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16 melanoma cells

검색결과 557건 처리시간 0.024초

B16 흑색종세포에서 로바스타틴에 의한 멜라닌 합성 촉진효과에 미치는 산화질소의 역할 (Role of Nitric Oxide in the Lovastatin-Induced Stimulation of Melanin Synthesis in B16 Melanoma Cells)

  • 이용수
    • 약학회지
    • /
    • 제57권6호
    • /
    • pp.388-393
    • /
    • 2013
  • Previously, we have reported that lovastatin, an inhibitor of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HMG-CoA) reductase, increased melanin synthesis through intracellular $Ca^{2+}$ release in B16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ssible involvement of nitric oxide (NO) in the mechanism of lovastatin-induced melanogenesis. Lovastatin elevated NO form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reatment with mevalonate, farnesyl pyrophosphate (FPP) and geranylgeranyl pyrophosphate (GGPP), precursors of cholesterol,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he lovastatin-induced NO production, suggesting that inhibition of cholesterol metabolism may not be involved in the mechanism of this action of lovastatin. Both NO formation and melanogenesis induced by lovastatin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reatment with $N^G$-nitro-L-arginine methyl ester (L-NAME) and 2-(4-carboxy-2-phenyl)-4,4,5,5-tetramethylinidazoline-1-oxyl-3-oxide (cPTIO), an inhibitor of NO synthase and a NO scavenger, respectively. The lovastatin-induced NO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not by EGTA, an extracellular $Ca^{2+}$ chelator, but by an intracellular $Ca^{2+}$ chelator (BAPTA/AM) and intracellular $Ca^{2+}$ release blockers (dantrolene and TMB-8).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vastatin may induce melanogenesis through NO formation mediated by intracellular $Ca^{2+}$ release in B16 cells. These results further suggest that lovastatin may be a good candidate for the therapeutic application of various hypopigmentation disorders.

효소(Protopectinase) 처리한 대두가 세포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ybean Protopectinase on Melanin Biosynthesis)

  • 유진균;이진희;조형용;김정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5-3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및 hydroxyl radical 포착활성을 측정하였고, 멜라닌 생성의 첫 단계인 tyrosinase 활성, mouse melanoma B16BL6 세포 생존율 및 TRP-1, TRP-2 발현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기계적 마쇄 가공한 대두추출물과 효소처리 가공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이 마쇄처리 한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특히 효소처리군이 마쇄군에 비하여 20% 이상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마쇄군에 비하여 효소처리군이 tyrosinase와 TRP-1, TRP-2의 더 높은 활성 억제능을 보였다. 이는 대두가 B16BL6 melanoma 세포의 tyrosinase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하는 동시에 효소처리에 의하여 대두의 영양소의 손실이 더 적었음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효소처리에 의한 대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정공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Sorbus commixta HEDL Cortex Extract)

  • 김태혁;유진균;김정미;백종미;김현숙;박정해;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18-142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정공피 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효능을 검증하였고, 멜라닌 생성의 첫 단계인 tyrosinase 활성, mouse melanoma B16BL6 세포 생존율 및 TRP-1, TRP-2 mRNA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정공피 물추출물은 DPPH 및 hydroxy 라디칼 소거 작용을 통하여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TRP-1, TRP-2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공피 물 추출물이 직접적으로 B16BL6 melanoma 세포의 tyrosinase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정공피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온청음 물 추출물의 세포독성,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 (In Vitro Cytotoxicity, Skin Regeneration, Anti-wrinkle, Whitening and In Vivo Skin Moisturizing Effects of Oncheongeum)

