150{\mu}g/mL$ 첨가농도에서 각각 88.50%와 91.82%의 높은 암세포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피부암세포주인 B16-F10은 다른 세포주에 비해 미약하나 역시 GTMM층이 최종첨가농도에서 86.20%의 억제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4종의 암세포주의 증식억제는 전반적으로 GTMM층과 GTMB층에서 높은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한편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간암세포 주인 HepG2에서 GTMM층의 처리에 따른 pro-apoptosis Bcl-2 family의 발현증가를 볼 수 있었으며, PARP 분절과 연관된 caspase-3, 7의 활성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GTMM층은 apoptosis의 작용에 의한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이러한 apoptosis의 기전으로는 최소한 caspase의 활성화에 따른 절단 PARP 단백질의 증가, Bad, Bax 등의 apoptosis 관여인자가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HepG2를 이용한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여부를 측정한 결과 GTMM층이 $45{\mu}g/mL$$60{\mu}g/mL$의 시료첨가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각각 2.34, 2.86배의 QR 유도활성을 나타내었으며, GTMB층의 경우 최종첨가농도인 $60{\mu}g/mL$에서 2.04배의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추적분리법에 의해서 순수분리한 마늘 N-benzyl-N-methyldecan-1-amine이 CT-26 세포주 이식 BALB/C mice의 항암효과 (Activity-guided Purification of N-benzyl-N-methyldecan-1-amine from Garlic and Its Antitumor Activity against CT-26 Colorectal Carcinoma in BALB/C Mice)

  • 라자세카 시타르만;최성미;궈루;추이정웨이;두리마 오타곤바야르;박주하;권영석;곽정호;권영희;민지현;강점순;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062-1070
    • /
    • 2019
  • 마늘(Allium sativum)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들은 다양한 종류의 암에 대해 항암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추적분리방법(activity-guided purification)을 이용하여 마늘의 항암성분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마늘 에탄올 추출물을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얻은 각각의 분획물에 대해서 AGS세포의 증식 억제율을 검증하여 가장 효과가 좋은 분획물로부터 물질을 순수분리하여 구조를 동정한 결과 N-benzyl-N-methyldecan-1-amine (NBNMA)로 밝혀졌다. NBNMA의 암생장 억제효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CT-26, AGS, HepG2, HCT-116, MCF7, B16F10 및 Sarcoma-180 세포에 대한 in vitro 효과와 CT-26 결장암 세포를 마우스에 이식한 다음 in vivo 효과를 조사하였다. NBNMA는 Bcl-2의 down-regulation과 Bad의 up-regulation을 유도하여 CT-26 세포의 세포사멸 촉진시켰다. 또한, NBNMA는 세포사멸의 외적 및 내적 경로에서 caspases 억제자인 caspase 3과 caspase 9의 활성을 약간 증가시켰다. CT-26세포를 이식한 쥐에 $19.13{\mu}M/kg$의 NBNMA를 21일 동안 경구투여한 결과 암종의 크기가 43% 감소하였다. NBNMA는 in vitro 및 in vivo에서 항암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마늘로부터 순수분리한 NBNMA가 대장암치료를 위한 항암제 후보물질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천년초 줄기의 항균, 항산화 및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Opuntia humifusa Stems)

  • 정복미;신미옥;김형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0-25
    • /
    • 2012
  • 본 연구는 천년초 줄기를 이용하여 항균, 항산화, 항암 등 천년초의 생리활성 효과를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년초 줄기의 추출물중 gram 양성균인 4가지 균주(Rhodococcus equi, Staphylococcus aureus, Clostridium perfringens, Bacillus cereus)에서 항균 효과가 나타난 것은 메탄올과 핵산층이었으며, 4가지 균주 중 Bacillus cereus를 제외한 3종에 대해서는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천년 초 줄기의 peroxynitrite($ONOO^-$) 제거능 측정결과 핵산층을 제외한 메탄올층, 부탄올층, 수층의 항산화 활성은 천년초 줄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가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 줄기 추출물의 각 용매별 DPPH 유리기 소거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능도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으며, 부탄올>메탄올>수층>핵산층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 줄기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에서 피부암 세포의 경우 $50\sim100{\mu}g/mL$의 농도에서 메탄올층과 핵산층이 수층과 부탄올층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간암세포인 HepG2의 경우 추출물 $100{\mu}g/mL$의 농도를 기준으로 메탄올층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핵산층>부탄올층>수층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장암세포인 HT-29 역시 메탄올층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핵산층>수층>부탄올층 순으로 나타났다. 유방암세포인 MCF-7은 메탄올층>핵산층>수층>부탄올층 순으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천년초줄기의 항균, 항산화, 항암 효과가 높게 나타나 줄기를 활용한 항균제품이나 여러 가지 가공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