  • 안뜰에봄;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4-34
    • /
    • 2016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에서 다양한 피부질환과 대사질환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온청음 물 추출 동결건조물(수율=13.82%)의 피부 노화 개선 효과 평가의 일환으로 세포독성,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각각 평가하였다.방 법: 본 연구에서는 human normal fibroblast(CRL-2076) 및 B16/F10 murine melanoma(CRL-6475) 세포에 대한 온청음의 세포독성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 효과를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β1와 비교한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능, phosphoramidon disodium salt(PP)와 비교한 elastase 활성 억제, oleanolic acid(OA)와 비교한 hyaluronidase, collagenase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활성 억제를 통해 각각 평가하였고, 미백효과를 B16/F10 murine melanoma cells의 melanin 생성 억제 정도 및 tyrosinase 활성 억제를 통해 arbutin과 비교 평가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OCE의 농도별로 군을 나누어 농도에 따른 효과의 변화를 함께 분석하였다. 보습효과는 흰쥐의 피부 수분함량 변화를 통해 평가하였다.결 과: 본 실험의 결과, 온청음은 human normal fibroblast 및 B16/F10 murine melanoma 세포에 대해 의미 있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을 증가시켰고, 세포외 기질의 파괴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hyaluronidase, elastase, collagenase 및 MMP-1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melanin 의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의 활성 및 B16/F10 murine melanoma cells의 melanin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반응의 효과들은 모두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이와 함께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흰쥐의 피부 수분 함량이 세 용량의 온청음 경구 투여군 모두에서 투여용량 의존적으로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온청음은 세포 독성 없이 비교적 우수한 피부 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어, 차후 피부 노화 억제 개선제 또는 기능성 화장품의 주요 소재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되나, 금후 개별 구성 약재 각각에 대한 효능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의 검색과 더불어 다양한 방면으로 기전적인 연구와 피부 보호 효과에 대한 in vivo 평가를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쥐참외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피부 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연구 (Antioxidant and Cytotoxicity in Skin Cell of the Trichosanthis Cucumeroidis Radix Extract)

  • 유선희;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17-422
    • /
    • 2022
  • 쥐참외뿌리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 및 피부 세포에서의 독성을 확인하여, 피부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쥐참외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의 지표가 되는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였고, 피부에서의 Neutral red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섬유아 세포인 HDF cell에서의 높은 생존율이 확인되었으며, B16F10 melanoma cel와 RAW 264.7 cell에서는 5 ㎍/mL부터 세포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쥐참외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피부 세포에서의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제로서 수용성 Oleanolic Acid 유도체의 합성 및 활성 평가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Soluble Oleanolic Acid Derivatives for use as Melanogenesis Inhibitors)

  • 안현진;윤영경;이재덕;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1권6호
    • /
    • pp.653-6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ethoxy polyethylene glycol)과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유도체(mPEG-OA derivative)를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유도체에 대하여 수용액에서의 용해도와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mPEG-OA 유도체의 합성된 구조는 1H NMR, 13C NMR 및 FT-IR로 확인하였다. 수용액에서 mPEG-OA 유도체와 OA의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mPEG-OA 유도체는 13 mg/mL, OA는 0.013 mg/mL로서, mPEG-OA 유도체의 수용성이 OA보다 1,000배 높게 나타냈다. 세포생존율은 B16F10 melanoma cells에서, mPEG-OA 유도체의 세포생존율(250 μM)이 OA로 처리한 세포생존율(62.5 μM)과 비교하여 4배 증가하였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는 세포생존율이 영향을 받지 않는 농도에서 측정하였으며, mPEG-OA 유도체는 50 μM의 농도에서 36%, OA는 10 μM의 농도에서 35%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B16F10 melanoma cells에서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 억제 수준은 mPEG-OA 유도체는 50 μM의 농도에서 59%, OA는 10 uM의 농도에서 49%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 mPEG-OA 유도체와 OA의 수용성 및 미백활성을 비교한 결과, mPEG-OA 유도체는 OA보다 뛰어난 수용성을 가지며,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Barbigerone Inhibits Tumor Angiogenesis, Growth and Metastasis in Melanoma

  • Yang, Jian-Hong;Hu, Jia;Wan, Li;Chen, Li-Ju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호
    • /
    • pp.167-174
    • /
    • 2014
  • Tumor angiogenesis, growth and metastasis are three closely related processes. We therefor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arbigerone on all three in the B16F10 tumor model established in both zebrafish and mouse models, and explored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In vitro, barbigerone inhibited B16F10 cell proliferation, survival, migration and invasion and suppressed human umbilical vascular endothelial cell migration, invasion and tube formation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In the transgenic zebrafish model, treatment with $10{\mu}M$ barbigerone remarkably inhibited angiogenesis and tumor-associated angiogenesis by reducing blood vessel development more than 90%. In vivo, barbigerone significantly suppressed angiogenesis as measured by H and E staining of matrigel plugs and CD31 staining of B16F10 melanoma tumors in C57BL/6 mice. Furthermore, it exhibited highly potent activity at inhibiting tumor growth and metastasis to the lung of B16F10 melanoma cells injected into C57BL/6 mice. Western blotting revealed that barbigerone inhibited phosphorylation of AKT, FAK and MAPK family members, including ERK, JNK, and p38 MAPKs, in B16F10 cells mainly through the MEK3/6/p38 MAPK signaling pathway. These findings suggested for the first time that barbigerone could inhibit tumor-angiogenesis, tumor growth and lung metastasis via downregulation of the MEK3/6/p38 MAPK signaling pathway. The findings support further investigation of barbigerone as a potential anti-cancer drug.

도인승기탕의 B16F10 세포주에서의 멜라닌 생성 및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Effects of Doinsenggitang on Melanin Synthesis and Gene Expression Inhibi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 황주영;김동희;김희정;황은영;박태순;이진영;손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18-323
    • /
    • 2012
  • 본 연구는 B16F10 melanoma 세포를 사용하여 도인승기탕의 70% EtOH와 물 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tyrosinase 활성, western blotting으로 측정하였다. 도인승기탕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생합성과 tyrosinase활성을 저해하였다. 그 결과 도인승기탕 70% 에탄올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을 40%, tyrosinase는 51%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B16F10 melanoma 세포 내에 tyrosinase, TRP-1, TRP-2, MITF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도인승기탕의 70% 에탄올 추출물은 미백 소재로서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白급이 멜라닌 형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n Melanogenesis of Rhizoma Bletillae)

  • 윤화정;윤정원;윤소원;고우신;우원홍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0-111
    • /
    • 2003
  • Recently many efforts were focused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insights of melanogenesis to develop the agents for hyper-pigmentation and hypo-pigmentation. In the melanin biosynthetic pathway, tyrosinase is the rate limiting enzyme, and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MSH) or cAMP-elevating agents stimulate melanogenesis and enhance the melanin synthesis and the tyrosinase activity. The author has analyzed the effects of Rhizoma Bletillae on the basal melanogenic activitie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Rhizoma Bletillae alone markedly suppressed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Rhizoma Bletillae. The decrease in the tyrosinase activity was paralled by a decrease in the abundance of tyrosinase protein and tyrosinase promoter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Rhizoma Bletillae inhibits melanogenesis of B16 melanoma cells via suppression of tyrosinase activity.

  • PDF

Inhibition of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by Calcium Spirulan(Ca-SP), a Novel Sulfated Polysaccharide Derived from a Blue-Green Alga Spirulina Platensis

  • Saiki, Ikuo;Murata, Jun;Fujii, Hideki;Kato, Toshimitsu
    • Nutritional Sciences
    • /
    • 제7권3호
    • /
    • pp.144-150
    • /
    • 2004
  •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alcium spirulan(Ca-SP) isolated from a blue-green alga Spirulina platensis, which is a sulfated polysaccharide chelating calcium and mainly composed of rhamnose and fructose, on invasion of both B16- BL6 melanoma cells, Colon 26 carcinoma and HT-1080 fibrosarcoma cells through reconstituted basement membrane (Matrigel). Ca-SP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vasion of these tumor cells through Matrigel/fibronectin-coated filter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a-SP also inhibited the haptotactic migration of tumor cells to laminin, but it had no inhibitory effect on tumor cell migration to fibronectin-coated filters. Ca-SP prevented the adhesion of B16-BL6 cells to Matrigel- and laminin-substrates but did not affect the adhesion to fibronectin. The pretreatment of tumor cells with Ca-SP inhibited the adhesion to lamini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fashion, while the pretreatment of laminin-substrates did not. Ca-SP had no effect on the production and activation of type IV collagenase in gelatin zymography. In contraset, Ca-SP significantly inhibited degradation of heparan sulfate by purified heparanase. The experimental lung metastasi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co-injection of B16-BL6 cells with Ca-SP in a dose-dependent manner. Seven intermittent ⅰ.ⅴ. injection of 100$\mu\textrm{g}$ of Ca-SP caused a marked decrease of lung tumor colonization of B16-BL6 cells in a spontaneous lung metastasis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SP, a novel sulfated polysaccharide, could reduce the lung colonization of B16-BL6 melanoma cells in experimental metastasis model, by inhibiting the tumor invasion of basement membrane Matrigel, probably through the prevention of the adhesion and migration of tumor cells to laminin-substrate and of the heparanase activity.